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지향 개발대중교통 지향 개발(大衆交通指向開發, TOD)은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의 약자로서,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된 복합적인 용도의 주거 및 상업 지역 개발이며,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주목적으로 하는 개발을 말한다. TOD는 도심 지역을 대중 교통 체계가 잘 정비된 대중 교통 지향형 복합 용도의 역 또는 정류장(철도역, 전철역, 트램 정류장, 버스 정류장)와 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고밀도 지역으로 정비하고 외곽 지역은 저밀도의 개발과 자연 생태 지역의 보전을 추구한다. 개요도시 계획에서 대중 교통의 발달 거리 (TOD)는 공공 교통 수단에서 도보로 이동가능한 거리에 있는 주거공간, 비즈니스 공간 및 여가 공간의 양을 최대화하는 도시 개발 유형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가용 사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을 촉진하여 대중 교통 이용자 수를 늘리는 것이 목표이다. TOD는 일반적으로 고밀도 인구 지역 (예를 들어 기차역 또는 전철 또는 버스 정류장)에 적용되며 이를 통해 지역에서 저밀도 지역이 펼쳐진다. TOD는 또한 일반적으로 블록 크기와 자동차 전용 면적을 줄임으로써 다른 지역보다 걷기 편하도록 설계되었다. TOD의 시초TOD는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의 건축가 Peter Calthorpe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이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스웨덴, 프랑스 등지에서 만든 계획 도시가 이러한 TOD이론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와 유사한 예로 네덜란드의 매립지와 덴마크의 지역 평등을 추구한 교외 바깥 지역 개발 사업을 들 수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TOD에 기반한 철도 교통 밀집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반 마일[1] 반경의 원을 사용하는 등 대중 교통 지향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다. TOD(대중 교통 지향 개발)와 TPD(대중 교통에 의한 근접 개발)의 차이점TOD는 TPD와 비교하여 한 도시의 단위로 토지이용과 교통과의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대중 교통 밀집 지역 중심의 복합적인 토지이용과 보행친화적인 도보 환경을 만듦으로써 무분별한 도시 개발을 막고 개인 교통수단의 통행 패턴을 대중 교통 및 녹색 교통 위주의 통행 패턴으로 유도하여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 및 자동차 운행 중 발생하는 소음 공해를 감소시켜 시민의 편리한 사회 생활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반면 TPD는 이러한 고밀도 개발 및 토지이용 패턴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대중 교통을 중심으로 한 주변 개발을 의미한다. 세계의 TOD 정책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도시들라틴 아메리카
북아메리카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