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Mildred Dresselhaus,[1] 결혼 전 성 Spiewak; 1930년 11월 11일 – 2017년 2월 20일)[2]는 "탄소 과학의 여왕"[3]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나노기술자이다. 그녀는 매서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및 전기 공학 연구소 교수이자 명예 교수였다.[4]대통령 자유 메달, 국가 과학 메달, 엔리코 페르미 상, 바네바 부시 상 등 많은 상을 수상했다.
어린 시절 및 교육
드레슬하우스는 1930년 11월 11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폴란드 유대인 이민자인 에텔(Ethel 또는 Teichtheil)과 마이어 스피워크(Meyer Spiewak)의 딸로 태어났다.[5][6] 그녀 가정이 대공황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드레슬하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집에서 조립 작업을 하고 여름에는 지퍼 공장에서 일함으로써 가족의 수입을 도왔다.[7][8] 초등학생으로서 드레슬하우스의 첫 번째 '가르치는 직업'은 주당 50센트를 받고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가르치는 일이었는데, 이로써 훌륭한 교사가 되는 방법을 배웠다.[8]
드레슬하우스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과 같은 뉴욕의 무료 박물관에서 과학에 대한 그녀의 관심이 생겨났다고 말했다.[7] 그녀와 형제인 어빙 스피워크(Irving Spiewak)는 모두 그리니치 하우스 음악학교의 장학생이었는데, 이 학교에서는 그녀에게 음악적, 예술적, 지적 성향의 다른 세계를 소개해 주었다.[8]
드레슬하우스는 브롱크스에서 자라 초등학교를 다녔다. 그녀 오빠가 헌터 칼리지 고등학교에 지원할 기회를 그녀에게 알려주었는데, 이 고등학교에서 성적이 탁월하여 동료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교사로서의 연습도 했다.[7]
헌터 칼리지에서의 경험
드레슬하우스는 뉴욕의 헌터 칼리지를 다녔다. 헌터 칼리지는 전통적으로 여자 대학이었는데, 그녀가 재학 중일 때 브롱크스 캠퍼스가 수많은 남성 1944년 전역병 후원법(G.I. Bill) 수혜자들에게 개방되었다.[9] 그녀는 나중에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과학 수업을 듣는 남학생들은 반에서 최하위를 향해 가고 있었어요. . . . 그들은 항상 나에게 도움을 청하곤 했어요. . . . 이것은 내 이야기에서 어느 정도 중요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저는 대학에서 과학이 남자의 직업이라는 생각을 한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10]
헌터 칼리지 재학 중, 그녀의 교수 중 한 명으로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인 로절린 얠로는 드레슬하우스에 관심을 갖고 그녀에게 대학원 펠로우십에 지원하고 물리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도록 격려했다. 드레슬하우스는 1951년에 인문학(liberal arts)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2][7]
그녀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57년간 재직하였다.[12] 1967년에 MIT에서 전기공학과의 애비 로커펠러 마우제(Abby Rockefeller Mauzé) 방문 교수가 되었고, 1968년에 종신 교수가 되었으며, 1983년에 물리학 교수로 되었다. 1985년 그녀는 MIT 최초의 여성 연구소 교수로 임명되었다.[13][14] 그녀가 연구한 이국적인 화합물이 현대 과학 및 공학과 관련성이 점점 더 증가함에 따라 그녀는 세계 최고 전문가가 되어 표준 교과서 중 하나를 저술할 수 있는 특출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15] 그녀의 이 분야에 대한 기초 작업에 의하여 이후에 안드레 가임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가 그래핀을 분리하고 그 성질을 연구하여 2010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었다.[7]
그녀가 지도한 학생으로는 드보라 청(Deborah Chung)[23]과 같은 저명한 재료 과학자와 네이창 예(Nai-Chang Yeh 및 그레그 팀프(Greg Timp)와 같은 물리학자가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5월 7일, 우편에서 세 번째의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 박사와 우편의 버튼 리히터 박사를 맞이하고 있다.
드레슬하우스의 이름을 딴 몇 가지 물리 이론이 있는데, 힉스-드레슬하우스 모델 ( 린든 힉스 및 드레슬하우스)[24] 은 저차원 열전기 현상에 대한 최초의 기초 모델로, 이 모델에 의하여 전체 밴드 필드가 시작되었다. SFDD 모델( 리이치로 사이토, 미츠타가 후지타, 진 드레슬하우스 및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25]에서는 탄소 나노튜브의 밴드 구조를 최초로 예측했다. 하지만 드레슬하우스 효과는 그녀 남편인 진 드레슬하우스가 모델링한 스핀-궤도 상호 작용 효과이다.
