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일본어: 京都市営地下鉄烏丸線)은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에 위치한 고쿠사이카이간 역에서 후시미구의 다케다 역을 잇는 교토 시영 지하철의 노선이다. 개요교토 시의 최초 시영 지하철 노선이다. 기타오지 역 - 주조 역간은 가라스마 도리의 지하를 지나 도시 중심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개업 당시에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었지만, 다케다 역의 남측 개업 이후에는 전 열차가 6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역의 승강장이 장래 증결에 대응한 유효장으로 되어 있다. 노선의 특징연선에는 아래의 대학이 소재하고 있다.
교토 시내 주요 관광지 가운데 연선에 소재하는 것은 교토 고쇼(이마데가와 역, 마루타마치 역, 히가시 혼간지(교토 역, 고조 역)등에 그쳤고 그 외의 주요 관광지에는 지하철 도자이 선, 교토시 버스·교토 버스 등 노선 버스 이용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역사
운행 형태가라스마 선 반복 운행 외에 다케다 역에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교토 선으로 연장 운행하는 상호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2012년 3월 20일 개정 다이아에서 낮 시간대는 1시간 8편(7분 30초 간격. 가라스마 선 반복 5편, 신타나베 직통 보통 2편, 나라 직통 급행 1편)이 운행된다. 구간 운행은 없고 전 열차가 고쿠사이카이간 역과 다케다 역 간을 운행하고 있다. 가라스마 선 반복가라스마 선 반복 열차는 낮에는 매시 5편 운행된다. 다객기(가을 성수기, 기온마쓰리, 대문자 태워보내기 행사)에는 증편하는 경우가 있다. 교토 시 교통국의 차량과 주행 거리를 맞추기 위해 긴테쓰의 차량도 운용되고 있다. 역의 행선 안내와 열차의 행선막에 열차 종별은 나타나지 않고 '고쿠사이카이간', '다케다'등의 행선만 표시된다. 덧붙여 행선막의 경우 3200계는 열차 종별을 표시하지 않는 것(행선만 검은 문자)이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만, 3220계는 열차 종별 표시를 표시 없음(흑색)으로 운행한다. 직통 열차도 상행 열차(고쿠사이카이간행)의 경우는 다케다 역으로의 행선 표시만으로 변경된다. 신타나베 직통 보통긴테쓰 교토 선 신타나베 역 발착의 열차가 낮에는 매시 2편(30분 간격) 운행된다. 새벽에 1편만 긴테쓰 미야쓰 역 출발 고쿠사이카이간행 보통이 운행되고 있다(긴테쓰 미야쓰행 열차는 없다). 또한 도시샤 대학 교타나베 교지(캠퍼스)에 가까운 코도 역은 급행이 정차하지 않는 것과 가라스마 선 직통 보통 열차가 신타나베 역에서 종착하기 때문에 긴테쓰 보통 운행 간격이 7분 반 - 22분 반 간격으로 벌어져있다(자세한 것은 '코도 역'의 항목을 참조). 긴테쓰 나라 직통 급행2000년 3월 15일의 다이아 개정으로 등장했다. 긴테쓰 나라 역발착의 급행 열차(가라스마 선내 각역 정차)가 낮 시간대에 매시 1편(60분 간격), 아침에도 고쿠사이카이간 역 출발만 2편(토·휴일은 1편)운전된다. 덧붙여 2012년 3월 20일의 다이아 개정 이전에는 낮 시간대는 매시 2편(30분 간격) 운행되고 있었다. 차량
역 목록
연장 계획아부라노코지 도리 고밀도 집적 지구로 지정되어 활성화를 기대하며 다케다 역에서 긴테쓰 교토 선과 분기하는 요코오지 부근까지 4.4km를 연장할 계획이 있다. 노선은 성앞의 큰 길을 지나 게이한 본선 주쇼마 역과 도요 역 사이 부근까지로 되어있다.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국토교통성의 자문 기관)가 2004년 10월 8일에 중장기적으로 원하는 철도 네트워크로서 다케다 역 이남의 연장 계획을 답신했다. 게다가 우지 강을 넘어 남진해 우지 강 남부에 계획되고 있는 라쿠난 신도시까지의 연장 구상도 있었지만,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에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북단도 이와쿠라 지구까지 연장하는 구상이 있었는데 이쪽도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에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