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프랑스어

미국의 프랑스어
언어 부호
ISO 639-3
글로톨로그 none[1]

프랑스어미국에서 소수언어로 사용된다. 2020년 연방 아메리칸 지역사회 조사에 따르면 5세 이상의 미국인 약 118만 명이 집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보고했다.[2] 이로써 프랑스어는 영어, 스페인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망스어이며 프랑스어는 두 번째), 중국어, 타갈로그어, 베트남어, 아랍어 다음으로 미국에서 7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현재 미국인 지역에서 여러 프랑스어 변종이 발전했다.

최근에는 프랑스어권 국가 및 지역에서의 이민을 통해 프랑스어가 미국 내 여러 지역으로 유입되었다. 오늘날 프랑스어는 메인주버몬트주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영어 다음)이다. 루이지애나주, 코네티컷주로드아일랜드주에서는 프랑스어가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영어 및 스페인어 다음)이다.[3][4]

제2외국어로서 프랑스어는 미국 학교, 대학 및 종합대학에서 스페인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널리 가르치는 외국어이다.[5] 압도적인 다수의 프랑스계 미국인들은 영어만 사용하며 자랐지만, 일부는 자녀들을 프랑스어 유산 언어 학습 수업에 등록시킨다.

방언과 변종

루이지애나주의 이중 언어 도로 표지판

현재 미국인 지역에서 발생한 프랑스어 방언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미주리 프랑스어, 뉴잉글랜드 프랑스어 (본질적으로 캐나다 프랑스어의 변형이다).[6]

루이지애나 프랑스어는 전통적으로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식민 프랑스어, 루이지애나 크리올 프랑스어, 케이준 프랑스어.[7][8] 식민 프랑스어는 전통적으로 하부 미시시피강 계곡 정착 초기 프랑스어 형태로, 한때는 교육받은 지주 계층의 언어였다고 한다. 아카디아 프랑스어에서 파생된 케이준 프랑스어는 18세기 아카디아인 망명자들의 도착과 함께 도입되었다고 한다. 아카디아 (현재 노바스코샤주, 뉴브런즈윅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북부 메인주)의 프랑스어 사용자 주민인 아카디아인들은 1755년에서 1763년 사이에 영국에 의해 고향에서 추방되었다. 많은 아카디아인들이 하부 루이지애나에 정착하여 "아카디아인"의 변형인 케이준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들의 방언은 백인 하층민의 전형적인 언어로 간주되었고, 루이지애나 크리올 프랑스어는 흑인 공동체의 언어로 발전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식민 프랑스어가 케이준 프랑스어와 크게 통합된 반면,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독특한 변종으로 남아 있다고 본다.[8]

미주리 프랑스어는 17세기 일리노이 컨트리의 프랑스 정착민 후손들, 특히 스테. 주네비에브, 세인트루이스, 워싱턴군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1930년대에는 데 소토포토시 사이의 올드 광산 지역에 약 600가구의 프랑스어 사용 가정이 있었다고 한다.[9] 20세기 후반에는 이 방언이 거의 멸종되어 몇몇 노인 화자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7] 비슷하게, 머스크랫 프랑스어페이덩오에 정착한 아비탕, 보야저쿠레르 드 부아의 후손들이 미시간주 남동부에서 사용한다.[10]

뉴잉글랜드 프랑스어는 본질적으로 캐나다 프랑스어의 지역 변종으로, 뉴잉글랜드 주 일부에서 사용된다. 이 지역은 특히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캐나다로부터 상당한 이민 유산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어 유산을 가진 일부 미국인들은 언어를 잃었지만 현재 이를 되살리려 노력하고 있다.[11][12] 아카디아 프랑스어메인주 세인트존 계곡의 아카디아인들도 사용한다.[13][14]

메티스 프랑스어노스다코타주의 일부 메티스인들이 사용한다.

