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3년, 디스트릭트 선이 밀 힐 파크(현재 엑튼 타운)에서 하운슬로까지 개통되었다.(이 지선은 나중에 피카딜리 선이 된다)
1884년, 서클 선이 순환선을 만들면서 디스트릭트 선은 화이트채플까지 개통되었다. 같은 해, 세인트 메리스 역에서 뉴 크로스 역까지 개통되었다. 이 지선은 1905년 바로 이스트 런던 선으로 바뀌었다. 1889년 퍼트니 브리지에서 윔블던까지 개통되었다. 디스트릭트 선은 1902년 업민스터까지 개통하였고, 억스브릿지까지 개통하였다. 1933년 억스브릿지 지선이 피커딜리 노선에게 인수되었다. 1960년경 디스트릭트 노선의 엑튼 타운에서 하운슬로도 피커딜리 노선에게 인수되어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디스트릭트 선은 40 마일 (64 km)의 길이에 60개의 역을 제공한다.[2][3] 이 노선은 제4궤조 직류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중심 급전 궤도가 –210 V, 주행 궤도 외부의 급전 궤도가 +420 V로, 630 V의 전위차가 있다.[4] 단, 본선 열차가 운행되는 두 개의 구간(이스트 퍼트니~윔블던, 거너즈버리~리치먼드)은 주행 궤도에 중심 궤도가 결합되어 있다.[5] 얼스 코트 역의 서쪽에는, 4개의 지선이 있다. 센트럴 선 북쪽과, 패딩턴 밖의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에 디스트릭트 선의 승강장이 있다. 약 2⁄3 마일 (1.1 km) 후 노선은 행거 레인(Hanger Lane) 교차점의 피카딜리 선 억스브리지(Uxbridge) 지선을 만나게되고, 그 후 이 선로는 일링 커먼 역에서 피카딜리 선 히스로(Heathrow) 지선이 합류하는 액튼 타운 역까지 공유된다. 액튼 타운~배런즈 코트 간의 이 노선에는 4개의 선로가 있는데, 용도에 따라 쌍을 이루고 있다. 디스트릭트 선은 바깥쪽 쌍 노선을 사용하며, 무정차 열차가 지나는 피카딜리 선은 안쪽 쌍 노선을 사용한다.[6]리치먼드 역에서 런던 오버그라운드 및 디스트릭트 선 승강장은 워털루-리딩 선 승강장에서 북쪽에 있다. 큐 철교(Kew Railway Bridge)에서 탬스 강을 건너는 두 선로는 커너스버리(Gunnersbury) 교차점까지 런던 오버그라운드 열차와 공유되며,
그 후 디스트리트 선 선로는 터넘 그린 역 바로 앞의 4선로의 디스트릭트 및 피카딜리 선에 합류한다.[6]
본선에는 액튼 타운(Acton Town), 해머스미스(Hammersmith), 배런즈 코트(Barons Court) 역에서 평면 환승이 되며, 그 후 피카딜리 선이 터널로 내려가고 디스트릭트 선은 웨스트 켄징턴 역을 통과하는 두 선로가 된다. 노선이 얼스 코트(Earl's Court) 역에 진입하기 전에 짧은 켄징턴(올림피아) 지선이 평면 교차점에서 분기하고 윔블던 지선은 입체 교차점에서 합류한다.[6] 윔블던 지선의 윔블던 역은 사우스웨스턴 본선 승강장의 서쪽에 위치하며, 복선 선로는 풀햄 철교(Fulham Railway Bridge)에서 탬스 강을 건너기 전에 하운슬로 루프 선이 있는 이스트 퍼트니 역에서 분기점을 갖는다.; 퍼트니 브리지 역에 베이 플랫폼(bay platform)이 있으며,이 노선은 웨스트 런던 철도를 통과하고 웨스트 브롬프턴 역에서 본선 및 4개 플랫폼 얼스 코트 역과의 교차점 앞에서 이어진다.[6]
얼스 코트 역의 디스트릭트 선 승강장 전경
