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별을 부르는 이름으로 관습적 명칭인 미모사와 역사적 명칭인 베크룩스가 있다.[10]미모사는 '배우'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나 같은 이름을 지닌 풀에서 온 것일 수도 있다.[11]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12]을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7월 항성 명칭을 최초로 공고했으며 미모사는 여기에 포함되었다.[13]
남십자자리 베타(β Cru)는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에 의해 지칭하는 표기이다. 베크룩스(Becrux)는 근대에 바이어 명명 방식을 축약하여 표현한 이름이다.[1]
미모사는 대략 −60°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북위 30° 이북에서는 볼 수 없다.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인들은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 때문에 이 별을 볼 수 있었으며 미모사를 센타우루스자리의 일부분으로 간주했다.[14]
중화권에서 미모사는 십자가(十字架)에 속해 있는데 십자가의 구성원은 아크룩스, 미모사, 가크룩스, 남십자자리 델타이다.[15] 이 중에 미모사 하나를 일컫는 명칭은 십자가3(十字架三)이다.[16]
항성계
남십자자리의 모습. 미모사는 4개 별 중 9시 방향에 있다.
시차 자료에 기반하여 계산한 지구로부터 미모사까지의 거리는 약 280 광년(86 파섹)이다. 1957년 독일 천문학자 불프 디터 하인츠는 미모사가 분광쌍성임을 알아냈다. 미모사의 구성원들은 너무 가까이 붙어 있기 때문에 망원경으로 봐야 분리되어 보인다.[17] 구성원 둘의 간격은 5.4 ~ 12.0 천문단위이며 서로를 5년에 1회 공전하고 있다.[7] 미모사 항성계의 나이는 800만 ~ 1100만 년에 불과하다.[6]
주성(主星) 미모사 A는 태양 질량의 16배 정도로 무거운 항성이다. 이 별의 예상 자전 속도는 초당 35 킬로미터 정도이다. 그러나 두 별의 공전면 각도는 약 10°로 A의 극 경사각 역시 작을 확률이 높다. 이로부터 추정되는 A의 방위각 회전 속도는 매우 높아 초당 120 킬로미터 정도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약 8.4배로 이로부터 항성이 1회 회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3.6일 정도밖에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6]
미모사 A의 유효온도는 약 27,000 켈빈으로 불안정띠의 온도 상한선에 해당되지만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A의 맥동 형태는 모두 세 종류가 있는데 셋 모두 방사형이 아니다. 맥동 패턴 셋의 주기는 모두 4.03 ~ 4.59 시간 범위 내에 있다. A의 분광형은 B0.5 III으로 광도분류 III은 이 별이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고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임을 뜻한다. 항성 외포층의 뜨거운 온도 때문에 별은 B형 항성의 특징인 청백색 빛을 띤다.[18] A는 강력한 항성풍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매년 태양 질량의 10−8배에 해당되는 물질을 잃고 있다. 이는 미모사 A가 100만 년 동안 태양 질량과 맞먹는 물질을 잃고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항성풍은 미모사 계를 초당 2000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속도로 떠나고 있다.[6]
반성 미모사 B는 분광형 B2의 주계열성일 확률이 높다.[7] 2007년 세 번째 반성의 발견이 공식 발표되었다. 이 별은 질량이 작은 전주계열성일 확률이 높으며 찬드라 엑스선 천문대에서 이 별의 엑스선 방출을 포착했다. 미모사 계에서 각각 44 초각, 370 초각 떨어져 있는 다른 별 두 개는 물리적으로 묶여 있지 않은 안시 동반성 같다. 미모사 계는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에서 '아래쪽 센타우루스자리-남십자자리 서브그룹'의 일원일 가능성이 있다.[19] 이 성협은 같은 곳에서 태어난 항성들의 무리이다.[6]
↑ 가나다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02025. Bibcode:2009yCat....102025S.
↑Evans, D. S. (June 20–24, 1966).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30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57쪽. Bibcode:1967IAUS...30...57E.
↑ 가나다라Aerts, C.; 외. (January 1998), “Evidence for binarity and multiperiodicity in the beta Cephei star beta Cruc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9: 137–146, Bibcode:1998A&A...329..137A
↑Kilian, J. (February 1994), “Chemical abundances in early B-type stars. 5: Metal abundances and LTE/NLTE comparis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282 (3): 867–873, Bibcode:1994A&A...282..867K
↑Heintz, W. D. (October 1957), “The radial velocity variation of beta Crucis”, 《The Observatory》 77: 200, Bibcode:1957Obs....77..200H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