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장![]() 고려장(高麗葬)은 고려 시대에 늙고 병든 사람을 지게에 지고 산에 가서 버렸다는 고려의 관습과 문화로 세간에 알려져 있다.[1]현대에 와서는 노인멸시, 노인차별, 노인학대 등을 가리킬 때 비유적으로 매우 자주 쓰이는 단어이기도 하다.[2] 실체노인 학대를 엄벌하던 고려의 제도고려 시대에는 반역과 더불어 불효를 중죄로 여겨 엄벌하였으며, 따라서 충효를 중시했다. 《고려사》에 “조부모나 부모가 살아있는데, 아들과 손자가 재산을 달리하고 공양을 하지 않을 때는 징역 두해에 처한다”고 하였다. 또한 국왕이 효행이 있는 사람과 노인들에게 잔치를 베풀어주고 선물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송나라의 서긍(徐兢, 1091년 ~ 1153년)이 지은 〈고려도경〉에는 극빈한 자식이 부모의 장례를 지내지 못하여 어쩔 수 없이 주검이 까마귀밥이 되게 하는 이야기를 소개하였는데, 살아 있는 노부모를 죽도록 내다버렸다는 내용과는 분명히 다르다는 사실을 볼 때, 고려에서 노부모를 함부로 내다버리지 않았다는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3] 풍장은 본래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여기는 철학에서 시작된 장례 풍습으로 최대한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죽고, 죽은 뒤 다른 생명들의 삶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굉장히 자연스러운 장례 풍습이다. 장례를 치를 돈이 없어서 풍장을 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티베트과 같은 종교적인 나라에서는 세상을 떠나기 전 풍장을 삶의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풍장을 전문적으로 돕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있다. 고려장이 역사상 최초로 등장하는 기록또한, 조선왕조실록에서
조선시대 세종실록의 해석에 다른 반론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조선왕조실록에도 고려장으로 추정할 만한 풍습에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는 주장은 '외사(外舍)로 내어 두게 되니'라는 구절을 '밖에 내다버리니'라고 오독한 것을 확대해석한 것이고, 외사(外舍)는 '안채'인 내사(內舍)와 대비되는 '바깥 행랑채'를 일컫는 말이다.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의 기록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쉽다.
더구나 노모를 지게에 진 채 산에 올라 깊은 산중에 노모를 버린 아버지의 아들이 아버지가 늙으면 아버지를 져다 버릴 것이다 하여 스스로 지게를 가지고 하산하려는 모습을 보고 노모를 버린 아버지가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게 된다는 이야기는 본래 중국의 〈효자전〉이 이야기의 출처고, 또한 사신이 문제를 내고 버려진 노모가 풀었다는 〈어머니의 지혜〉로 전해져 오는 이야기는 인도의 〈잡보장경〉 ‘기로국연조’가 원전이다. 고려장을 주제로 한 작품김기영 감독이 1963년에 제작한 흑백 영화 고려장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 전상국 작가가 1978년에 발표한 '고려장'이라는 단편 소설도 있다. 같이 보기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