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구성으로서는 원작의 내용을 답습하면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의 에피소드를 포함시킨 형태가 되었다. 시간대도 원작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생부터 개시하고 있던 것이 애니메이션에서는 고교 2년생부터로 변경되고 유행어 취급에 대해서도 방송 당시의 유행어로 수정되었다(대표적으로 일본어: どんだけ가 있겠다. 특별한 의미는 정해져있지 않으나 주로 감탄사로 쓰인다.). 또 본편 B파트와 엔딩 사이에는 동명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미니 코너 《러키☆채널》이 끼는 형태로서 이 코너에서는 라디오판 및 《콤프틱》지상의 정보 코너판, 게다가 본작 공식 홈페이지와 상호 연동한 기획도 행해졌다.
주요 등장인물과 그성우는 러키☆스타의 등장인물을 참조. 닌텐도 DS용 게임 《모에 드릴》 시리즈 · 드라마CD판의 배역으로부터 총교체가 된 것 외,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의 캐릭터로서 시라이시 미노루가 추가되었다. 패트리시아 마틴이나 카가미 · 츠카사 이외의 히이라기 가족이 중심적으로 등장하는 한편, 사쿠라바 히카루는 제 24화에만 등장, 야사카 코우와 아마하라 후유키의 2사람은 등장하지 않았다[1].
또 단역으로서 남성 군중의 대부분에 타치키 후미히코(일부 시라이시 미노루), 여성 군중의 대부분에 쿠지라가 캐스팅되었다. 방송회에 따라서 같은 성우가 여러 배역을 맡은 경우가 많아 쿠지라의 경우는 식당의 아줌마로부터 찻집의 점원에까지 모두 맡은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오프닝이나 캐릭터송 등에 대해 메인 캐릭터 4사람의 등장순서가 원작과 다르게 츠카사와 카가미의 등장순서가 바뀌어 등장한다.
게스트 캐릭터 · 목소리의 출연
반 준레귤러적으로 등장한 아니자와 메이토(세키 토모카즈)부터 시작해 다른 작품의 캐릭터나 실재의 인물을 모티프로 한 캐릭터 등, 게스트 캐릭터가 다수 있었다. 덧붙여서 후루하라 나나는 태고의 달인에서도 출연한 바 있다.
15화 이후는 3학년 B반 긴파치 선생님의 구호 풍으로 "아 3학년 B반" 하고 코나타가 외친 뒤 "쿠로이선생님!!" 하고 카가미 외 3명이 외치고 카가미가 질렸다는듯 "그래그래" 하고 받아친다[2].
오프닝 애니메이션의 치어 댄스는 최종화에 학원제의 어트랙션으로서 풀 버전이 그려져 있다. 덧붙여 이 오프닝 애니메이션은 당초에는 이 댄스 외에 로봇 애니메이션풍의 물건도 기획되고 있었다고 한다[3].
차회 예고
매회 다른 캐릭터가 사자에상의 다음 번 예고와 같은 스탠스('그런데 다음 주의 사자에상은?' 와 같이 '그런데 다음 회의 러키☆스타는?'으로 시작된다)로 해설을 행한다. 그 길이는 그 회에 따라 거의 말을 할 수가 없을 정도로 짧은 경우도 있었고 반대로 1분 정도로 긴 경우도 있었다.
예고 담당은 12화까지는 코나타→카가미→츠카사→미유키의 로테이션으로 행해져 이야기하는 내용은 코나타는 게임 이야기, 카가미는 신변에 관한 이야기, 츠카사는 이야기하고 싶은 것을 말할 시간이 없어서 이야기할 수 없었고, 미유키는 잔 지식을 이야기했다.
13화 이후에서는 메인의 4사람 이외의 캐릭터가 담당해, 케로로군조의 타마마 이등병, 기로로 하사(13화)나, 쿈과 나가토 유키(16화)라는 타 작품의 캐릭터가 담당하는 일도 있었다. 모두 그 회에 조금이라도 출연을 한 캐릭터(의 성우)가 담당한 것이다.
방송 선전 스포트(방송 시간외 CM)
코나타의 얼굴만 보이고 '웅~' 하는 소리만으로 진행하다가, 마지막에 텔롭과 타이틀을 읽는 카가미의 목소리가 덮이는 것. 다른 애니메이션 등의 광고와는 달리, 장면에 변화는 없다.
스폰서 화면
애니메이션 13화 이후의 스폰서 화면 배경의 인물과 개는 원작자 요시미즈 카가미의 모친과 그 애견 '체리'다[4].