어니스트 F. 헤이든은 펜실베이니아 프렌치빌 프랑스어를 북미 프랑스어의 독특한 방언으로 식별한다.[15] "펜실베이니아 프렌치빌의 프랑스어 지역은 1960년대 후반에 처음 주목을 받았지만, 사용되는 프랑스어 변종은 체계적인 언어학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헤이든은 정착민의 지리적 기원이 프랑스 중부이며, 뉴올리언스도 마찬가지였지만 정착이 더 최근(1830-1840)에 이루어졌다고 보고한다. 그는 또한 1960년대에는 프랑스어가 주 공동체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처럼 보였다고 보고한다."[16][17][18]

브레이온 프랑스어는 퀘벡의 보스, 뉴브런즈윅의 에드먼드스턴, 마다와스카 메인주, 주로 아루스투크군에서 사용된다. 표면적으로는 아카디아 프랑스어의 음운적 후손이지만, 분석 결과 퀘벡 프랑스어와 형태통사론적으로 동일하다.[19] 이는 퀘벡 주민과 아카디아 정착민 간의 접촉 방언의 국지적 평준화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20] 일부 브레이온인들은 자신들을 아카디아인도 퀘벡인도 아닌 마다와스카 지역의 농업 및 임업과 관련된 역사와 유산을 가진 독특한 문화라고 주장한다.

캐나다 프랑스어프랑스계 캐나다인 이민자들이 사용하며, 캐나다계 미국인프랑스계 캐나다계 미국인들도 미국 전역의 리틀 캐나다뉴잉글랜드의 여러 도시에서 사용한다. 캐나다에 거주하는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여러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한다. 2006년 캐나다 인구 조사의 민족 다양성 조사[21][22][23]에 따르면 프랑스어 사용자 캐나다인들은 자신의 민족성을 프랑스인, 프랑스계 캐나다인, 퀘벡인, 아카디아인으로 가장 자주 식별했다. 얀첸(2006)은 이 세 민족성을 "프랑스 신세계" 혈통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이들이 캐나다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24][25] 이 모든 혈통은 프랑스계 캐나다계 미국인들에게서 나타난다. 뉴펀들랜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프랑코 뉴펀들랜드인, 프랑코 온타리오인, 프랑코 매니토바인, 프랑사스코와, 프랑코 알버타인, 프랑코 콜럼비아인, 프랑코 테노아, 프랑코 유콘인, 프랑코 누나부인은 프랑스계 캐나다계 미국인 인구의 일부이며 자신들만의 프랑스어 형태를 사용한다.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프랑스어 방언은 프랑스에서 온 최근 이민자, 프랑스 혈통의 사람들, 프랑스 이민자의 후손들이 미국에서도 사용한다.[26][27][28]

모국어 사용자 인구

프랑스 혈통

미국 내 프랑스어 사용자 지도.

2010년 인구 조사에서 총 10,804,304명이 프랑스 혈통을 주장했지만,[29] 다른 자료에서는 이 혈통을 주장하는 사람이 1,300만 명에 달한다고 기록했다. 대부분의 프랑스어 사용 미국인은 이 혈통에 속하지만, 벨기에, 스위스, 아이티 및 수많은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 출신을 포함하여 프랑스계가 아니면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상당한 인구도 있다.

새로운 프랑스어권 이민자

퀘벡과 미국-캐나다 국경 근처 클린턴군의 87번 주간 고속도로에 있는 이중 언어 출구 표지판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시에는 프랑스 국외 거주자, 아이티인 (부분적으로 프랑스어에서 파생된 별개의 언어인 아이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프랑스계 캐나다인으로 구성된 대규모 프랑스어권 공동체가 있다. 또한 올랜도탬파 주변에는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인 공동체가 성장하고 있다. 골드러시 시대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되어 베이 지역으로 이주한 프랑스 와인 제조 이민자들에 의해 보강된 작지만 지속적인 프랑스 공동체는 도시의 프렌치 쿼터를 중심으로 문화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주에서는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からの 이민으로 인해 프랑스어 사용자가 최근 증가했다.[30][31][32]

