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하르트 공자가 지휘하는 제2네덜란드사단(세들니츠키) 제2여단은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의 병력 중 가장 먼저 카트레브라 전투의 교차로에 도착했다. 베른하르트 공자의 여단(이후 제1여단이 합류)은 1815년 6월 15일 늦은 오후부터 6월 16일 오후 3시경까지 거의 24시간 동안 카트레브라의 교차로를 점령하여, 미셸 네 원수가 프랑스 북부군 좌익을 이끌고 웰링턴 공작과 상당한 연합군 병력이 도착하여 제2사단을 증원하고 카트레브라 전투를 벌이기 전에 교차로를 점령하는 것을 막았다. 네덜란드 제2사단의 두 여단이 성공적으로 방어 작전을 펼친 것은 워털루 전역 전체에서 연합군 여단 중 가장 중요한 작전 중 하나였다.
워털루 전투에서 베른하르트 공자는 웰링턴 공작 전선의 가장 왼쪽에 있는 파플로테, 프리셔몽, 라하이에 농장을 점령하고 있는 연합군을 지휘했다.[4] 이들은 전략적으로 중요했는데, 이 위치를 점령한 병력이 무너지면 프랑스군이 웰링턴을 측면 공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웰링턴이 프로이센군의 지원을 예상하고 실제로 그 방향에서 지원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비록 전투 중에 프랑스 제4사단이 파플로테에 일시적인 거점을 마련했지만, 결코 점령되지는 않았다.[5]
네덜란드령 동인도군 사령관
베른하르트는 1848년 12월 6일 네덜란드령 동인도군 사령관에 임명되어 1849년 4월 14일 자바에 도착했다. 도착한 지 불과 몇 주 만에 1849년 발리 원정의 사령관 안드레아스 빅토르 미힐스 장군이 카숨바에서 전사했고, 작센바이마르는 총독에게 미힐스 장군에게 주어진 규칙에 따라 원정대 지휘권을 인계받겠다고 제안했다. 1849년 겨울 그는 보병 장군으로 승진했고, 3년 후(1852년) 많은 개선을 이루고 동인도군을 재건한 후 건강상의 이유로 네덜란드로 돌아왔다. 그는 1853년 10월 5일 명예 퇴역을 했다.
베른하르트 공자는 1825년부터 1826년까지 미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그의 여행에 대한 대폭 편집된 기록인 '라이제 자이너 호하이트 데스 헤르초그 베른하르트 추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두르히 노르트-아메리카(북미를 통한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작 베른하르트 전하의 여행)'는 1828년 역사가 하인리히 루덴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영어로 번역되어 필라델피아에서 1828년에 '트래블스 스루 노스 아메리카, 듀링 더 이어스 1825 앤 1826(1825년과 1826년 동안 북미 여행)'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원고의 비평판은 2017년에 공개되었다.
워털루 이후 몇 년 동안 베른하르트는 1831년 벨기에 전역(10일 전역)에서 네덜란드 사단 사령관으로 두각을 나타냈고, 1847년부터 1850년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의 지휘를 맡았다.[3]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1851), "Von Seiner Majestät dem Könige Friedrich Wilhelm IV. ernannte Ritter" p. 21
↑M. & B. Wattel (2009).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Paris: Archives & Culture. 523쪽. ISBN978-2-35077-135-9.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858), "Großherzogliche Orden" pp. 33, 47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1862), "Herzogliche Orden" p. 8
카를-베른하르트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베른하르트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작: 1825년과 1826년 북미 여행 일기, 발터 힌데러와 알렉산더 로젠바움 편집. Stiftung für Romantikforschung LX. Königshausen und Neumann, 2017. ISBN978-382606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