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중앙정보연구위원회(中央情報硏究委員會, 약칭:중정 또는 정보위)는 1960년 11월 11일에 조직된 대한민국의 옛 정보 기관이자 정보, 첩보, 수사 업무를 전담하는 기관이었다. 약칭은 중앙정보위(中央情報委[1]) 또는 정보연위(情報硏委[2])였다. 국외 정보 및 국내 보안 정보의 수집·작성 및 배포, 국가 기밀에 속하는 문서·자재·시설 및 지역에 대한 보안 업무, 형법 중 내란의 죄, 외환의 죄, 군형법 중 반란의 죄, 암호부정사용죄, 군사기밀보호법에 규정된 죄,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죄에 대한 수사, 직무와 관련된 범죄에 대한 수사, 정보 및 보안 업무의 기획·조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첩보 수집의 필요성을 느낀 장면 대한민국 총리는 11월 11일 중앙청에서 정보연구위원회 설치를 의결하고[1], 그날 위원회를 설치하였다.[3] 중앙정보위원회는 한국의 최초의 공식 첩보기관으로, 김종필 등은 중정의 모태라는 설을 부정하나, 중앙정보위가 중앙정보부의 전신으로 본다.[4]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연혁
창설정보기관의 필요성을 인식한 장면 총리는 미국 중앙정보국의 권고를 수용하여 중앙정보연구위원회를 창설한다. 1960년 11월 11일 중앙정보위를 설치하고 중앙정보연구위원회규정 [국무원령 제98호, 1960.11.16 제정]을 제정하였으며 11월 16일 관보에 공시한다. 그밖에도 장면 총리는 1961년 3월 2일 총리 정보비서관 이귀영을 수장으로 하는 또다른 정보기관인 시국정화단을 설치하여 민정을 파악하는 한편 윤치영일파, 이범석과 박병권일파, 박정희, 김종필 일파를 감시하게 했다. 조직
역대 위원장위원장
부위원장
역대 위원
역대 실장정보실장연구실장정보실 부실장연구실 부실장중앙정보부와의 연계성중앙정보부의 초대 부장이기도 했던 김종필은 중앙정보부와 중앙정보위와의 연속성을 부인했다. 그러나 이후락이나 다른 이들의 입장이 확인되지 않았다. 김종필은 중앙정보부를 창설하면서 중앙정보연구위 조직을 인수하거나 참고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후락이) 정보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고 (장면 총리가) 옆에 놓고 있었지만 제대로 된 정보기능이 아니라 사적인 활동 수준이었다 ”는 것이다.[11] 1961년 봄부터 장면 총리는 십여 차례나 쿠데타 기도 정보를 보고 받거나 입수했다.[4] 그래서 겨우 1961년 3월이 되어서야 또다른 정보기관인 시국 정화 운동 본부라는 직속 정보 기관이 설치 되었지만 별다른 역할은 못했다.[4] 정보위와 시국정화단은 1961년 5월 20일 통폐합되어 중앙정보부로 발족된다. 기타1961년 봄부터 장면 총리는 십여 차례나 쿠데타 기도 정보를 보고 받거나 입수했다.[4] 그래서 겨우 1961년 3월이 되어서야 또다른 정보기관인 시국 정화 운동 본부라는 직속 정보 기관이 설치 되었지만 별다른 역할은 못했다.[4] 정보위와 시국정화단은 1961년 5월 20일통폐합되어 중앙정보부로 발족된다. 같이 보기참조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