프랑스어권 관광객 및 은퇴자

퀘벡주에서 온 많은 은퇴자들이 플로리다주로 이주했거나, 적어도 겨울을 그곳에서 보낸다. 또한 겨울과 봄에 남동부 주를 여행하는 많은 캐나다인 중에는 프랑스어 사용자가 많으며, 대부분 퀘벡주 출신이지만 뉴브런즈윅주온타리오주 출신도 있다. 퀘벡인아카디아인루이지애나주를 방문하는 경향이 있는데, 퀘벡과 뉴브런즈윅은 루이지애나와 여러 문화적 유대 관계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계절 이동

플로리다주, 캘리포니아주, 뉴욕주, 텍사스주, 루이지애나주, 애리조나주, 하와이주 및 기타 몇몇 인기 있는 리조트 지역 (특히 올드 오차드 비치, 케네벙크케네벙크포트, 케이프 메이)은 겨울 및 여름 휴가 동안 퀘벡인들이 대거 방문한다.

언어 학습

프랑스어는 전통적으로 전 세계 영어 사용자들에게 선호되는 외국어였다. 그러나 1968년 이후[33] 프랑스어는 미국에서 스페인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학습되는 외국어로 자리 잡았다.[34] 2007~2008년에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약 120만 명의 학생들이 프랑스어 강좌에 등록했으며, 이는 외국어 등록 학생 전체의 14%에 해당한다.[35]

많은 미국 대학에서 프랑스어 강좌를 제공하며, 프랑스어 학위 프로그램도 흔하다.[36] 2021년 가을에는 135,088명의 미국 대학생이 프랑스어 강좌에 등록했으며, 이는 전체 외국어 학생의 11.4%로 (584,453명 또는 49.4%인 스페인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37]

전통적으로 프랑스어 교육은 사립학교에서 더 중요했지만, 이 학교들의 언어 선택 요건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실제로 외국어 학습은 모든 주에서 미국 학생들에게 필수가 아니다. 그러나 뉴욕주, 버지니아주조지아주를 포함한 일부 주에서는 최소 2년의 외국어 교육을 요구한다.

지역 공동체

프랑스어권 공동체
도시/카운티/패리시 인구
총계 프랑스어권
%
인구 1000명 이상의 도시
마다와스카 ME 4,534 84% 3,809
프렌치빌 ME 1,225 80% 980
밴 뷰런 ME 2,631 79% 2,078
벌린 NH 10,051 65% 6,533
포트 켄트 ME 4,233 61% 2,582
인구 1000명 미만의 도시
세인트 애가타 ME 802 80% 642
그랜드 아일 ME 518 76% 394
세인트 프랜시스 ME 577 61% 352
세인트 존 플랜테이션 ME 282 60% 169
햄린 ME 257 57% 146
이글 레이크 ME 815 50% 408
프랑스어권 비율이 가장 높은 카운티/패리시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 사용자 제외)
세인트마틴군 LA 48,583 27.4% 13,312
에반젤린군 LA 35,434 25.7% 9,107
버밀리언군 LA 53,807 24.9% 13,398
아루스투크군 ME 73,938 22.4% 16,562
라푸쉐군 LA 89,974 19.1% 17,185
아카디아군 LA 58,861 19% 11,184
어보이엘스군 LA 41,481 17.6% 7,301
어섬션군 LA 23,388 17.6% 4,116
세인트랜드리군 LA 87,700 16.7% 14,646
코스군 NH 33,111 16.2% 5,364
제퍼슨데이비스군 LA 31,435 16.2% 5,092
라피엣군 LA 190,503 14.4% 27,432
앤드로스코긴군 ME 103,793 14.3% 14,842

