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목록
대한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최고등급인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을 받은 사람들을 다룬 문서이다. 개요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은 대한민국〈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건국훈장 중 최고등급이다.[1] 건국훈장은 1949년 4월 27일에 대통령령 〈건국공로훈장령〉이 공포되면서 제정되었다. 1963년 12월 14일에 각종 상훈 관계 법령을 통합한 〈상훈법〉이 제정되면서 〈건국공로훈장령〉은 폐지되었다. 건국훈장이 과거에는 중장(重章), 복장(複章), 단장(單章)의 3등급으로 나누어 수여하다가 1990년에 〈상훈법〉이 개정되면서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의 5등급이 되었다. 역사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로서 최초의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은 1949년 8월 15일에 중앙청에서 거행된 건국공로자 표창식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부통령 이시영에게 수여되었다.[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2017년 1월까지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국내외의 59인[3]이지만, 그 중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는 30인이다. 그 중 대한민국 국적자는 25인이고 중화민국인이 5인이다. 2017년 1월 7일 현재 독립유공자로 건국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대한민국장 30명, 대통령장 93명, 독립장 806명, 애국장 3,886명, 애족장 5,016명 등 총 9,831명이다. 2009년 12월 최규식 민주당 의원을 통해 행정안전부에서 입수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여 및 반납, 취소내역'에 따르면 여운형이 제60호 훈장장을 받았고 전두환에 대한 서훈이 2006년 3월 28일 취소되었다.[4]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를 1962년 추서된 독립장에서 최고 등급 건국훈장인 대한민국장으로 승격 추서하였고[5], 2021년에는 봉오동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던 홍범도 장군 역시 1962년에 추서된 대통령장에서 대한민국장으로 승격 추서하였다. 수훈자 목록
같이 보기참고 자료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