얼스 코트의 동쪽에는 본선에서 에지웨어 로드 지선으로 가는 입체 교차점이 있다. 하이 스트리트 켄징턴 역 이후로 서클 선을 따라가면서, 디스트릭트 선을 위한 두 개의 베이 플랫폼(bay platform)이 있다. 패딩턴 역 후, 이 지선은 역 프레드 스트리트(Praed Street) 교차점에서 해머스미스 & 시티 선에 합류하여 4개 승강장이 있는 에지웨어 로드 역에서 끝난다.[6] 본선은 글로스터 로드(Gloucester Road)의 서클 선에 합류하고 노선과 역은 웨스트민스터 역에서 탬스 강을 만나는 개착식 터널에 있으며, 그 후 철도는 북쪽 강둑에 있는 빅토리아 임뱅크먼트(Victoria Embankment)에 있다. 타워 힐 역에는 베이 플랫폼이 있다.[6]
타워 힐 이후 서클 선이 갈라지며, 알드게이트 이스트 역 바로 앞에서 디스트릭트 선이 해머스미스 & 시티 선에 합류한다. 이 노선은 화이트채플 역에서 런던 오버그라운드를 지나 2-마일 (3.2 km)의 보우 로드 행 화이트채플 & 보우 철도로 계속되며, 브롬리바이보우 역은 펜처치 스트리트 역에서 런던, 틸버리 & 사우스엔드 철도(London, Tilbury and Southend Railway)와 나란히 운행된다. 다음역인 웨스트 햄 역(West Ham)뿐만 아니라 주빌리 선과 도클랜즈 경전철에서도 이 노선과의 환승이 있다. 다음 역인 플래이스토우 역에 베이 플랫폼이 있으며,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은 바킹 역에서 종착한다.[6] 디스트릭트 선은 업민스터 역에서 종착하기 전에, 런던, 틸버리 & 사우스엔드 철도를 따라 8개 역을 추가로 운행한다.[6]
켄징턴(올림피아) ~ 하이 스트리트 켄징턴 (주말): 시간당 3대, 평일에는 켄징턴(올림피아) 행을 일일 7대로 운행한다.[10] 평일 전시회가 있는 날에는 시간당 2대 열차가 운영된다.[출처 필요]
얼스 코트(Earl's Court)와 타워 힐(Tower Hill) 사이에는 시간당 18대 열차(3-4분 간격)가 운행된다. 서클 선과 함께 글로스터로드(Gloucester Road)와 타워 힐(Tower Hill) 사이에는 시간당 24대 열차(2.5분 간격)가 있다. 2011/12년에 디스트릭트 선에서 2억 800만 여명의 여객이 여행했다.[1]
출퇴근 시간에는 추가 열차가 있다. 얼스 코트에서 알드게이트 이스트까지의 중앙 구간은 Zone 1에 있으며 일링 브로드웨이와 윔블던 구간은 Zone 3에 있고 리치먼드는 Zone 4에 있다. 동쪽으로는 Zone 6의 업민스터까지 연결된다.[11]
현재 7량의 S형 열차(S Stock)가 2013년에 서비스에 운행되기 시작했으며,[12] 올림피아와 웨스트햄 사이의 서비스로 시작하여 서서히 C형 및 D형 차량을 대체했다.[13] 현재 메트로폴리탄 선에서 사용중인 8량 차량 모델과 마찬가지로 이 열차는 봄바디어의의 모바이아(Movia) 제품군의 일부이며, (고심도 튜브 노선과는 달리) 저심도 터널이 뜨거운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이 장착될 수 있었다.[14]
최고 속도 62 mph (100 km/h)인,[14] 7량의 S형 열차는 865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으며, 6량의 C형 열차는 739명, 6대 D형 열차는 827명이다.[15][16][17] 길이 117 미터 (384 ft)인 S형 열차는 93-미터 (305 ft) 길이의 C형 열차보다 24 미터 (79 ft) 더 길고, 역 플랫폼은 길어졌다.[18] 열차에는 회생 제동이 있어, 에너지의 약 20%를 네트워크로 되돌릴 수 있다.[19]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고 열차가 회생 제동을 통해 네트워크에 더많은 에너지를 반환할 수 있도록 견인 전압을 현재 공칭 630 V에서 750 V로 증가시킬 계획이다.[17] 이 서비스는 2017년 4월까지 D78형 차량으로 운영되었다.