소재료
소재료나 패러디도 작중의 여기저기에서 다수 등장한다. 이는 다른 만화나 애니메이션 작품뿐만이 아니라 드라마나 서양의 영화나 일본의 영화, 혹은 실재하는 인물에게까지 미친다(《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주요 성우의 5사람도 작중으로 본인 캐릭터로서 등장).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 장르가 가까운 작품은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는 판권자의 허락 · 협력을 얻은 것도 있다. 특히 10 · 12 · 13 · 16화의 《아니메 점장》의 아니자와 메이토 등장에 대해서는 콜라보레이션의 영역에까지 달하고 있어 17화에서는 《러키☆채널》에까지 등장해 차회 예고도 담당했다(이것들을, 그 캐릭터 원안 담당의 만화가 · 시마모토 카즈히코가 절찬했다[5]. 덧붙여 21화에서도 간판의 일러스트로서이지만 등장했다.
패러디 대상으로 하는 건 타 작품 만이 아니고 러키☆스타에 직접 관련하는 것을 재료로 하는 경우도 있다. 카가미가 게임판의 선전을 하거나 드라마CD와 애니메이션의 캐스트가 다르다고 언급하는 등이 이 예이다. 또, 성우에 의한 애드립도 많다(코나타의 노하라 신노스케(크레용 신짱의 주인공)의 흉내[6], 츠카사의 '발사믹 식초♪'[7], 카가미가 기르고 있는 금붕어의 이름인 교피[8] 등 ).
위에서 기술한 패러디 중에서도 쿄토 애니메이션 제작의 타작품을 소재로 한 요소가 특히 많다. 21화에서는 코나타 일행이 수학여행의 자유 행동으로 교토 애니메이션 본사에 방문하는 씬이 있다.
특히 같은 카도카와 쇼텐 원작 발행 · 교토 애니메이션 제작 · 히라노 아야 주연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극중 극으로서 등장하고 있어 16화에 코나타와 패티가 코스프레 카페에서 연기하는 등 빈번히 패러디 되고 있다. 또 SOS단원역의 성우는 고정출연의 히라노 아야 · 치하라 미노리를 포함해 전원이 본인 혹은 본인 모티프의 캐릭터 (스기타 점원, 오노 다이스케, 고투더 사마 등)로서 등장했다[9].
또 쿄애니가 제작한 카도카와 쇼텐 계열의 후지미 쇼보에서 원작을 발행하고 있는 《풀 메탈 패닉!》에 관한 패러디로서 카가미의 방에 본타군의 봉제인형이 있거나[10] 코나타 · 쿠로이의 회화에 슈퍼로봇대전W의 전투 애니메이션풍 암슬레이브의 대전 씬이 있기도 하는 등, 곳곳에 패러디로서 사용되었다. 또, 풀메탈패닉!의 작가 가토 쇼지도 5화 · 12화 · 22화의 각본을 담당했다.
또한 21화에서는 자사의 애니메이션 AIR의 패러디도 도입했는데 이는 교토 애니메이션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에 이은 패러디 기술의 노선을 유지한 것으로도 보인다. 수학여행 에피소드에서 AIR의 미스즈가 나나코와 함께 출연. 나나코가 하루코와 같은 사투리를 쓴다는 점과 외양상 유사하다는 점을 이용해서 패러디를 시도했다. 앉아있는 두 사람의 머리카락 색을 반전하면 완벽한 미스즈와 하루코가 된다. 원작에서 맺어질 수 없었던 두 사람을 배려해 패러디했다는 일설이 있다. 그리고 예고편 중 '라면세트'는 AIR 중 쿠니사키 유키토의 명대사. 동물 토크의 소라(까마귀) 역도 원작과 동일하게 오노 다이스케가 맡았다. 이 외 같은 성우를 기용한 이유로 오노 다이스케가 스즈미야 하루히에서 자신이 출연한 캐릭터 코이즈미 이츠키의 캐릭터송의 마지막 멘트 '휘어라'를 말했다.
이 외 카도카와 쇼텐 관련에서는 《개구리 중사 케로로》(코나타와 츠카사의 두 사람도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이라고 하는 설정)을 시작해 카도카와 쇼텐 및 그 그룹 회사 발행의 소설 · 만화에 관한 패러디가 다수 나온다[11].
감독 교대 소동
프로그램 개시 당초의 감독 · 야마모토 유타카가 "감독으로서 자질이 모자라다"라는 교토 애니메이션의 사내 판단[12]에 의해 경질되어 5화부터 타케모토 야스히로가 감독을 맡게 되었다.
덧붙여 야마모토는 경질 후에도 스탭으로서 각본등을 다루고 있었지만 5월말을 기해 프리랜서가 되었다.
