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틀 (지질학)

맨틀(Mantle)은 행성체 내부에 있는 층으로, 아래로는 과 위로는 지각을 경계로 그 사이에 있다. 맨틀은 암석 또는 얼음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행성체에서 가장 크고 질량이 큰 층이다. 맨틀은 밀도에 따른 분화를 겪은 행성체에서 볼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이다. 지구형 행성(지구 포함), 특히 얼음 거대 행성과 같은 거대 얼음 행성의 절반, 수많은 소행성, 일부 위성에 맨틀이 존재한다.

예시

지구

지구의 내부 구조

맨틀지각외핵 사이에 있는 규산염 암석층이다. 질량은 4.01 × 1024 kg으로 지구 질량의 67%를 차지한다.[1] 두께는 2,900 km[1]로 지구 부피의 약 84%를 차지한다. 맨틀은 주로 고체이지만, 지질학적 시간에서는 점성 유체처럼 행동한다. 해령에서 맨틀의 부분용융이 일어나 해양 지각을 생성하고, 섭입대에서 맨틀의 부분용융으로 대륙 지각을 생성한다.[2]

다른 행성

수성은 약 490 km 두께의 규산염 맨틀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수성 질량의 28%만을 이룬다.[1] 금성의 규산염 맨틀은 약 2,800 km 두께로, 질량의 약 70%를 구성한다.[1] 화성의 규산염 맨틀은 약 1,600 km 두께로, 질량의 약 74~88%를 구성하며,[1] 샤시나이트 운석으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다. 천왕성해왕성의 얼음 맨틀은 약 30,000 km 두께로, 두 행성 질량의 80%를 구성한다.[3]

위성

목성의 위성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는 규산염 맨틀을 가지고 있다. 이오의 ~1,100 km 규산염 맨틀은 화산 지각으로 덮여 있고, 가니메데의 ~1,315 km 두께 규산염 맨틀은 ~835 km의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유로파의 ~1,165 km 규산염 맨틀은 ~85 km의 얼음과 아마도 액체 물로 덮여 있다.[1]

의 규산염 맨틀은 약 1300~1400 km 두께이며, 마레 현무암의 원천이다.[4] 달의 맨틀은 남극 에이트켄 분지 또는 위난의 바다에서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4] 달의 맨틀에는 ~500 km 깊이에 지진 불연속면이 있으며, 이는 대부분 구성 성분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4]

타이탄트리톤은 각각 얼음 또는 다른 고체 휘발성 물질로 만들어진 맨틀을 가지고 있다.[5][6]

소행성

가장 큰 소행성 중 일부는 맨틀을 가지고 있다.[7] 예를 들어, 4 베스타다이오제나이트 운석과 유사한 구성의 규산염 맨틀을 가지고 있다.[8]

같이 보기

각주

  1. Katharina., Lodders (1998). 《The planetary scientist's companion》. Fegley, Bru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1423759836. OCLC 65171709. 
  2. “What is the Earth's Mantle Made Of? – Universe Today”. 《Universe Today》 (미국 영어). 2016년 3월 26일. 2018년 11월 24일에 확인함. 
  3. Swindle, T. D. (2002년 1월 1일). 《Martian Noble Gase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영어) 47. 171–190쪽. Bibcode:2002RvMG...47..171S. doi:10.2138/rmg.2002.47.6. ISSN 1529-6466. 
  4. Wieczorek, M. A. (2006년 1월 1일). 《The Constitution and Structure of the Lunar Interior》.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영어) 60. 221–364쪽. Bibcode:2006RvMG...60..221W. doi:10.2138/rmg.2006.60.3. ISSN 1529-6466. 
  5. “Layers of Titan”. 미국 항공 우주국. 2012년 2월 23일. 2015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7일에 확인함. 
  6. “Triton: In Depth”. 미국 항공 우주국. 2015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7. “Griffith Observatory – Pieces of the Sky – Meteorite Histories”. 《www.griffithobservatory.org》 (미국 영어). 2020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4일에 확인함. 
  8. Reddy, Vishnu; Nathues, Andreas; Gaffey, Michael J. (2011년 3월 1일). 《First fragment of Asteroid 4 Vesta's mantle detected》. 《Icarus》 (영어) 212. 175–179쪽. Bibcode:2011Icar..212..175R. doi:10.1016/j.icarus.2010.11.032. ISSN 0019-1035. 

더 읽어보기

  • 돈 L. 앤더슨, Theory of the Earth, Blackwell (1989)는 지구 내부를 다루는 교과서이며 현재 웹에서 이용할 수 있다. 2007-12-23 확인.
  • Jeanloz, Raymond (2000). 〈Mantle of the Earth〉. Haraldur Sigurdsson; Bruce Houghton; Hazel Rymer; John Stix; Steve McNutt. 《Encyclopedia of Volcanoes》. San Diego: Academic Press. 41–54쪽. ISBN 978-0-12-643140-7. 
  • Nixon, Peter H. (1987). Mantle xenoliths: J. Wiley & Sons, 844p., (ISBN 0-471-91209-3).
  • 도널드 L. 터코트제럴드 슈베르트, Geodynamics,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3판 (2014), ISBN 978-1-107-00653-9 (하드커버) ISBN 978-0-521-18623-0 (페이퍼백)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