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은 생활문화의 변화로 사라져가는 민속자료의 수집, 민속문화 원형의 발굴과 보존, 민속문화의 전승을 위한 전시장의 필요성 등이 증대됨에 따라 광주광역시가 설립한 공립박물관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 비엔날레 2길 213(용봉동 1004-4)에 위치하고 있다. 연혁광주시립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주요 소장품실내전시1층의식주와 생업, 민속공예에 대한 주제로 전시된다. 의식주에서는 광주·전남 지방은 온화한 기후와 풍부한 자원의 혜택을 받은 곳이며, 배산임수의 지형에 자리한 마을의 살림집은 'ㅡ'자형에 온돌과 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풍부한 재료와 섬세한 손기술로 음식문화가 발달하였고, 무명과 삼베의 생산성이 높여 의생활 또한 다채롭게 발달하였다. 생업에서는 광주, 전남 지방은 넓고 기름진 평야와 따뜻한 기후로 농업이 발달하였다. 2층기증자료와 세시풍속, 사회문화, 광주 100년을 주제로 전시된다. 《정지장군 갑옷》(보물 제336호), 《김봉선 대례복》(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6호)가 전시되어 있다. 기증자료박물관에 귀중한 자료를 기중한 분들의 정신을 확신시키기 위해 마련한 코너이다. 기증자는 광주·전남 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인사도 상당수이며, 기증품은 고문서.고서 등 고가의 유물에서 일상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기증된 유물은 교육 및 전시자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야외전시야외전시장은 100여점의 민속자료와 모정, 당산숲, 물레방앗간, 연자방앗간 등 민속 시설물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외에 광주시문화재인 십신사지석불과 석비, 태봉산의 태실, 입석, 장승, 조탑 등 민간신앙 대상물, 동자석, 문인석 등 묘지부속물, 맷돌, 획돌 등 각종 석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행사
조직관장
이용 안내관람시간
관람료편의시설
같이 보기교통 안내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