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드라콘

멕시드라콘
화석 범위:
백악기 캄파뉴절
복원도
복원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상목: 공룡상목
목: 용반목
아목: 수각아목
(미분류): 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
과: 오르니토미무스과
속: †멕시드라콘속
Serrano-Brañas et al., 2025
종: †멕시드라콘
학명
Mexidracon longimanus
Serrano-Brañas et al., 2025

멕시드라콘(학명Mexidracon longimanus 멕시드라콘 롱기마누스[*])는 멕시코 코아우일라백악기 후기 세로 델 푸에블로층에서 발견된 오르니토미무스과수각류 공룡의 일종이다. 단계통으로 멕시드라콘속의 유일한 종이다. 멕시드라콘은 2020년 데이노케이루스과파락세니사우루스에 이어 이 지층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이다.[1][2]

발견 및 명명

멕시드라콘은(는) 멕시코 안에 위치해 있다
멕시드라콘
멕시코의 세로 델 푸에블로층에 있는 멕시드라콘의 모식지

멕시드라콘의 BENC 32/2-0001 모식표본은 클라우디오 데 레온 다빌라(Claudio de León-Dávila)가 2014년에 멕시코 코아우일라의 헤네랄 세페다 지방자치구(General Cepeda Municipality)에 있는 포르베니르 데 할파(Porvenir de Jalpa)라는 마을 근처의 세로 델 푸에블로층(Cerro del Pueblo Formation) (디푼타층군(Difunta Group))의 '로마 프리에타'(Loma Prieta) 산지에서 발견한 것이다. 표본은 일부분 관절이 붙어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등뼈, 엉치뼈, 꼬리뼈, V자형 혈궁, 왼쪽 앞다리 일부(상완골 및 제1~3중수골), 다리이음뼈 일부, 그리고 뒷다리 일부분(완전한 왼쪽 대퇴골경골, 오른쪽 대퇴골 및 경골 일부, 종아리뼈 근위부, 원위부 부척골의 3~4번 뼈, 왼쪽 제2~4중수골, 그리고 네 개의 발가락뼈)으로 구성되어 있다.[1]

2025년 Serrano-Brañas et al.은 멕시드라콘 롱기마누스를 이러한 화석 증거에 바탕을 두어 오르니토미무스과의 새로운 속과 종으로 기재하였다. 속명 '멕시드라콘(Mexidracon)은 멕시코를 가리키는 접두어 'Mexi-'에 그리스어로 '' 또는 '드래곤'을 뜻하는 '드라콘'(drakōn)에서 파생한 접미어 'dracon'을 결합시킨 단어이다. 종소명 '롱기마누스'(longimanus)는 라틴어에 뿌리를 둔 단어로 '긴 손'을 뜻하며, 멕시드라콘에서 보이는 엄청나게 긴 앞발을 가리킨다.[1]

특징

멕시드라콘은 중수골이 매우 길어 오르니토미무스과 사이에서 특이한 편이다. Serrano-Brañas et al. (2025)은 이들의 긴 앞발이 데이노케이루스테리지노사우루스와 같이 긴 팔과 커다란 발톱을 가진 초식성 수각류에게서 보이는 기능을 해 식물성 먹이를 더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게 했을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덧붙여서 멕시드라콘은 경골보다 약간 긴 대퇴골을 가지고 있어 길쭉한 앞발과 함께 다른 오르니토미무스과와 달리 주금성에 제약을 준다. 또한 멕시드라콘과 오르니토미무스류의 SEPCP 16/237 표본 사이의 차이점도 관찰되어, 이는 서식지 선호도의 차이가 반영된다. 다리뼈의 비교에 따르면, 살틸로미무스는 비례적으로 긴 경골, 넓은 발, 그리고 벌린 발가락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고 진흙투성이인 지표면 위에서 달렸음을 암시한다. 반면에, 멕시드라콘은 더 가느다란 발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지형을 효율적으로 가로지르기에 적합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3]

계통 분류

Serrano-Brañas et al. (2025)은 대부분 풀린 계통 분석에 따라 멕시드라콘을 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의 오르니토미무스과의 구성원에 집어넣는다. 이 결과는 하단의 분기도에 자세히 나와 있다:[1]

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
응퀘바사우루스

베이산롱

펠레카니미무스
아르카이오르니토미무스

하르피미무스

티라노미무스

아비아티라니스

데이노케이루스과
가루디미무스
데이노케이루스
파락세니사우루스
오르니토미무스과

토토틀미무스

멕시드라콘
스트루티오미무스

Struthiomimus spp.

갈리미무스

자라쿠르소르

아이피오르니토미무스

오르니토미무스

안세리미무스

라티바테스

각주

  1. Serrano-Brañas, Claudia Inés; Espinosa-Chávez, Belinda; de León-Dávila, Claudio; Maccracken, S. Augusta; Barrera-Guevara, Daniela; Torres-Rodríguez, Esperanza; Prieto-Márquez, Albert (2025년 1월 28일). “A long-handed new ornithomimid dinosaur from the Campanian (Upper Cretaceous) Cerro del Pueblo Formation, Coahuila, Mexico”. 《Cretaceous Research》: 106087. doi:10.1016/j.cretres.2025.106087. ISSN 0195-6671. 
  2. Serrano-Brañas, Claudia Inés; Espinosa-Chávez, Belinda; Maccracken, S. Augusta; Gutiérrez-Blando, Cirene; de León-Dávila, Claudio; Ventura, José Flores (2020년 8월 1일). Paraxenisaurus normalensis, a large deinocheirid ornithomimosaur from the Cerro del Pueblo Formation (Upper Cretaceous), Coahuila, Mexico”.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101: 102610. doi:10.1016/j.jsames.2020.102610. ISSN 0895-9811. 
  3. Lee, Y.N.; Barsbold, R.; Currie, P.J.; Kobayashi, Y.; Lee, H.J.; Godefroit, P.; Escuillié, F.O.; Chinzorig, T. (2014). “Resolving the long-standing enigmas of a giant ornithomimosaur Deinocheirus mirificus”. 《Nature》 515 (7526): 257–260. Bibcode:2014Natur.515..257L. doi:10.1038/nature13874. PMID 25337880. S2CID 2986017.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