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땅의 임금들을 지니는 왕권을 가진 큰 도성(17,18), 일곱 산 위에 올려져 있다는 점(17,9), 전국적인 부패와 타락(17,2; 18,3; 19,2), 넷째, 기독교인들의 박해(17,6) 등 묵시록에 열거되는 바빌론의 특징들은 당시 존재하였던 그 어떤 도시보다도 로마에 가장 잘 들어맞는다.”[21]
많은 성서학자들과[22] 신학자들은 요한 묵시록이 집필된 1세기 당시 로마 제국이 비록 강력한 이교주의 세력이긴 했지만, 대탕녀 바빌론의 상징은 기독교 세력을 침범하는 외부의 이교 세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오히려 부정한 배교자 여왕, 즉 부정을 저지른 그리스도의 ‘옛 신부’이자 그 부정함으로 인하여 진작 버림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자신을 영적 세계의 여왕이라고 주장하는 배교자 ‘여왕’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묵시록에 나오는 일곱 산이 로마의 일곱 언덕이 아니라, 예루살렘의 일곱 언덕을 의미하며, 바빌론의 멸망은 서기 70년경 예루살렘의 멸망을 빗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23]
구약성경의 몇몇 예언서들은 타락한 예루살렘을 두고 불륜을 저지르는 탕녀 내지는 탕녀의 어머니라고 일컬었다(이사 1,21. 예레 2,20; 3,1-11. 에제 16,1-43; 23. 갈라 4,25). 예루살렘에 대한 이러한 구약성경의 예언서들은 물론 신약성경에서의 경고 역시 사실상 묵시록에서 바빌론을 두고 한 구절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묵시록의 저자인 요한이 바빌론에 대해 기술할 때 그 같은 예언들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다.[24]
한 예로, 마태오 복음서 23장 34절~37절과 루카 복음서 11장 47절~51절을 보면,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시대의 예언자들과 의로운 이들을 죽이고 그들의 피를 흘리게 한 책임을 예루살렘의 바리사이파 사람들에게 돌렸다. 그리고 요한 묵시록 17장 6절과 18장 20절~24절에도 거의 동일한 문구로 바빌론의 죄를 비난할 때 쓰여진다. 이러한 견해는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예언자는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곳에서 죽을 수 없기 때문이다.”(루카 13,33)라고 한 말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Wall, R. W. (1991).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Revelation (207).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Bratcher, R. G., & Hatton, H. (1993). A handbook on the Revelation to John. UBS handbook series; Helps for translators (248).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Davis, C. A. (2000). Revelation. The College Press NIV commentary (322). Joplin, Mo.: College Press Pub.
↑Mounce, R. H. (1997). The Book of Revelation.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315).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Beckwith, Isbon T. The Apocalypse of John. New York: MacMillan, 1919; reprinted, Eugen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1.
↑Caird, G. B. A Commentary on the Revelation of St. John the Divine. Black’s New Testament Commentaries, edited by Henry Chadwick. London: Adam & Charles Black, 1966.
↑Bruce, F. F. The Revelation to John. A New Testament Commentary, edited by G. C. D. Howley. Grand Rapids: Zondervan, 1969.
↑Swete, Henry Barclay. Commentary on Revelation. Grand Rapids: Kregel Publications, 1977.
↑Morris, Leon. The Book of Revelation,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Revised Edition. Grand Rapids: Eerdmans, 1987.
↑Roloff, J. (1993). A Continental Commentary: The Revelation of John (198).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Aune, D. E. (2002). Vol. 52C: Word Biblical Commentary : Revelation 17–22. Word Biblical Commentary (944). Dallas: Word, Incorporated.
↑Keener, C. S., & InterVarsity Press. (1993). The IVP Bible background commentary : New Testament (Re 17:9).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Press.
↑Carson, D. A. (1994). New Bible commentary : 21st century edition (4th ed.) (Re 17:7–18). Leicester, England; Downers Grove, Ill., USA: Inter-Va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