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베오그라드에 관한 것입니다.
크로아티아 자다르주의 도시에 대해서는
비오그라드나모루 문서를, 미국 몬태나주 갤러틴군의 도시에 대해서는
벨그레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베오그라드 Београд Beograd
시기
휘장
국가 세르비아 지역 중앙세르비아 행정 구역 베오그라드 시 면적 359.9 km2 해발 117 m 시간대 CET (UTC+1) · 일광 절약 시간제: CEST (UTC+2) 인구 1,166,763명(2011년) 인구 밀도 3,241명/km2 광역 인구 1,687,132명 우편번호 11000 지역번호 +381(0)11 웹사이트 (세르비아어/영어/독일어/러시아어/…) 공식 웹사이트
베오그라드 (세르비아어 : Београд / Beograd 듣기 (도움말 ·정보 ) , 영어 : Belgrade 벨그레이드[* ] )는 세르비아 의 수도 이자, 발칸반도 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베오그라드는 ‘하얀 도시’라는 뜻이다. 1918년 부터 2002년 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의 수도였으며, 그 후 2005년 까지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의 수도였다. 인구 는 2011년 기준 약 116만명이다.
이 도시는 오늘날, 세르비아 가 유고 연방 이 무너졌을 때, 그대로 수도 지위를 승계하였다.
지리
베오그라드의 위성사진
베오그라드는 해발 약 116.75m인 곳, 다뉴브강 과 사바강 의 합류점에 위치한다. 지리 좌표계 상 좌표는 북위 44°49'14", 동경 20°27'44"이다. 베오그라드의 역사적 중심 지역은, 현재 칼레메그단 이라는 불리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강의 동쪽 강 기슭이다. 19세기 이래로 베오그라드는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을 해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교외 지역이었던 제문 과 합쳐짐과 동시에, 노비베오그라드 라는 지역이 사바 강 서쪽 강기슭에 건설되었다. 소규모의 다뉴브강 양 기슭에 걸쳐 주거 지역들, 크르냐차 , 오브차 등도 베오그라드에 병합되었다. 베오그라드에는 약 360km2 면적의 도시 지역이 있다. 메트로폴리탄 지역으로 따지면 3223km2 의 면적이 된다.[ 1]
인구
연도별 인구 연도 인구 1426 50,000[ 2] — 1683 100,000[ 2] +100.0% 1800 25,000[ 3] −75.0% 1850 15,000[ 3] −40.0% 1860 22,000[ 3] +46.7% 1875 27,000[ 3] +22.7% 1880 36,000[ 3] +33.3% 1890 54,000[ 3] +50.0% 1900 69,000[ 3] +27.8% 1910 89,000[ 3] +29.0% 1921 111,739 +25.5% 1931 238,775 +113.7% 1948 397,911 +66.6% 1953 477,982 +20.1% 1961 657,362 +37.5% 1971 899,094 +36.8% 1981 1,087,915 +21.0% 1991 1,133,146 +4.2% 2002 1,119,642 −1.2% 2011 1,166,763 +4.2%
기후
베오그라드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20.7 (69.3)
23.9 (75.0)
30.0 (86.0)
32.4 (90.3)
34.9 (94.8)
38.7 (101.7)
43.6 (110.5)
41.8 (107.2)
41.8 (107.2)
34.7 (94.5)
29.3 (84.7)
22.7 (72.9)
43.6 (110.5)
일평균 최고 기온 °C (°F)
5.2 (41.4)
7.8 (46.0)
13.1 (55.6)
18.9 (66.0)
23.6 (74.5)
27.1 (80.8)
29.3 (84.7)
29.7 (85.5)
24.3 (75.7)
18.7 (65.7)
12.2 (54.0)
6.1 (43.0)
18.0 (64.4)
일일 평균 기온 °C (°F)
1.9 (35.4)
3.8 (38.8)
8.3 (46.9)
13.6 (56.5)
18.2 (64.8)
21.9 (71.4)
23.8 (74.8)
23.8 (74.8)
18.5 (65.3)
13.3 (55.9)
8.1 (46.6)
3.0 (37.4)
13.2 (55.8)
일평균 최저 기온 °C (°F)
−0.7 (30.7)
0.6 (33.1)
4.2 (39.6)
8.8 (47.8)
13.2 (55.8)
16.7 (62.1)
18.4 (65.1)
18.5 (65.3)
14.1 (57.4)
9.4 (48.9)
5.1 (41.2)
0.5 (32.9)
9.1 (48.4)
역대 최저 기온 °C (°F)
−26.2 (−15.2)
−25.5 (−13.9)
−14.4 (6.1)
−6.1 (21.0)
−1.4 (29.5)
4.6 (40.3)
8.3 (46.9)