차량기지
S형 열차는 일링 커먼[a], 업민스터[b], 해머스미스[c] 차량기지에서 관리된다. 일링 커먼 차량기지는 1900년대 초 디스트릭트 철도에 의해 전철화와 함께 지어졌으며,[20] 해머스미스 차량기지는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이 거의 동시에 전철화되었을 때 메트로폴리탄 철도가 운영하는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지어졌다.[21] 업민스터 차량기지는 디스트릭트 선이 분리되었을 때 1956-58년에 지어졌다.[22]
개선 사업
7량의 S형 열차 도입과 함께 저심도 선로, 전기 공급 및 신호 시스템이 2018년 말까지 디스트릭트 선의 혼잡 시간 용량을 24% 증가시키는 개선 프로그램을 도입할 예정이다.[13][23][24] 해머스미스(Hammersmith)에 저심도 네트워크를 위한 단일 제어실을 설치하고 1940년대에 설치된 신호 장비를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로 대체할 예정이다.[23][25]
내셔널 레일 및 런던 오버그라운드 서비스와 환승 가능. The L&SWR은 1844년 웨스트 런던 철도에서 켄징턴 역을 잠시 열었다. 이 역은 1862년 6월 2일에 문을 열었으며 1868년에 켄징턴 애디슨 로드(Kensington Addison Road)로 이름을 변경하여[31] 1940년에 서비스가 철수 될 때까지 L&NWR, GWR, 메트로폴리탄 및 기타 철도 서비스를 제공했다. 1946년 디스트릭트 선의 한 지선으로 재개되었다.[32]
개통당시 베이스워터(Bayswater), 1923년에 베이스워터(퀸즈 로드)&웨스트번 그로브/Bayswater (Queen's Road) & Westbourne Grove로 개명. 1933년에 베이스워터(퀸즈로드)/Bayswater (Queen's Road), 1946년에 베이스워터(퀸즈웨이)/Bayswater (Queensway)로 개명. 부역명은 이후 차차 삭제되었다.[26]
메트로폴리탄 철도에서 "타워오브런던(Tower of London)"으로 개업, 그러나 1884년 디스트릭트 철도에서 인근에 "마크 레인 역(Mark Lane)"을 열면서 폐쇄조치. 이 역은 1946년 "타워 힐(Tower Hill)"로 개명되어 1967년 "타워오브런던" 역 위치로 이전.[26][33] 서클 선과 환승 가능.
지금의 피카딜리 선에 있는 현재의 하운즐로 이스트 역으로 대체되기 전 존재했던 하운즐로 타운 역(Hounslow Town station)은 1883년 5월 1일과 1909년 5월 1일 사이 종착역이었다.[26][43] 화이트채플과 알드게이트 이스트 사이에는 세인트 마리스 역(St. Mary's station)이 1884년 3월 3일부터 1938년 4월 30일까지 존재했으며, 알드게이트 이스트 역이 이동했을 때 폐쇄되었다.[26][44]
<셜록(Sherlock)> 에피소드 "The Empty Hearse"에서 수마트라 로드(Sumatra Road, 웨스트민스터 역의 미사용 지선으로 웨스트민스터 궁전 아래에 위치)라는 가상의 미개봉 종착역이 에피소드의 테러 음모 이야기를 위해 제작되었다. 이 역은 실제 있었던 알드위치(Aldwych)에서 노던 선의 1972년식 차량으로 촬영되었는데, 저심도인 디스트릭트 선에서 고심도 열차와 터널로 표현되어 고증 오류가 발생했다.[47]
↑“Ealing Broadway to Upminster District line timetable”. Transport for London.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In the Tube timetable - Tube station box select "Ealing Broadway" and press Get Timetable. Select District line Upminster timetable and then view timetable.
↑“Richmond to Upminster District line timetable”. Transport for London.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In the Tube timetable - Tube station box select "Richmond" and press Get Timetable. Select District line Upminster timetable and then view timetable.
↑ 가나“Wimbledon to Tower Hill District line timetable”. Transport for London.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In the Tube timetable - Tube station box select "Wimbledon" and press Get Timetable. Select District line Tower Hill timetable and then view timetable.
Butt, R. V. J. (1995). 《The Directory of Railway Stations: details every public and private passenger station, halt, platform and stopping place, past and present》 1판. Patrick Stephens Ltd. ISBN1-85260-5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