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차관보(文化體育觀光部 次官補)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특히 지시하는 사항에 관하여 장관과 차관을 직접 보좌하는 참모기관으로 1급 상당 고위공무원 혹은 정무직 공무원이다.
근거 법률
- (정부조직법 제35조 제2항) 문화체육관광부에 차관보 1명을 둘 수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5조의2 제1항) 차관보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역대 차관보
문화체육부 체육담당 차관보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김영삼 정부
|
초대
|
최창신(崔昌新)
|
1993년 3월 4일 ~ 1997년 12월 31일
|
|
2대
|
신현웅(辛鉉雄)
|
1997년 1월 1일 ~ 1998년 3월 9일
|
|
문화관광부 차관보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국민의 정부
|
초대
|
이진배(李溱培)
|
1998년 3월 13일 ~ 1999년 6월 2일
|
|
2대
|
이홍석(李弘錫)
|
1999년 6월 3일 ~ 2002년 6월 12일
|
|
직무대리
|
박문석(朴文錫)
|
2002년 6월 13일 ~ 2002년 8월 1일
|
체육국장에서 승진 발탁
|
3대
|
정태환(鄭泰煥)
|
2002년 8월 2일 ~ 2003년 6월 5일
|
|
제5공화국
|
4대
|
배종신(裵鍾信)
|
2003년 6월 5일 ~ 2004년 7월 5일
|
|
직무대리
|
신현택(申鉉澤)
|
2004년 7월 5일 ~ 2004년 7월 18일
|
|
5대
|
권경상(權慶相)
|
2004년 8월 17일 ~ 2004년 12월 12일
|
|
6대
|
임병수(林炳秀)
|
2004년 12월 13일 ~ 2006년 2월 5일
|
|
7대
|
이보경(李普京)
|
2006년 2월 6일 ~ 2008년 2월 28일
|
|
국정홍보처 차장
문화체육관광부 차관보 (언론담당 차관보)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박근혜 정부
|
직무 대리
|
송수근(宋秀根)
|
2015년 3월 13일 ~ 2015년 5월 14일
|
|
|
|
초대
|
이의춘(李宜春)
|
2015년 5월 15일 ~ 2016년 6월 3일
|
전라북도 완주
|
서강대 대학원
|
- 한국일보 산업부&경제부장ㆍ논설위원, 아시아투데이 편집국장ㆍ상무, 데일리안 전무미디어펜 대표이사&데일리안 전무이사·편집국장·상무이사&아시아투데이 편집국장·편집담당 상무이사&한국일보 논설위원·경제산업부장
- 세월호 유족을 비난한 그를 신설 국정홍보 차관보로 임명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1][2]
|
직무 대리
|
송수근(宋秀根)
|
2016년 6월 4일 ~ 2016년 10월 14일
|
|
|
|
문화체육관광부 국정홍보담당 차관보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박근혜 정부
|
초대
|
이동주(李東珠)
|
2016년 10월 15일 ~ 2018년 1월 21일
|
경기도 시흥시
|
연세대 불어불문학과
|
매일경제 기사&파리특파원&정치부장&사회부장, 매경 논설위원실 부국장, 문체부 홍보협력관
|
문재인 정부
|
2대
|
김희경
|
2018년 1월 22일[3] ~ 2019년 2월 7일
|
전라북도 김제
|
미국 로욜라 메리마운트대
|
동아일보 차장, 세이브더칠드런 사업본부장,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이사&인권정책연구소 이사
|
3대
|
김성재
|
2019년 2월 8일 ~ 2021년 2월
|
경상남도 거창
|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
국회 김병관 의원실 보좌관, 국회 홍종학 의원실 보좌관, 한국미래발전연구원 기획실장,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행정관, 한겨레 기자, 세계일보 기자
|
윤석열 정부
|
4대
|
박성원
|
2023년 4월 3일 ~ 2024년 2월 25일
|
강원도 원주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
동아일보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동아일보 콘텐츠기획본부장, 동아일보 출판국장, 동아일보 편집국 부국장
|
5대
|
이진석
|
2024년 2월 26일 ~
|
|
|
|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