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방송예술대학교(東亞放送藝術大學校)는 1997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방송전문고등교육기관이다. 1998년 5월 1일에 교명을 동아방송대학(東亞放送大學)으로 바꿨고 다시 2007년 1월 15일에 동아방송예술대학(東亞放送藝術大學,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으로 교명을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1년 3월 현재 16개 학과(3년제)가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심화 학사학위과정 4개 학과도 함께 개설되어 운영된다. 2012년 5월 23일에 동아방송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훈
지성(知性), 덕성(德性), 기예(技藝)
연혁
1. 1977년 ~ 1996년
1977.04.30: 학교법인 공산학원 인가, 초대 최준문 이사장 취임
1985.07.08: 제2대 최원석 이사장 취임
1994.08.01: 동아방송전문대학 설립계획 승인
1996.12.26: 학교 설립 인가 (9개학과 720명)
1997.03.10: 초대 이충세 학장 취임
1997.03.10: 제1회 입학식 (810명 입학)
1997.03.11: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ISU) 와 학위 협정 체결
2. 1997년 ~ 1999년
1997.05.28: 개교식
1997.11.25: 영상음악과 신설인가
1998.03.05: 제2회 입학식 (865명 입학)
1998.05.01: 동아방송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8.09.09: 교육부지원 방송특성화 우수대학 선정
1998.11.19: 인터넷방송과, 방송극작과 신설 인가(12개 학과 1160명)
1999.02.23: 제1회 학위수여식 (9개학과 400명 졸업)
1999.03.05: 제3회 입학식 (1,240명 입학)
1999.05.01: 교육부지원 방송·영상특성화 대학선정
1999.07.22: 제2대 김병호 학장 취임
1999.11.15: 게임공학과 신설
3. 2000년대
3.1. 2000년
2000.02.23: 제2회 학위수여식 (10개학과 417명 졸업)
2000.03.02: 제4회 입학식 (10개학과 1,324명 입학)
2000.07.14: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재정지원사업 선정
3.2. 2001년
2001.02.23: 제3회 학위수여식 (12개학과 532명 졸업)
2001.03.02: 제5회 입학식 (12개학과 1,302명 입학)
2001.07.23: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재정지원사업 선정
2001.09.17: 수업연한 연장 승인 (3년제-방송기술계열, 영상제작계열, 정보통신계열, 인터넷방송계열)
2001.10.19: 중국 북경광파학원 (BBI) 과 학사교류협약체결
3.3. 2002년
2002.02.22: 제4회 학위수여식 (13개학과 770명 졸업)
2002.03.04: 제6회 입학식(1,304명 입학)
2002.07.14: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선청
2002.09.04: 제3대 이충구 학장 취임
3.4. 2003년
2003.02.21: 제5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818명)
2003.03.03: 제7회 입학식 (1,219명)
2003.06.30: 러시아 부기끄영화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2003.07.03: 러시아 게르첸교육대학교와 학사교류 협정 체결
2003.07.04: 러시아 쉐프킨연극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2003.07.07: 교육부 지원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선정
2003.08.11: 미국 시카고예술대학과 학사교류 협정 체결
2003.09.01: 평생교육원 개원
2003.10.01: 동아프로덕션 설립
3.5. 2004년
2004.02.20: 제6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809명)
2004.03.02: 제8회 입학식 (13개 학과 1,236명)
2004.03.12: 산학협력단 설립
2004.05.27: 교육인적자원부 재정지원사업 선정
2004.10.05: 피트니스센터 개관
3.6. 2005년
2005.02.18: 제 7회 학위수여식 (13개 학과 935명)
2005.03.02: 제 9회 입학식 (13학과 1,218명)
2005.09.01: 2005년 성장동력특성화대학 선정 (3년간지원)
2005.11.01: 학교기업 EASTA픽처스 설립
3.7. 2006년
2006.02.17: 제 8회 학위수여식 (13개학과 878명)
2006.02.21: 제4대 하영석 학장 취임
2006.03.03: 제 10회 입학식(13개학과 1,237명)
2006.05.18: 야외공연장 개관
2006.06.02: 2007 특성화사업지원사업단선정(평가최우수대학) 특성화사업 지원사업단 선정
우리말 모아모아 말모이 - 한글사전, 그 치열한 출생 보고서EBS 2010년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방영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방송영상콘텐츠 창작기반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한 "대학생방송창작콘텐츠지원사업"에 본교 교내방송국 DBS가 공모에 참여하여 선정된 기획안 <우리말(말모이)의 탄생>을 기반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같은해 10월 9일 한국교육방송공사(EBS)를 통해 방송됐다. 또한 본 다큐멘터리의 내용 및 방송 이미지 등은 교육전문 출판사 비상교육의 고등학교 검정 교과서인 "독서와 문법Ⅱ"에도 실렸다.
