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1953년 11월 10일{호적 1955.1.15}~)은 대한민국의 신학자이자 백석대학교에서 신약학 교수를 역임하였다.[1][2]
그는 국내외 학계에서 에베소서 권위자로 통한다. 영국 더럼 대학교의 제임스 던 교수와 글래스고 대학교의 존 바클레이 교수 등 세계적인 석학들로부터 사사를 받았다.[3] 현재 BnC Mission Center 대표이다. 그는 독립운동가 김인두의 손자이다. 호는 어인(魚仁)이다.
신학 방법
이숙영 박사에 따르면 김정훈 교수는 교회론적 하나님 나라의 강조와 믿는 자의 실천적 삶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와 종말론적 그리스도의 재림 신앙 -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그 나라가 최종 완성을 보게 될 것이라고 하는 - 에 대한 강조는 그의 신학체계의 근본 틀이 무엇인지 엿볼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 그의 신학의 특징은 한마디로 성경적이고 융복합적(融複合的)이고 입체적이며, 또한 실천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4]
학력
- 1979. 2 총신대학교(B.A.)
- 1985. 12 합동신학교(M.Div.)
- 1993. 12 영국, 더람대학교(University of Durham) 신학대학원(M.A.)
- 1998. 8 영국, 글라스고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 신학대학원(Ph.D.)
교수 활동
- 1998. 8. 24 - 2000. 2. 29 광신대학교 전임교수(조교수)
- 2000. 3. 1 - 2006. 3. 31 백석대학교 조교수
- 2006. 4. 1 - 2013. 3. 31 백석대학교 부교수
- 2014. 4. 1 – 2020. 2. 28 백석대학교 교수
- 2020. 2. 28 백석대학교 정년퇴임
경력
- 2020. 3. 1 - 현재 BnC Mission Center 대표
목회 활동
- 1976. 4.1 - 1981. 12. 20 충현교회 교육전도사
- 1984. 1. 1 - 1989. 9. 6 강변교회 전도사, 강도사, 부목사
- 1992. 3 – 1998. 8 Durham Presbyterian Church 협동목사
- 1998. 11. 1 - 2000. 2. 29 광주중앙교회 협동목사
- 2006. 10. 26 – 2014. 12. 31 하늘문교회 설교목사
학위 논문
- M.A.: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Ecclesiology in Ephesians in the Light of Eph. 1:22-23.
- Ph.D.: The Significance of Clothing Imagery in the Pauline Corpus.
저서
- Kim, Jung Hoon. The Significance of Clothing Imagery in the Pauline Corpus, JSNTS 268, ed. Mark Goodacre(London/New York: T. & T. Clark International, 2004).
- 김정훈, 『작은 구름 한 조각』(서울: Th. & E., 2008).
- 『약속, 성취, 그리고 하나님 나라』(서울: Th. & E., 2012).
- 『바울서신연구』(서울: Th. & E., 2014).
- 『사도들의 설교와 신학』(수정증보판; 서울: 도서출판 그리심, 2019).
역서
- Kistemaker, S. Calvinism, 『칼빈주의』, 김정훈 역(서울: 성광문화사, 1982).
- Clowney, E.P. Preaching and Biblical Theology, 『설교와 성경신학』, 김정훈 역(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2).
- Ridderbos, H. Studies in Scripture and Its Authority, 『성경의 권위』, 김정훈 역(서울: 한국기독 교교육연구원, 1982).
- Ironside, H.A. Hosea, 『호세아』, 김정훈·이상원 공역(서울: 복자서원, 1990).
- Milne, B. Know the Truth, 『복음주의 조직신학 개론』, 김정훈 역(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 Best, E. Ephesians, New Testament Guide, 『에베소서』, 신약성경가이드(서울: 이레서원, 2003).
-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우리말성경』, 박철현·강정주·이성훈·유윤종·최순진·허주· 김정훈 공역(서울:두란노, 2005).
논문
김정훈, “칼빈의 인간관,” 『칼빈과 개혁신학』, 정규오 목사 퇴임논총(광주: 광신대학교출판부, 1999): 137-68.
- “칼빈의 예정론,” 『광신논단』(광주: 광신대학교출판부, 2000)
- “유기적 통일체로서의 교회: 에베소서 4:1-16에 대한 연구,” 『종교개혁과 개혁신학』, 홍치모 교수 은퇴기념논문집(서울: 성광문화사, 2000): 925-48.
- “사도행전도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성서사랑방』 제14호(서울: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0): 70-81.
- “하나님을 찬미할 세 가지 이유,” 『성서마당』 제42호(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00)
- “바울서신에 나타난 ‘옷 입음’ 은유를 이해하기 위한 종교사적 배경연구,” 『신약신학저널』, Vol. 1 (서울: 이레서원, 2000, 창간호): 33-56.