미디어 및 교육

문화 및 언어 관련 정부 기관

문화 단체

TV 채널

신문

라디오 방송국

  • WSRF (AM 1580), 마이애미 지역
  • WYGG (FM 88.1), 뉴저지 중부
  • KFAI (FM 90.3 미니애폴리스 및 106.7 세인트폴), 미네소타 (주간 방송은 프랑스어이며 영어 번역이 제공되지만, 프랑스어 음악이 특징임)
  • KBON (FM 101.1), 루이지애나 남부 (대화 프로그램은 영어이지만, 프랑스어 음악이 특징임)
  • KLCL (AM 1470), 루이지애나 남부 (대화 프로그램은 영어이지만, 프랑스어 음악이 특징임)
  • KVPI (1050 AM), 루이지애나 남부 (하루 두 번 프랑스어 뉴스 방송, 영어 음악 재생)
  • KRVS (FM 88.7), 루이지애나 남부 (영어 및 프랑스어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 WFEA (AM 1370) 맨체스터, 뉴햄프셔 (일요일 아침 로저 라세르테의 셰 누 방송)
  • WNRI (AM 1380 및 FM 95.1) 운소켓, 로드아일랜드 (토요일 정오 및 일요일 오후 로저와 클로데트 라리베르테의 L'Écho Musical 방송)

멀티미디어 플랫폼

  • 텔레-루이지애나: 루이지애나의 언어와 문화에 전념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 뉴 니보

