강릉대도호부 관아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1994년 7월 1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88호로 지정되었다. 개요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 제51호)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발굴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명칭 변경강릉 임영관은 1993~1994년 발굴조사 결과 객사(客舍)인 ' 임영관'의 유구가 확인되어 1994년 7월 사적으로 최초 지정되었으며 당시 지정명칭은 '강릉임영관지(江陵臨瀛館止)'였다. 2005년 9월에는 주변의 관아지를 추가 지정하였고 2006년 객사 건물이 복원되면서 2011년에는 지정명칭이 '강릉 임영관(江陵 臨瀛館)'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지정구역 내에는 객사를 비롯하여 지방관의 집무처인 동헌(東軒)과 아문의 운루 등이 복원되어 있으며, 관청 건물인 칠사당(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에 객사 영역을 지칭하는 '강릉 임영관'의 지정명칭 변경 필요성이 제기되어, 강릉이 고려 말 ~ 조선시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강릉대도호부'로 명명된 점 과 '관아'가 객사, 동헌 등 읍치 공간을 아우르는 점 등을 고려하여 '강릉대도호부 관아'로 지정명칭이 변경되었다.[1] 다만, 복원된 강릉대도호부 동헌이 실제 동헌이었는가 하는 점에 대해 일부에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2] 현지 안내문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