6.7 (44.1)
0.6 (33.1)
−6.9 (19.6)
−11.1 (12.0)
−19.3 (−2.7)
−26.2 (−15.2)
평균 강수량 mm (인치)
47.9 (1.89)
43.5 (1.71)
48.7 (1.92)
51.5 (2.03)
72.3 (2.85)
95.6 (3.76)
66.5 (2.62)
55.1 (2.17)
58.6 (2.31)
54.8 (2.16)
49.6 (1.95)
54.8 (2.16)
698.9 (27.52)
평균 강수일수 (≥ 0.1 mm)
13.5
12.3
11.3
12.4
13.5
12.2
10.0
8.4
9.5
10.5
10.8
13.8
138.2
평균 강설일수
9.7
7.3
4.2
0.7
0.0
0.0
0.0
0.0
0.0
0.1
3.0
7.8
32.8
평균 상대 습도 (%)
77.9
71.4
62.7
59.9
61.9
62.5
59.8
59.5
65.8
71.4
75.1
79.5
67.3
평균 월간 일조시간
70.7
96.2
146.7
186.7
224.7
253.9
278.8
262.6
192.6
155.0
92.1
60.3
2,020.3
출처: 세르비아 수문기상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20년~현재)[ 4]
역사
기원전 279년 에 켈트족 이 이 도시를 세웠다. 나중에 로마인 이 이 도시를 싱기두눔(Singidinum )으로 불렀다. 훈족 , 사르마티아인 , 아바르족 들이 한동안 이 도시를 놓고 쟁탈전을 벌였다.
520년 에는 남슬라브족 이 베오그라드에 정착했고 630년 에는 세르비아인이 이 도시로 이주했다. 878년 베오그라드는 "벨리그라드"(Beligrad, 하얀 성을 의미함)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중세 시대에는 400년 동안 비잔티움 제국 , 프랑크 왕국 , 불가리아 , 헝가리 의 지배를 받았으며 나중에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1371년 에 일어난 마리차 전투 , 1389년 에 일어난 코소보 전투 에서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를 연달아 격파하면서 세르비아 남부로 세력을 확장했다.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베오그라드 인근에 요새를 건립했다. 1440년 , 1456년 에는 오스만 제국이 베오그라드를 포위하면서 공격했지만 세르비아-헝가리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만다.
1521년 에는 오스만 제국 에 정복되면서 스메데레보 (Smederevo) 산자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이 세르비아의 지배권을 놓고 전쟁을 벌이면서 베오그라드의 거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베오그라드는 전략적 거점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역사상 115차례의 전투와 44차례의 파괴가 벌어졌다.
1841년 베오그라드는 세르비아의 수도가 되었지만 베오그라드 북부는 한동안 합스부르크 왕가 의 지배를 받았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의 종전과 함께 베오그라드는 통일된 도시가 되었다.
1941년 3월에는 나치 독일 , 이탈리아 왕국 등 추축국 진영이 유고슬라비아를 침공 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폭격이 전개되었다. 1944년 10월에는 소련 의 지원을 받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이 베오그라드 공세 를 통해 독일 국방군 을 축출했다. 코소보 전쟁 이 진행 중이던 1999년 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의 공습을 받았다.
교통
베오그라드의 대중 교통은 버스 , 노면전차 , 트롤리버스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내에서 서쪽으로 약 12km 떨어진 곳에 베오그라드 니콜라 테슬라 공항 이 있다.
관광
행정 구역
베오그라드는 17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스포츠
세계적인 명문 축구 클럽 츠르베나 즈베즈다 와 FK 파르티잔 이 베오그라드를 연고로 하고 있다.
자매 도시
각주
외부 링크
특별시 중앙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코소보 메토히야 1 1 코소보 는 2008년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세르비아는 코소보를 주권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자국의 영토로 간주한다. 코소보는 102개 유엔 회원국으로부터 주권 국가로 승인받은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