- “바울서신에 나타난 ‘옷 입음’ 은유의 의미,” 『신약신학저널』 Vol. 3(서울: 이레서원, 2000, 제1권 3호): 227-45.
- “우주의 머리되시는 그리스도와 교회”, 『신학정론』, 제18권 2호(수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0): 399-424.
- “에베소서의 플레로마에 대한 종교사적 배경연구,” 『신약신학저널』, Vol. 5(서울: 이레서원, 2001, 제2권 2호): 126-45.
-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엡 1:23a): 문맥과 어구 자체에 대한 고찰,” 『신약신학저널』, Vol. 9(서울: 이레서원, 2001, 제3권 2호): 176-89.
- “박영선 목사의 설교와 성경해석,” 『박영선 목사와 그의 설교』, 학국교회 설교자와 설교 세미나 제1회(서울: 개혁신학연구소, 2001): 121-37.
- “그리스도의 충만으로서의 교회: 엡 1:23bc연구,” 『신학정론』 제19권 2호(수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1): 429-52.
- “에베소서에 나타난 케팔레의 종교사적 배경연구,” 『칼빈의 신학과 한국교회의 과 제』, 신복윤 명예총장 은퇴 기념논문집(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2).
- “스데반의 설교와 신학: 성경적 급진주의(?),” 『기독신학저널』, Vol. 2(서울: 천안대학교기독신학대학원, 2002): 29-62.
- “재난과 극복,” 『성서마당』 제57호(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02).
- “에베소서의 배경과 신학적 의의,” 『에베소서‧빌립보서‧골로새서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HOW주석, Vol. 10, 목회와신학 편집부 엮음(서울: 두란노, 2003): 27-37.
- “에베소서 5:22-33에 내포된 ‘그리스도의 몸’의 의미,” 『기독신학저널』, Vol. 4(서울: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3): 105-29
- “본문연구: 엡 1:22b를 보다 정확히 읽기 위하여,” 『기독신학저널』, Vol. 5(서울: 천안대학교기독신학대학원, 2003): 227-35.
- “로마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義),” 『로마서와 하나님의 의(義)』, 프로에클레시아, Vol. 5(서울: 도서출판그리심, 2004)
- “이웃 사랑을 통한 칭의의 실현,” 『로마서와 하나님의 의(義)』, 프로에클레시아, Vol. 5(서울: 도서출판그리심, 2004)
- “서평: 이필찬 저, 『요한계시록 어떻게 읽을 것인가?』,” 『기독신학저널』, Vol. 7(서울: 천안대학 교 기독신학대학원, 2004): 313-21.
- “미리 본 새 하늘과 새 땅(사 65:17-25),” 『이사야서와 세상의 구원』, 프로에클레시아, Vol. 6(서울: 도서출판 Th. & E., 2004): 98-126.
- “신약성경에 나타난 해석학적 단초들,” 『교회와 문화: 오늘날의 성경해석과 설교』, 제15호(서울: 도서출판 토라, 2005): 9-37.
-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본 가나의 이적(요 2:1-11),” 『요한복음과 영원한 생명』, 프로에클레시아, Vol. 7(서울: 도서출판 Th. & E., 2005)
- “에베소서에 나타난 ‘소마’ 개념의 종교사적 배경연구,” 『그 아들에게 입맞추라』, 윤 영탁 박사 은퇴기념논총(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5): 323-45.
- “국가에 대한 교회의 정치적 책임에 대하여: 신약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회 발표 논문(미출판, 2005).
- “본문주석: 히브리서 11:1-3을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기독신학저널』, Vol. 8(서울: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5): 257-61.
- “새 세대에 요구된 할례의 징표(수 5:2-9),” 『여호수아서와 약속의 땅』, 프로에클레시아, Vol. 9(서울: 도서출판 Th. & E., 2005): 50-75.
- “번역: 데이빗 힐본, ‘인권의 보편성과 기독교 윤리: 한 복음주의적 관점,” 『기독신학저널』, Vol. 9(서울: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5): 269-303.
- “Edmund P, Clowney의 설교와 성경신학의 관계에 대한 이해,” 『교회와 문화: 에드문드 클라우니의 신학과 설교』, 제17호(서울: 도서출판 토라, 2006): 5-38.
- “신약 주석을 통해 본 깔뱅의 성경관,” 『한국교회의 신학인식과 실천』, 유강 김영재 박사 은퇴기념논총(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6): 98-131.
- “사도바울과 영성,” 『기독신학저널』, Vol. 10(서울: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6): 61-96.
- “예레미야 31:31-34, ‘새 언약’,” 『말씀의 창: 본문주석에서 설교 착상까지』, Vol. 1(서울: 도서출판 Th. & E., 2006): 59-69.
