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의 아이들
![]() 《김일성의 아이들》(영어: KIM IL SUNG’s Children)는 2020년에 한국전쟁 70주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전쟁고아들의 동유럽 이주라는 이색적인 소재를 통해 냉전 체제 속에서 북한 체제 형성 과정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자료와 생존자들의 증언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품이다. 역사적 가치를 인정 받아 2020년 10월 대한민국 국가기록원 에서는 '공공 기록물법 46조’에 의거 국가적으로 영구히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기록물에 한 해서 심사를 거쳐 기록물로 선정했다. 현재 영화 ‘김일성의 아이들’은 국가기록원 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 미국 Amazon Prime에서 영어 자막판과 일본어 자막판도 상영되고 있다. 시놉시스1950년부터 1953년까지 한국 전쟁으로 남과 북에서 10만 명의 전쟁고아들이 발생했다. 전쟁의 상처를 치유할 능력조차 없던 시절, 남과 북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쟁고아 문제를 처리하게 된다. 남한의 전쟁 고아들이 ‘해외 입양’이라는 방식을 통해 유럽과 미국으로 이주했다면, 북한의 전쟁고아들은 동유럽 여러 나라에 분산 수용되는 방식이었다. 이름하여 현지 ‘위탁 교육’이었다. 그 결과 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체코, 헝가리 등 동유럽 낯선 곳들에서 5천 명에서 1만 명에 달하는 북한 전쟁고아들이 10년 동안 생활을 했다. 이 이야기는 그들의 숨겨져 있던 삶에 대한 기록이다. 루마니아 (2,500명), 폴란드 (1,400명), 체코 (700명), 헝가리 (500명), 불가리아 (500명) 공식적인 외교문서에 기록된 숫자는 약 5천 명, 하지만 실제로는 1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캐스팅
미디어 및 전문가 평가
역사적 배경영화를 관통하는 다섯 가지 질문‘그 아이들은 왜 왔을까?’ (Why) ‘그들은 누구였을까?’ (Who) ‘유럽이란 낯선 땅에서 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How) ‘그리고 1959년 바람처럼 왜 한순간에 북으로 돌아가야 했을까?’ (When) ‘과연 지금 그들은 어디서 어떻게 살고 있을까?’ (Where)
❝ 김일성은 유럽의 문화와 사고 방식에 익숙해진 아이들이 자신의 유일 사상체제로 유지되는 북한 사회에 반기를 드는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적지 않은 수의 북한 아이들 역시 북으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 그 결과 북한 아이들이 머물던 기숙사에서 탈출 사건이 발생한다. 이런 사례는 루마니아, 폴란드, 헝가리 등지에서 주로 일어났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1957년 5월 폴란드에서 일어난 사건을 들 수 있다. 당시 북한 대사관은 폴란드 정보 당국으로부터 긴급 전문을 하나 받게 된다. 북한 전쟁고아들이 머물고 있는 프와코비체에서 북한 학생 2명이 기차를 타고 오스트리아로 도망치려다 국경 검문소에서 적발되었다는 내용의 전문이었다. ❝2명이 북한 학생들은 즉시 북한 정보원들에게 체포되어 북한으로 강제 송환되었다. 아이들이 도망쳤던 프와코비체는 당시 폴란드에서 1,400여 명의 북한 전쟁고아들이 머물렀던 지역이었다.❞ 수상 목록
촬영 및 기록 발굴 현장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체코, 독일 동유럽 5개 나라에 숨겨져 있던 1950년대 북한 전쟁고아들의 행적에 관한 역사적 자료 발굴과 생존자 인터뷰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총 15년 동안 개인의 사비를 털어서 1950년대 동유럽의 역사적 현장을 발굴. 북한 전쟁고아들의 친구이자 교사였던 동유럽 생존자 12명과 극적 인터뷰!
폴란드 국가기억원, 루마니아 기록필름보관소, 루마니아 국립도서관, 불가리아 기록보관소 헝가리 MTVA Archivum, 체코 발레치 문화재보존국, 폴란드 바르샤바 대학교 도서관, 루마니아 부큐레시티 대학 도서관 등에서 확보한 북한 아이들의 생활 모습이 고스란히 담긴 역사적 자료 발굴 ❝ 루마니아, 불가리아, 폴란드 등지에서 찾아낸 35mm 기록필름들, 그리고 100여 장의 사진과 북에서 보낸 아이들의 편지 50여 통의 발굴 ❞ 감독 프로필영화 ‘김일성의 아이들’ 각본, 감독, 촬영, 편집, 제작. 1965년 서울 출생. 서강대학교 철학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 30년 가까이 방송과 영화를 넘나들며 다큐멘터리 제작
<뒤늦게 발동걸린 인생들의 이야기>, <세상은 모두 다큐멘터리였다>, <그리스의 시간을 걷다>, <내가 그리로 갈게> (소설), <하루키에겐 피터캣 나에겐 통의동 스토리가 있다>, <유레일 루트 디자인>, <뒤늦게 발동걸린 인생 2>, <논픽션 김일성의 아이들> 등의 저작 활동
Universitry of Iceland, 인류학과 방문학자 (2019년 3월) 미국 Colorado State of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학과 방문학자
논픽션 김일성의 아이들다큐멘터리 제작 과정과 영화에서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 자료, 사진들을 추가해서 만들어진 도서 <논픽션 김일성의 아이들>
15년 동안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의 집념 어린 역사 추적을 통해 세계 최초로 공개되는 북한 전쟁고아들의 미공개 자료들. 1950년대 동유럽에 이주했던 북한 전쟁고아들에 관한 숨겨진 비밀을 추적한 다큐멘터리 영화 ‘김일성의 아이들’의 제작 보고서.
‘아이들 사이에서는 반장이 있었어요. 위 아래가 명확했죠. 아직도 그들이 쓰던 단어들이 기억 납니다. ‘오라’, ‘가라’, 그리고 ‘새끼야!’. ‘새끼야’라는 단어는 개를 뜻하는 말이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상급생이 하급생을 부를 때 쓰던 말이었죠.’ (53쪽)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