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모스크 목록

7세기 중반부터 당나라 시대에 동아시아 지역을 왕래하며 신라, 즉 삼국 시대 중 하나와 조약을 맺은 무슬림 상인들에 의해 모스크 건축이 기록되었다.[1][2] 이후 이슬람교가 대한민국에 들어온 것은 9세기 통일신라[3] 시대에 페르시아인아랍인 상인 및 항해사들이 도착한 이후로 확인된다.[4] 다음은 대한민국모스크 목록이다.

이름 사진 위치 건축 연도/세기 비고
부산 알-파타흐 성원
한국 이슬람 부산성원
파일:Busan AL-FATAH MASJID 06.jpg 부산광역시 1980 서울 성원 이후 한국 무슬림들의 기부로 지어졌다.
대전 이슬람 센터
대전 이슬라믹 센터
파일:Islamic Center of Daejeon.jpg 대전광역시 2006 대한민국에 세워진 세 번째 모스크이다.
서울중앙성원
서울 중앙 성원
서울특별시 1976[5] 대한민국 최초의 모스크이다. 1층은 사무실과 회의실, 2층은 남성 기도실, 3층은 여성 기도실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을 찾는 대부분의 인구는 비한국인이다.

방문 시 이슬람 규칙과 관습을 존중해야 한다. 여기에는 전신을 덮는 복장 착용과 흡연 금지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비무슬림도 모스크에 입장할 수 있지만, 사진을 찍거나 예배자들에게 방해가 될 만한 행동은 삼가야 한다.

전주 아부 바크르 알-사디크 성원 전주시 1985[6][7]
안양 모스크 안양시 1992[6][8] 현재는 존재하지 않으며, 2019년에 지역 문제로 인해 철거되었다.[9]
안산 모스크 안산시 2007[7]
제주 라흐만 모스크 제주도 제주 이슬람 문화센터(JICC)에서 관리한다.[10]
부평 모스크 인천광역시 [11]
파주 모스크 경기도 [11]

같이 보기

각주

  1. Lee (1991, pp. 27-28) cites the writings of Dimashqi, Al-Maqrisi, and Al-Nuwairi as reporting Alawi emigration to Silla in the late 7th century.
  2. “Mis-typed address or a page does not exist.”. 《english.pravda.ru》 (영어). 2009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4월 5일에 확인함. 
  3. Lee (1991) reviews the writings of more than 15 Arabic geographers on Silla, which most refer to as al-sila or al-shila.
  4. Baker, Don (Winter 2006). 《Islam Struggles for a Toehold in Korea》. 《Harvard Asia Quarterly》. 
  5. Heon Choul Kim (2008). 《The Nature and Role of Sufism in Contemporary Islam: A Case Study of the Life, Thought and Teachings of Fethullah Gulen》. 1–쪽. ISBN 978-0-549-70579-6. 2012년 7월 5일에 확인함. 
  6. “Potret 15 Masjid di Korea Selatan untuk Wisatawan Muslim”. 《Travel Pelopor Paket Tour Wisata Halal Dunia》 (인도네시아어). 2024년 2월 7일.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7. “7 Masjid Unik Di Korea Selatan yang Wajib Dikunjungi”. 《www.kontraktorkubahmasjid.com》 (미국 영어). 2019년 2월 13일.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8. “스크랩] 한국의 이슬람사원(서울중앙성원 외)”. 《m.cafe.daum.net》.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9. “국내 이슬람 사원 현황”. 《네이버 블로그 | 호기심 노트》.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10. 《Muslim Friendly Tourism of Jeju Island Based on An Exploratory Study》 (PDF) (학위논문) (영어). Jeju National University. Feb 2021. 64–65쪽. 
  11. Ghazi, Ahmad Faris Naqiyuddin Mohd; Fathil, Fauziah (2017년 6월 13일). 《ISLAM IN SOUTH KOREA PROGRESS AND CHALLENGES OF DA'WAH ACTIVITIES SINCE THE 1950S (IIUM PRESS)》 (영어). IIUM PRESS. 81–82쪽. ISBN 978-967-418-516-9.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