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드 "버니" 샌더스(영어: Bernard "Bernie" Sanders, 1941년9월 8일 ~ )는 미국의 정치인이다. 스스로를 "민주사회주의자"라고 칭하며[1] 미국 상원에서 유일한 민주사회주의다.[2]
자신의 신념이 민주당과 맞지 않아 무소속으로 활동한다. 다만 민주당 간부 회의에 참석하는 등 민주당과 연계해서 활동하고 있다.[3] 2010년 말에 부자 감세안의 통과를 비판하며 8시간 37분간 이뤄진 필리버스터로 화제를 모았다.[4]
2015년, 주변인의 권유와 무소속 출마의 현실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민주당의 2016년 대선 경선에 뛰어들었다.[5][6] 선거운동 과정에서 슈퍼팩을 거부하고 소액 모금운동을 하는 등 화제를 불러모았다.[7]
각종 여론조사 등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 경쟁자인 힐러리 클린턴과 경합하는 등 유력 주자로 부상하기 시작했다.[8] 그러나 최종 지명을 받는데에는 실패하였다.
벌링턴 시장 (1981 - 1989)
4명의 후보가 겨루는 시장 선거에서 10표 차이로 간신히 당선되었다.[9] 레이건 행정부 시절 우호적이지 않은 언론 및 비지지층의 비판 속에서, 공공지출을 확대하여 값싼 주택을 보급하고,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며, 수변지구의 개발 계획을 취소해 더욱 많은 주민이 그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서민 정책을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버니 샌더스는 미 상원 환경공공사업위원회 위원장 바바라 복서 (민주·캘리포니아) 의원과 함께 미국 상원 최초의 탄소세 도입안을 2013년 발의한 2명의 의원 중 한 명이다. 해당 발의안은 탄광, 정유소 등 주요 오염원들에 대해 배출하는 탄소 1톤당 20달러의 세금을 부과하고 향후 10년간 매년 5.6%씩 부과율을 인상하는 내용이었다. 두 의원에 따르면, 탄소세로 향후 10년간 예산 1조 2000억달러를 조성할 수 있고, 그 중 3000억 달러는 국채 상환에 쓰일 계획이었다. 샌더스 의원실에 따르면, 탄소세로 거둔 세입은 에너지 효율 및 바람, 태양열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 개발에 투자된다. 석유, 석탄, 가스업체들이 탄소세 부담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시도할 경우에 대비하여, 소비자들이 이를 상쇄할 수 있도록 환급을 제공하는 것도 계획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역시 환경공공사업위원회 소속인 데이비드 비터(공화·루이지애나) 의원은 "탄소세로 값이 올라가는 건 에너지 뿐만이 아니다. 미국내 거의 모든 시설물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며 발의안에 반대했다.[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