- “히브리서의 배경, 특징, 구조, 내용 그리고 신학,” 『히브리서와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 프로에클레시아, Vol. 9(서울: 도서출판 Th. & E., 2006): 12-49.
- “레갑 족속을 통한 실물교육(렘 35:1-19),” 『예레미야서와 선지자적 눈물』, 프로에클레시아, Vol. 10(서울: 도서출판 Th. & E., 2006): 31-50.
- “베드로전서 3;19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기독신학저널』, Vol. 12(서울: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5): 229-37.
- “방언이냐? 예언이냐? (고전 14:1-25),” 『고린도전서와 하나님의 지혜』, 프로에클레시아, Vol. 11(서울: 도서출판 Th. & E., 2007): 60-81.
- “‘말’의 중요성과 질서에 관하여,” 『고린도전서를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HOW주석, Vol. 40(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07): 193-203.
- “서평: 조석민, Jesus as Prophet in the Fourth Gospel,” 『기독신학저널』, Vol. 13(서울: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7): 329-37.
- “제사장의 옷,” 『출애굽기와 하나님의 백성』, 프로에클레시아, Vol. 12(서울: 도서출판 Th. & E., 2007): 217-30.
- “천국이 침노를 당하다(마 11:7-15),” 『마태복음과 예언의 성취』, 프로에클레시아, Vol. 13(서울: 도서출판 Th. & E., 2008): 67-86.
- “마태복음 11:12에 나타난 비아조마이의 의미,” 『기독신학저널』, Vol. 15(서울: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8): 271-75.
- “에베소서 개관: 평가, 배경, 구조, 그리고 신학,” 『에베소서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프로에클레시아, Vol. 15(서울: 도서출판 Th. & E., 2009): 12-35.
- “그리스도의 지옥강하: 벧전 3:18b-20 연구,” 『교회와 문화: 베드로전서 주해와 신학』, 제24호(서울: 도서출판 토라, 2010): 67-103.
- “The Armament Metaphor in 1 Thessalonians 5:4-8,” 『교회와 문화: N.T. 라이트 신학에 대한 성경신학적 입장』, 제25호(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0): 155-71.
- “누가복음의 기독론,” 『누가복음과 치유자 예수 그리스도』, 프로에클레시아, Vol. 17(서울: 도서출판 Th. & E., 2010): 191-209.
- “에베소서 1:1-23 이해,” 『백석신학저널』, Vol. 19(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211-20.
- “에베소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몸의 의미’: 에베소서 2:14-18 주해를 중심으로,” 『백석신학저널』, Vol. 21(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107-34.
- “Clothing with Spiritual Armour in Pauline Letters: Focusing on Rom 13:12 and Eph 6:11-17,” 『민수기와 성도의 법도』, 프로에클레시아, Vol. 20(서울: 도서출판 Th. & E., 2011): 113-50.
-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본 신약성경을 어떻게 강의할 것인가?” 『백석신학저널』, Vol. 23(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137-60.
- “빌립보서 개관: 배경, 내용 분해, 특징, 그리고 신학,” 『빌립보서와 성도의 기쁨』, 프로에클레시아, Vol. 21(서울: 도서출판 Th. & E., 2012): 12-31.
- “에베소서 4:1-16에 내포된 ‘그리스도의 몸’의 의미,” 『백석신학저널』, Vol. 24(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129-50.
- “에베소서 2:11-22 주해,” 『백석신학저널』, Vol. 25(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197-209.
- “헌금과 축복(고후 9:1-10),” 『고린도후서와 새 언약의 일꾼』, 프로에클레시아, Vol. 23(서울: 도서출판 Th. & E., 2013): 61-80.
- “칼빈의 칭의론과 새관점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백석신학저널』, Vol. 27(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133-70.
- “그리스도의 ‘몸’ 곧 ‘충만’으로서의 교회,” 『백석신학저널』, Vol. 29(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263-72.
- “‘새 관점’의 근본 틀, ‘칭의’ 이해, 그리고 신자의 ‘행위’ 이해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개혁신학』, 제52호(2016): 88-147.
- “교회 연합운동의 신학적 토대로서의 개혁주의 생명신학,” 『백석신학저널』, Vol. 30(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6): 27-62.
- “보편적 은혜 구원으로서의 하나님 나라,” 『백석신학저널』, Vol. 33(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211-22.
- “디모데전서 4:6-16에 나타난 참 목자상: 강해와 설교를 위한 주해적 연구,” 『백석신학저널』, Vol. 35(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89-113.
참고 문헌
- <한국의 신학자들 1> (아벨서원, 2021년)
- 김철수, 내 삶의 역정: 하늘에서 드리운 손잡고 넘고 또 넘었다. (도서출판 PE, 2004)
같이 보기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