프랑스어 학교

같이 보기

각주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영어이름}}}〉.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ACS B16001”. 《ACS B16001》. U.S. Census Bureau. 2022년 12월 26일에 확인함. 
  3. “LANGUAGE SPOKEN AT HOME BY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 Univers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 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Factfinder2.census.gov. 2020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4일에 확인함. 
  4. “LANGUAGE SPOKEN AT HOME BY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 Univers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 2007–2011 American Community Survey 5-Year Estimates??”. Factfinder2.census.gov. 2020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4일에 확인함. 
  5. “Enrollments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n United States”. 
  6. Ammon, Ulrich;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1989). 《Status and Function of Languages and Language Varieties》. Walter de Gruyter. 306–308쪽. ISBN 0-89925-356-3. 2010년 9월 3일에 확인함. 
  7. Ammon, Ulrich;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1989). 《Status and Function of Languages and Language Varieties》. Walter de Gruyter. 307쪽. ISBN 0-89925-356-3. 2010년 9월 3일에 확인함. 
  8. “What is Cajun French?”. Department of French Studies, Louisiana State University. 2010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3일에 확인함. 
  9. "Creole Dialect of Missouri". J.-M. Carrière, American Speech, Vol. 14, No. 2 (Apr., 1939), pp. 109–119
  10. Au, Dennis. “The Mushrat French: The Survival of French Canadian Folklife on the American Side of le Détroit”. 2014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Reveil”. Wakingupfrench.com. 2006년 1월 30일. 2015년 3월 14일에 확인함. 
  12. 《centralmaine.mainetoday.com》 https://web.archive.org/web/20090526140218/http://centralmaine.mainetoday.com/news/stories/021118franco_f.shtml. 2009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3. “Made in Acadia: The History, Evolution and Unique Expressions of Acadian French”. 2017년 12월 27일. 
  14. “Acadians & the St. John Valley | Maine's Aroostook County”. 
  15. Haden, Ernest F. 1973. "French dialect geography in North America." In Thomas A. Sebeok (Ed). Current trends in linguistics. The Hague: Mouton, 10.422–439.
  16. King, Ruth (2000). 《The Lexical Basis of Grammatical Borrowing: A Prince Edward Island French Case Study》. Amsterdam: John Benjamins. 5쪽. 
  17. Phillips, George. “French influence on the English speaking community”. 
  18. 《vorlon.case.edu》 https://web.archive.org/web/20070206014449/http://vorlon.case.edu/~flm/flm/Frenchville/Frenchville.html. 2007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9. Geddes, James (1908). Study of the Acadian-French language spoken on the north shore of the Baie-des-Chaleurs. Halle: Niemeyer; Wittmann, Henri (1995) "Grammaire comparée des variétés coloniales du français populaire de Paris du 17e siècle et origines du français québécois." in Fournier, Robert & Henri Wittmann. Le français des Amériques. Trois-Rivières: Presses universitaires de Trois-Rivières, 281–334.
  20. “Neither American or Canadian: The Republic of Madawaska « All in”. 
  21. “Ethnic Origin (247),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The Daily》. Statistics Canada. 2006.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 “Ethnic Diversity Survey: portrait of a multicultural society” (PDF). Statistics Canada. 2003. 2016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3일에 확인함. 
  23. Statistics Canada (April 2002). “Ethnic Diversity Survey: Questionnaire” (PDF). Department of Canadian Heritage. 12 February 2010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5 April 2008에 확인함. The survey, based on interviews,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1) I would now like to ask you about your ethnic ancestry, heritage or background. What were the ethnic or cultural origins of your ancestors? 2) In addition to "Canadian", what were the other ethnic or cultural origins of your ancestors on first coming to North America? 
  24. Jantzen, Lorna (2003). 《THE ADVANTAGES OF ANALYZING ETHNIC ATTITUDES ACROSS GENERATIONS—RESULTS FROM THE ETHNIC DIVERSITY SURVEY》 (PDF). 《Canadian and French Perspectives on Diversity》. 103–118쪽. 2012년 5월 7일에 확인함. 
  25. Jantzen (2006) Footnote 9: "These will be called "French New World" ancestries sinc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these ethnic categories are Francophones."
  26. “French Immigration to America Timeline **”. 
  27. Camarota, Steven A. (2012년 8월 8일).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2010”. 
  28. “Europ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2012년 7월 26일. 
  29. “SELECTED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UNITED STATES : 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Factfinder2.census.gov. 2020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4일에 확인함. 
  30. “Reason for Recent French Speaking Resurgence in Lewiston: African Immigrants”. 2017년 3월 27일. 
  31. “In Maine, a little French goes a long way”. 《The World from PRX》. 
  32. “African immigrants drive French-speaking renaissance in Maine”. 《Portland Press Herald》. 
  33. Judith W. Rosenthal, Handbook of Undergraduate Second Language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0; New York: Routledge, 2011), p. 50.
  34. Ruiz, Rebecca. “By The Numbers: Most Popular Foreign Languages”. 《Forbes》. 
  35. “Language study in the US” (PDF). actfl.org. 2016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20일에 확인함. 
  36. Goldberg, David; Looney, Dennis; Lusin, Natalia (February 2015). “Enrollments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n United State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Fall 2013” (PDF). Modern Language Association.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37. Modern Language Association (2023). “Enrollments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n U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Fall 2021” (PDF). 《Modern Language Association》. 2024년 8월 17일에 확인함. 
  38. “Citizens' Guide to State Services, Housing/Community Development- Commissions”. 《Secretary of the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Commonowealth of Massachusetts. 2018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9. “Home”. 《3abnfrancais.org》. 
  40. “Home”. 《bonjouramericatv.com》. 
  41. “Découvrir nos métiers et marques - Vivendi”. 
  42. “Audubon Charter School”. Auduboncharter.com. 1999년 12월 31일. 2015년 3월 14일에 확인함. 
  43. “Home”. Dallasinternationalschool.org. 2015년 3월 14일에 확인함. 
  44. “Ecole Bilingue de la Nouvelle Orleans - Welcome to EB New Orleans”. 《www.ebnola.com》. 2008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5. “Academic Brief / Program Overview”. 
  46. http://www.isl-edu.org 보관됨 6월 18, 2007 - 웨이백 머신
  47. “About Us | EFIP”. Efiponline.com. 1991년 1월 22일. 2014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