EBS에서 방영된 <우리말 모아모아 말모이>
구분
내용
타이틀
우리말 말모이의 탄생 (기획단계) / 우리말 모아모아 말모이 - 한글사전, 그 치열한 출생 보고서
주요내용
본 프로그램 우리말 사전의 편찬배경과 참여했던 한글학자들의 목숨을 건 사투와 같은 열정 그리고 일본제국주의의 방해와 6.25전쟁, 이승만 정부의 한글간소화 정책의 걸림돌을 뚫고 완성된 우리말 사전의 치열했던 출생보고서다. 세종대왕이 반포한 훈민정음은 연산군 시대에 사용이 금지되고, 그 후 450년간 여인들과 서민들을 통해 지켜진다. 조선 말기 갑오개혁 이후가 되어서야 고종황제가 칙령을 발표하면서 공식글자로 인정받게 된다. 한일합방은 한글의 역사에 큰 시련을 가져다준다. 일제는 우리말을 사용하지 못하게 함은 물론이고, 급기야는 창씨개명까지 강요한다. 36년 민족의 암흑기를 거치면서도 한글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데에는 학자들의 희생적인 노력이 있었다. 주시경 선생은 구한말 국어문법, 한글강습, 첫 한글사전 말모이의 편찬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한글학자였다. 훈민정음을 한글이라 이름짓고 띄어쓰기, 가로쓰기 등 오늘날 우리글의 기초를 만들었던 그는 일제에 독살되고, 수제자 역시 망명하면서 말모이 작업은 중단된다.
본 사업은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년 대학생 방송창작콘텐츠 제작지원사업으로 선정된 작품입니다.
본 다큐멘터리의 내용 및 방송 이미지 등은 교육전문 출판사 비상교육의 고등학교 검정 교과서인 "독서와 문법Ⅱ"에도 실렸다.
DIMArtist (디마티스트_DIMA+ARTIST)
본교 교내방송국 DBS에서 제작하는 음악 콘서트 프로그램으로 기획부터 제작, 방송송출까지 전과정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진행되는 활동이다. 무대에 참여하는 가수와 세션역시 모두 본교 학생들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본 프로그램을 위해 학내 조명동아리 Light Factory, 음향제작과 SR팀, 메이크업 동아리 MAC 등이 지원한다.
박희량&이유진 : Sun and moon
박희량&이유진 : 어쩌면
그럴껄 : 앞서간 그대는
The Rumors : So I
The Rumors : When The Sun Goes Down
별난sTage - Seasons of Love
별난sTage - On My Own
필VD - 오늘은 가지마
7Years - 우리 사랑 이대로
그럴껄 : 몰랐어
그럴껄 : 2150(스물하나, 오십)
권주희&이가인 : 오리날다
The Rumors : Can You
The Rumors : 올림픽
이가인 : Butterfly
Overflow : Plenty
Overflow : 아버지
강소연 : 아버지
김재웅&박무빈 : 부탁해 내동생
정뽀 : When You Cry When You Smile
정뽀 : Starlight
김효영 : 천 년의 사랑
권진영&이유진 : 선인장
디마컬처스 : You're The One That I want
디마컬처스 : Rent렌트
연치미 : 한동안 뜸 했었지
연치미 : 죽일놈
어버이날 : A Song for MAMA
어버이날 : MAMA
김지석 : 엄마
웨밀리 : Family
그루버그루버 - who you are
그루버그루버 - 2years apart
그루버그루버 - face to face
휘 밴드 - 보고싶어 운다
휘 밴드 - feeling good
VIVIFY - give it to me)
VIVIFY - what are you talking about
MUSIC컬 - something more
캡짱굿 -
2014년 9월 19일부터 10월 4일까지 개최되었던 2014년 아시안 게임에 본교 졸업생 및 8월 졸업예정자, 재학생등이 대회 주관방송사인 IHB(Incheon Asian Games Host Broadcasting Management), KBS와 업무협력으로 방송중계, (영문)스크립터, LSM(Live Slow-motion) 오퍼레이션 등의 직종에 156명이 참여하여 대회예선과 본선에 대한 국제신호 프로그램 제작에 직접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