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털![]() 꼬리털(尾毛, cercus)은 보통 곤충과 결합강 등 많은 절지동물의 몸의 맨 끝 마디에서 보이는 한 쌍의 부속지이다. 감각기관으로 작동하나 일부는 교미용 또는 꼬집을 수 있는 무기로서 기능한다.[1] 많은 곤충에서 단순 기능이 없는 흔적 기관으로 남아있다. 좀벌레 같은 초기 절지동물의 경우, 꼬리털이 배의 제11마디에 달린다. 제11마디는 절지동물들 대다수에서 퇴화해 있거나 없어졌기 때문에, 꼬리털이 제10배마디에서 나타나기도 한다.[2] 그렇게 이름이 붙어진 다른 구조가 상동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결합강의 경우 방적돌기와 관련되어 있다.[1] 형태 및 기능꼬리털 대부분이 마디지고 합쳐져 있거나 실 모양이지만, 일부는 매우 다른 형태로 되어 있다. 집게좀붙이 등 일부 좀붙이의 경우, 먹잇감을 붙잡는 데에 사용하는 크고 단단한 겸자 형태의 꼬리털을 가지고 있다.[3] 집게벌레목의 경우 겸자형 꼬리털을 가지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의 종들이 이를 가지고 있으나 아릭세니아아목(Arixeniina)과 헤미메루스아목(Hemimerina)은 그런 형태의 꼬리털이 아니다. 얼마나 많은 집게벌레류가 방어밖에 사용하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몇몇 종은 집게좀붙이과가 그러는 것처럼 꼬리털로 먹이를 붙잡는다.[3] 귀뚜라미는 특정상 길다란 꼬리털을 가진 한편 다른 곤충들은 눈에 띄게 매우 작은 꼬리털을 가지기도 한다. 그러나, 작은 꼬리털이 기능이 없는지는 항상 확실하지 않다. 감각세포가 풍부하며 교미와 산란 지시에 중요하다. ![]() 귀뚜라미 및 바퀴벌레 등의 무리에 있는 꼬리털은 중요한 감각기의 역할을 맡는다. 공기 호흡 및 저주파 진동에 민감한 것으로 보여지며, 특정 천적에 반응하여 탈출하는 반포식 반응을 유발한다. 귀뚜라미아과에서 꼬리털에 의한 주파감지 범위는 초저주음부터 1kHz 근처에까지 걸쳐있다. 귀뚜라미의 경우, 마찰음 및 초음파의 박쥐 울음소리 등의 고주파음은 꼬리털이 아닌 별개의 고막 기관으로 가려낸다.[4] 하루살이, 좀목, 좀붙이목 등의 육각류는 배 끝에서 뻗어나온 중앙미사가 달려 있다. 이것은 꼬리털과 관련이 없다.[2] 진딧물은 튜브 모양의 꼬리뿔 또는 뿔관을 가지고 있으나 형태학상 꼬리털과 관련이 없다. 진화 기원큰턱, 더듬이, 첨지 등 다른 절지동물의 신체 일부처럼, 꼬리털도 머리와 앞몸마디 뒤로 각각의 마디마다 한 쌍의 다리가 달리는 지렁이 같이 생긴 발톱벌레, 결합강 또는 순각강을 닮은[5] 원시 절지동물(또는 원시 곤충)의 다리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3] 사진
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