드레슬하우스는 여성의 물리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1971년 그녀와 동료는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을 탐구하는 세미나로 MIT에서 최초의 여성 포럼을 조직했다. 그녀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미국 물리학회(APS)에서는 물리학 분야의 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밀리에 드레슬하우스(Millie Dresselhaus) 기금을 조성하였다.[26] 드레셀하우스는 2017년 STEM 직급에서 여성의 수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27]제너럴 일렉트릭 텔레비전 광고의 얼굴로 나와서 "여성 과학자가 유명인이라면 어떨까?"라는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2019년 전기전자공학회 (IEEE) 이사회는 IEEE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 메달을 제정하여 매년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탁월한 기술적 공헌, IEEE 관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사람에게 수여한다.[28]
2014년 미국 정부에 의하여 민간인에게 수여하는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 자유 메달 수상에 따른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의 구술 자서전 인터뷰
과학지식에 대한 기여
드레슬하우스는 특히 흑연, 흑연 층간 화합물, 풀러렌, 탄소 나노튜브 및 저차원 열전기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그녀의 연구그룹은 전자 밴드 구조, 라만 산란 및 탄소 나노구조의 광물리학을 자주 이용했다. 그녀의 연구는 의류와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전자 제품이 "어디에나"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얇은 흑연 기반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었다.[12]
1960년대에 레이저가 등장하면서 드레슬하우스는 자기광학 실험에 레이저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나중에 흑연의 전자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29] 그녀의 연구의 상당 부분은 탄소 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과 나노와이어의 열전 특성 향상에 중점을 둔 '버키볼'과 그래핀 연구에 관한 것이다.[30]
사생활
그녀의 첫 남편은 물리학자 프레드릭 라이프인데,[31] 1958년 진 드레슬하우스와 재혼했다. 남편 진 드레슬하우스는 이후에 이론학자로 또한 드레슬하우스 효과 발견자로 유명해진다.[32] 그들은 매리안, 칼, 폴, 엘리엇의 네 자녀와 다섯 명의 손주를 두었다.
di Vittorio, S.L.; Dresselhaus, M.S.; Endo, M.; Issi, J-P.; Piraux, L. (1990년 7월 1일). The transport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fibers (보고서).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STI). doi:10.2172/6882792.
Farmer, J.C.; Barbee, T.W. Jr.; Chapline, G.C. Jr.; Olsen, M.L.; Foreman, R.J.; Summers, L.J.; Dresselhaus, M.S.; Hicks, L.D. (1995년 1월 20일). Synthesis and evaluation of single layer, bilayer, and multilayer thermoelectric thin films (보고서).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STI). doi:10.2172/93595.
M. S. Dresselhaus; H. Dai (2004). “Carbon Nanotubes: Continued Innovations and Challenges”. 《MRS Bulletin》 29 (4): 237. doi:10.1557/mrs2004.74.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J. Heremans; M. S. Dresselhaus (2005). “Low Dimensional Thermoelectricity”(PDF). 《CRC Handbook - Molecular and Nano-electronics: Concepts, Challenges, and Designs》.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M. S. Dresselhaus, R. Saito and A. Jorio (2004). “Semiconducting Carbon Nanotubes”(PDF). 《Proceedings of ICPS-27》.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S. G. Chou; F. Plentz-Filho; J. Jiang; R. Saito; D. Nezich; H. B. Ribeiro; A. Jorio; M. A. Pimenta; G. Samsonidze; A. P. Santos; M. Zheng; G. B. Onoa; E. D. Semke; G. Dresselhaus; M. S. Dresselhaus (2005). “Photo-excited Electron Relaxation Process Observed in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of DNA-wrapped Carbon Nanotube”. 《Physical Review Letters》 94 (12): 127402. Bibcode:2005PhRvL..94l7402C. doi:10.1103/PhysRevLett.94.127402. PMID15903960.
↑M. S. Dresselhaus, interview with S. Sherkow, 7 and 15 June, 11 and 19 August, 13, 20, 22, 24, and 30 September, and 15 October 1976. MIT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Cambridge, MA, USA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