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로쿤밍기아

밀로쿤밍기아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아트다바니아절[1]
모식표본
모식표본
밀로쿤밍기아의 상상도
밀로쿤밍기아의 상상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목: 밀로쿤밍기아목
과: 밀로쿤밍기아과
속: †밀로쿤밍기아속(Myllokunmingia)
Shu, Zhang & Han, 1999
학명
Myllokunmingia fengjiaoa
Shu, Zhang & Han, 1999

밀로쿤밍기아 (Myllokunmingia)는 5억 1800만 년 전 당시 캄브리아기였던 중국의 마오텐산 혈암에서 발견된 멸종한 초기 척삭동물 가운데 하나로, 척추동물일 것으로 여겨지나,[2] 이는 크게 입증된 바 없다.[3] 모식종밀로쿤밍기아 펑지아오아 (M. fengjiaoa)는 몸 길이 28mm에 몸 높이는 6mm이다. 캄브리아기 후기 청장 지층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유두동물 가운데 하나이다. 두개골과 연골로 구성된 골격 구조를 갖췄다. 골격 요소에 생광물질화의 흔적이 없다. 모식종은 중국 윈난성 쿤밍(昆明)시의 어카이쿤에 있는 하이커우 근처의 에오레들리키아 구역(Eoredlichia Zone)에 있는 치옹주시 지층 중 위안산 구성군에서 발견되었다. 일부 연구진들은 밀로쿤밍기아가 다른 원시 척삭류인 하이코우이크티스의 이명일 것으로 여겼었으나,[4] 영국의 고생물학자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가 이끄는 후속 연구를 통해 두 속이 밀로쿤밍기아에서 보이는 새열의 부재와 하이코우이크티스의 더 명확한 모양새를 가진 근절[5]을 통해 보이는, 상이한 아가미 배열구조에 기반하는 명확히 별개의 분류군인 것을 확인했다.[6]

특징

밀로쿤밍기아는 뚜렷한 머리와 전방 돛 모양(1.5mm 길이)의 등지느러미 및 보다 뒤에 있는 배지느러미 주름(1쌍으로 추정)이 달린 몸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로쿤밍기아의 최대 몸 높이는 6mm이다. 최고점은 앞부분에서 뒤로 11mm 즈음 되는 위치에 있다. 머리는 반새가 있는 5개 또는 6개의 새낭을 지닌다. 몸통에는 뒤로 향한 v자 모양의 마디(근절)가 25개 있다. 배척삭, 인두, 그리고 몸통에서 뒤쪽 끝 방향으로 완전히 움직일 수 있는 소화관이 있다. 입은 명확히 식별할 수가 없다. 위심강이 존재할 수 있다. 밀로쿤밍기아에는 지느러미의 방사구조가 없다. 오직 한 개체 표본만이 있으며, 꼬리 끝이 퇴적물에 묻혀있다.[2]

같이 보기

각주

  1. Yang, C.; Li, X.-H.; Zhu, M.; Condon, D. J.; Chen, J. (2018). “Geochronological constraint on the Cambrian Chengjiang biota, South China” (PDF).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영어) 175 (4): 659–666. Bibcode:2018JGSoc.175..659Y. doi:10.1144/jgs2017-103. ISSN 0016-7649. S2CID 135091168. 
  2. Shu, D-G.; Luo, H-L.; Conway Morris, S.; Zhang, X-L.; Hu, S-X.; Chen, L.; Han, J.; Zhu, M.; Li, Y.; Chen, L-Z. (1999).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Nature》 402 (6757): 42. Bibcode:1999Natur.402...42S. doi:10.1038/46965. S2CID 4402854. 
  3. Donoghue, P.C.J.; Purnell, M.A. (2005). “Genome duplication, extinction and vertebrate evolution” (PDF).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0 (6): 312–319. doi:10.1016/j.tree.2005.04.008. PMID 16701387. 2008년 11월 6일에 확인함. 
  4. Hou, X.-G.; Aldridge, R. J.; Siveter, D. J.; Feng, X.-H. (2002). “New evidence on the anatomy and phylogeny of the earliest vertebrates”. 《Proc Biol Sci》 269 (1503): 1865–1869. doi:10.1098/rspb.2002.2104. PMC 1691108. PMID 12350247. 
  5. Conway Morris, Simon; Caron, Jean-Bernard (2012). Pikaia gracilens Walcott, a stem-group chordate from the Middle Cambrian of British Columbia”. 《Biological Reviews》 (영어) 87 (2): 480–512. doi:10.1111/j.1469-185X.2012.00220.x. PMID 22385518. S2CID 27671780. 
  6. Conway Morris, S. (2006년 6월 29일). “Darwin's dilemma: the realities of the Cambrian 'explos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1 (1470): 1069–1083. doi:10.1098/rstb.2006.1846. PMC 1578734. PMID 16754615.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