《러키☆스타의 숲》(らき☆すたの森 라키스타노 모리[*])은 텔레비전애니메이션 《러키☆스타》의 DVD 한정판의 특전으로서 수록되고 있는 윈도우용 미니 게임집이다.
기본적으로는 해당 권에 수록된 에피소드를 체험하는 게임이나, 코나타가 3D캐릭터화되어 게임 내 필드를 돌아다니는 미니스케이프(정원을 꾸미고 지켜보는 느낌에 가까운 시뮬레이션 게임을 얘기하며 《심시티》 계열의 경영 시뮬레이션에서 《블랙&화이트》 와 비슷한 실시간 시뮬레이션과 같은 게임을 통칭한다.) 적인 게임이 되었다.
게임을 진행시켜 가면서 일정 조건으로 미니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니 게임이나 통상 장면상의 코나타의 행동에 따라 여러 가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게임중에 애니메이션과 같이 여기저기에 패러디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 DVD는 전부 열두권으로 되어 있으나 1권 수록분부터 세이브 데이터를 다음 권에서 계승,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러키☆스타 여름의 오키라쿠 특집호(콘프틱 2007년 10월호 증간, 2007년 8월 18일 발매) - 애니메이션판 제 1화부터 제 17화까지의 에피소드 가이드나 애니메이션 본편의 시추에이션에 출연 성우가 도전하는 기사, 이벤트 리포트 등, 애니메이션판에 관한 기사를 수록.
오피셜 팬 북 러키☆스타 코나타의 방정식(콘프틱 편, 2007년 12월 10일 초판 발행, ISBN978-4-04-854146-6) - 애니메이션판의 공식 가이드 북. 애니메이션판 전 24화의 에피소드 가이드나 출연 성우 · 스탭의 인터뷰 기사, 캐릭터 설정 자료, 미술 설정 자료, 콘프틱 및 각 애니메이션잡지에 게재된 일러스트등으로 구성.
OVA
2008년 9월26일에 《러키☆스타 OVA》(오리지널한 비주얼과 애니메이션, オリジナルなビジュアルとアニメーション)가 발매되었다(발매원:카도카와 쇼텐, 판매원:무빅 · 교토 애니메이션, 렌탈 판매원:클락 워크스).
원작자인 요시미즈 카가미를 포함한 극작가 6명에 의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에서는 할 수 없었던 단편 에피소드 6개와 실사판 〈러키☆채널〉을 수록한 40분 분량의 옴니버스 작품. 영상 특전으로서 《신 러키☆채널》의 공개 녹음과 와시미야 정에서의 특별 주민표 교부 이벤트 각각의 영상을 수록. 또 초회판에는 이 OVA에 사용된 BGM을 수록한 CD가 특전으로 붙는다.
각 에피소드의 부제는 DVD의 쳅터 메뉴상의 표기에 따랐다. 본작 자체의 부제는 JK로 표기되어 있다[15]. 또 각 화의 스탭 가운데 각본은 DVD부속 소책자, 연출 · 작화 감독은 쿄애니 스태프 블로그 'THE☆애니메이션 바보 일대'(THE☆アニメバカ一代)의 호리구치 유키코에 의한 기사[16]에 근거했다.
2008년에 카도카와 그룹의 북미 현지 법인 카도카와 픽쳐스 USA와 반다이 남코 그룹의 북미 현지법인 반다이 엔터테인먼트에 의해서 《Lucky Star》 타이틀로 북미판 DVD 판이 발표되었다.[17]
프로모션 전개로서는 맨 먼저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북미판 DVD 최종권의 트레일러에 수록, 또 인터넷상에서의 프로모션으로서 마이스페이스에 전용 페이지(《시라이시 미노루의 어카운트》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18]를 개설하는 등, 여러 가지 프로모션을 실시하고 있다.
2008년 대한민국에서도 애니박스를 통해 7월 21일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애니박스는 방영 전 시사회 이벤트[19]를 가지기도 했다.
↑이 5사람 외에도 시라이시 미노루, 히라마츠 히로카즈, 코부시 노부유키 3명이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과 《러키☆스타》 양쪽 모두에 출연하고 있다.
↑또한 카가미는 라이트노벨을 즐겨읽으며 특히 풀메탈패닉!을 좋아한다는 설정도 있다. 이에 대해 더 알아보자면 교체된 감독 타케모토 야스히로는 《풀 메탈 패닉!》의 원작자 가토 쇼지와 친분이 있으며, 애니메이션 《풀 메탈 패닉?후못후》및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감독, 또한 아바레스트의 차기 기종 이름으로 레바테인을 제안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이 레바테인은 작중 온라인게임의 레어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레바테인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마검이므로 게임 아이템으로 등장해도 이상할 것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