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과 대수기하학에서 베유 추측(영어: Weil conjectures)은 유한체 위에 정의된 대수다양체의 점의 수에 대한 네 개의 정리들이다.
정의
유한체
위의 스킴
가 매끄러운 사영 대수다양체이라고 하자.
의 국소 제타 함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은
의 닫힌 점의 수이다.
베유 추측에 따르면, 다음 네 명제들이 성립한다.[1]:450–451
- (유리성)
는
에 대한 유리 함수이며,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

![{\displaystyle P_{i}(T)\in \mathbb {Z} [T]\qquad \forall i\in \{0,1,\dots ,2n\}}](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ced90cd920f49f00572d9127923b6bf163c468f)



- (함수 방정식) 어떤 정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리만 가설) 모든
및 모든
에 대하여, 
- (베티 수) 어떤 대수적 수체
의 대수적 정수환
의 소 아이디얼
가
를 만족시키며, 어떤 스킴 사상
에 대하여,
가
와
-스킴으로서 동형이라고 하자. 이 경우,
이다. 여기서
는 복소수체 위의 대수다양체
의 특이 코호몰로지에 대한 베티 수이다. 또한,
는 복소수체 위의 대수다양체의 특이 코호몰로지에 대한 오일러 지표이다.
역사
앙드레 베유가 1949년에 추측하였다. 유리성 추측은 1960년에 버나드 모리스 드워크(영어: Bernard Morris Dwork)가 증명하였고, 함수 방정식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1965년에 증명하였고, 리만 가설은 피에르 들리뉴가 1974년에 증명하였다. 이 공로로 들리뉴는 필즈상을 수상하였다.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