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국제관광특구

금강산국제관광특구
금강산국제관광특구 지도
현황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면적 530 km2
인구 미상 명
인구밀도 미상 명/km2
행정구역 미상시 미상군 미상구 미상지구
도당위원장 미상
인민위원장 미상

금강산국제관광특구(金剛山國際觀光特區, 영어: Mount Kumgang Tourist Region, MKTR) 또는 이전 명칭 금강산관광지구(金剛山觀光地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한 특구이다.

연혁

  • 2002년 금강산국제관광특구 설치

역사

특구 설치

2002년 금강산 관광을 개방하면서 설치되었다. 금강산국제관광특구에 포함되는 지역은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온정리 일부, 삼일포, 해금강, 금강군 내금강, 통천군 일부이다. 대한민국 정부현대아산과 함께 금강산지구를 현대화하였다. 이는 호텔, 골프 리조트, 도로, 철로, 전선 등을 포함한다.

남한 관광 허용

대한민국의 관광객들은 1998년 11월부터 금강산 관광이 허용되었다. 처음 금강산 관광은 크루즈를 이용해서 관광하는 것이었지만 이후에는 육로를 통해 금강산으로도 갈 수 있게 되었다.[1][2][3] 그러나 이는 2008년 이후로 불가능해졌다.

금강산관광 중단

2008년 7월 11일 발생했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으로 인해 2008년 7월 13일부터 대한민국에서의 금강산 관광은 임시 중단되었다.[4][5][6]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관광재개 조건으로 진상규명, 재발방지 대책 마련, 신변안전보장 강화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 요구하였다.[7] 그러나 북한은 이에 대한 조사를 거부하면서 관광은 중단되었다.[8][9] 그리고 노무현 정부 이후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강경한 대북정책에 따라서 남북관계 또한 경색된다.

금강산 지구 내 남한 정부 자산 무단 동결 및 철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0년 4월 금강산관광지구에 있는 대한민국 소유 부동산에 대해 몰수, 동결 조치하고, 2011년 4월 8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현대아산의 금강산 관광사업 독점권을 취소하였다. 동년 4월 29일에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정령으로 금강산 국제관광특구법을 채택했다.[10][11] 남북간 거듭된 협의 시도가 있었지만 성사되지 못한 채, 2011년 8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 재산에 대한 법적 처분을 단행하겠다고 통보하였고, 2011년 8월 말부터는 외국 언론사 및 관광회사를 대상으로 나선-금강산 시범크루즈관광을 실시하고 있다.[12][13]

2019년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금강산 내 남측 시설을 철거하라는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으로 실제 행동으로 취하진 못하였다.[14][15] 김정은이 직접 언급한 시설은 금강산 호텔, 외금강 호텔, 금강산 아난티 골프 리조트 등이다.[16] 2024년 4월, 북한은 일방적으로 대한민국 정부 소유인 금강산 관광지구 내 소방서를 철거하였다.[17] 2025년 2월 13일, 북한은 일방적으로 이산가족면회소를 철거하기 시작하였다.[18][19][20]

현재

대한민국미국을 제외한 국가의 국민들은 관광을 할 수 있으며, 중국, 일본, 러시아에서 관광을 온다.[21]

사진

각주

  1. 머니투데이 (2016년 11월 18일). “18년 전 오늘… 800여명 태운 금강산 관광 크루즈 첫 뱃고동”.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2. “국가기록원>기록물열람>통합검색>국정분야주제별검색>분야별주제검색”.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3. “승용차 몰고 북한가던 '금강산 관광'. 《BBC News 코리아》.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4. “실종 공무원 피격에 재조명되는 12년 전 '박왕자 사건'. 2020년 9월 25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5. “합조단 ‘北, 박왕자씨 100m 이내 총격’”.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6. 뉴스, SBS (2020년 9월 24일). “12년 전 '박왕자 피살 사건' 보다, 충격 더 큰 이유”.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7. “보도자료< 통일부소식< 통일부”.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8. “북, ‘금강산 피격’ 진상 조사 전통문 거부”.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9. “남북, ‘금강산 피살’ 사건 놓고 대립각”. 2008년 7월 12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0. 김상원; 최영택; 주위 (2019년 1월).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과 규정 고찰”. 《동북아관광연구》 15 (3): 29–49. ISSN 1738-8929. 
  11. “Newstream” (미국 영어).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2. 통일부 (2012년 3월). “2012 통일백서”. 
  13. 박민희 (2011년 8월 31일). “북 나진~금강산 오가는 크루즈 ‘만경봉호’ 출발”.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4. “북한, 금강산 시설 철거 협의 통지문 보내...한국 “국민의 재산권 보호 최우선””. 2019년 10월 25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5. 기자, 김유진 (2019년 10월 23일). “금강산 간 김정은 “남측 시설 싹 철거””.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6. “금강산호텔·리조트 숙박시설부터 골프장·면세점까지 ‘철거 날벼락’”. 2019년 10월 23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7. “北, 금강산 韓정부 자산인 소방서 첫 철거… 이산면회소도 위기”. 2024년 5월 11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8. 이근평 (2025년 2월 13일). “北, 이번엔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철거…정부 "즉각 중단해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9. “Rason - Mt Kumgang Cruise” (영어). 2012년 3월 18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20. “North Korea Cruising” (영어). 2013년 5월 21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21. “North Korea seeks Chinese tourists for Mount Kumgang resort” (영어). 2011년 9월 1일. 2025년 2월 13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