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컴 글래드웰
말콤 티모시 글래드웰(영어: Malcolm Gladwell, CM, 1963년 9월 3일 ~ )은 캐나다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중인 저널리스트이자 작가, 강연가이다.[1] 2008년에 발표한 《아웃라이어》라는 저서를 통하여 '1만시간의 법칙'(The 10,000 Hours Rule)을 대중에게 알림으로써 전세계적으로 크게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2] 본래 '1만시간의 법칙'은 1993년 스웨덴 출신의 심리학자 앤더스 에릭슨(Anders Ericsson)이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이었으나[3][4][5] 글래드웰이 책으로 발표하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 또한 2000년에는 코머스 셸링이 제안한 '티핑포인트'에 대한 책을 써서 베스트 셀러가 된 적도 있다. 이렇듯 글래드웰은 학술 논문이나 서적에서 자료들을 발췌하여 대중적인 베스트셀러를 만드는 저널리스트로 유명하다. 영국에서 태어났으나 6세때 캐나다로 이주 한 후 온타리오에서 성장하였고 국적은 캐나다이다.[7] 아버지는 수학 교수, 어머니는 심리치료사였다. 토론토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한후 1984년에 미국으로 건너와 워싱턴포스트에서 활동하다가[8] 1996년에 《더 뉴요커》로 자리를 옮겨 저널리스트로 활동하였다.[9] 유명 강사이기도 한 그는 연간 30여 회의 강연회를 갖는데, 2005년 기준으로 강연 1회당 4만 5,000달러 정도를 받는다고 한다.[10] 그가 처음으로 큰 주목을 받게 된 것은 『티핑포인트』에 대해서 쓴 잡지 기사로 부터 시작되었다. 이 기사내용은 다시 리틀 브라운(Little Brown) 출판사를 통해서 2000년에 책으로 출간하였는데,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티핑포인트(The Tipping Point: How Little Things Can Make a Big Difference)』는 28주간이나 『뉴욕타임스』베스트셀러를 기록했으며, 미국에서만 20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다. 이 책은 한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로 인해 원래 경제학자 토머스 셸링(Thomas Schelling)이 제시한 개념인 '티핑포인트'가 글래드웰의 것처럼 되어버렸다.[10] 저서2020년까지 발표한 6권 《티핑 포인트》(2000) 《타인의 해석》(2020) 서훈
비판과학자도 아니면서 과학 논문이나 서적을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과잉 단순화를 범하고, 흥미 위주의 에피소드에 치중하며, 선별적 자료수집으로 편향적이라는 비판이 있다.[11] 글래드웰에 의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1만 시간의 법칙'의 창시자인 에릭슨 역시, 글래드웰이 지나치게 연습의 양적인 면을 강조한 것에 대해 비판을 가하였다.[4] 또한 에릭슨은 탁월성의 핵심은 양이 아닌 질적으로 우수하고 계획적이며 의도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에 있다고 주장하였다.[12][13] 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