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추얼 스튜디오 테크놀로지![]() VST(Steinberg's Virtual Studio Technology)는 전자 음악 편집 소프트웨어 및 레코딩 시스템과 신시사이저 및 이펙트를 이어주는 플러그인 형식의 표준 규격이다. Virtual Studio Technology라는 낱말의 의미 그대로 가상 스튜디오를 구현하는 기술을 뜻하며, 덩치가 크고 값비싼 하드웨어 장비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해 전자 음악과 홈레코딩의 발달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현재 컴퓨터 음악 플러그인 중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격으로, 최초 개발사인 스테인버그(Steinberg)사가 저작권을 갖고 있다. 개요
역사스테인버그는 1996년에 VST의 인터페이스 사양과 SDK를 출시하였다. 동시에 큐베이스 3.02를 출시하였는데, 여기에는 최초의 VST 포맷 플러그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Espacial(반향), Choirus(코러스 효과), Stereo Echo, Auto-Panner.[1] 스테인버그는 1999년에 VST 인터페이스 사양을 버전 2.0으로 업데이트하였다. MIDI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플러그인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VSTi 포맷 플러그인의 도입을 지원하였다. VST 악기들은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 샘플러, 드럼 머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2] 네온(Neon)[3] 은 직접 사용이 가능한 최초의 VST 악기이다.(큐베이스 VST 3.7에 포함됨) 16개의 보이스, 2개의 오실레이터 가상 아날로그 신시사이저였다.[2] VST 인터페이스 사양은 2006년에 버전 2.4로 업데이트되었다. 64비트 정밀도로 오디오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었다.[4] VST 플러그인VST 인스트러먼트음색을 만드는 가상의 악기이다. VST 이펙트리버브 등의 소리에 다양한 효과를 주는 데 쓰인다. VST MIDI 이펙트MIDI 신호를 받아 각종 효과를 주는 데 쓰인다. VST 호스트오늘날 상용 음악에 사용되는 컴퓨터 음악 소프트웨어의 대부분이 VST 호스트로 기능한다. 대표적으로 큐베이스, 소나, 프로툴, 로직, FL 스튜디오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수많은 VST 호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모든 것이 VST 3 플러그인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위키에 있는 가상악기경쟁 기술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