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과 미분기하학에서, 보편 가역층(普遍可逆層, 영어: universal invertible sheaf, tautological invertible sheaf) 또는 보편 선다발(普遍線다발, 영어: universal line bundle, tautological line bundle)은 사영 공간 위에 정의되는 표준적인 가역층(선다발)이며, 보통
로 표기된다. 대략, 사영 공간은 벡터 공간의 원점을 지나는 1차원 부분 벡터 공간들의 모듈라이 공간이므로, 보편 가역층은 사영 공간의 각 점에, 이 점이 나타내는 1차원 부분 벡터 공간을 대응시키는 선다발이다.
정의
체
위의 유한 생성 자유 가환 결합 대수
![{\displaystyle A=K[x_{0},x_{1},\dots ,x_{n}]}](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b196cad7841046c34e7faf9a8caa44e29326d80)
를 생각하자.
차원 사영 공간은 그 사영 스펙트럼이다.

이제, 구조층

위의 대수층
![{\displaystyle {\mathcal {A}}={\mathcal {O}}_{\mathbb {P} _{K}^{n}}[y_{0},\dotsc ,y_{n}]}](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70ac4106969c8da78ee8becc63beda35d6ec540)
의 상대 스펙트럼

을 취하자. 기하학적으로, 이는
차원 사영 공간 위의 자명한
차원 벡터 다발에 해당한다.
이제, 대수층의 다음과 같은 아이디얼 층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몫 대수층

는 가역층을 이룬다. 이를
의 보편 가역층이라고 한다. 기하학적으로, 그 닫힌점들의 집합은
![{\displaystyle \{([x_{0}:x_{1}:\dotsb :x_{n}],y_{0},y_{1},\dotsc ,y_{n})\in \mathbb {P} _{K}^{n}\times _{K}\mathbb {A} _{K}^{n+1}\colon [x_{0}:\dotsb :x_{n}]=[y_{0}:\dotsb :y_{n}]\}\cup \mathbb {P} _{K}^{n}\times \{(0,0,\dotsc ,0)\}}](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474269f1059b57552e8ae475bf48cbe205ed169)
이다. 여기서
은 아핀 공간의 데카르트 좌표이며,
는 사영 공간의 동차 좌표이다.
성질
보편 가역층
은 세르 뒤틀림층(영어: Serre’s twisting sheaf)
의 (텐서곱에 대한) 역원이다.
베유 인자
체
위의 사영 공간
을 생각하자. 이 경우, 가환환의 몫 사상
![{\displaystyle K[x_{0},x_{1},\dotsc ,x_{n}]\,{\stackrel {x_{0}\mapsto 0}{\twoheadrightarrow }}\,K[x_{1},\dotsc ,x_{n}]}](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b793ae222690e79b75091a52867b77cd00a5508)
으로 정의되는, 사영 공간 사이의 사상

을 생각하자. 이는 여차원 1의 닫힌 부분 스킴이므로,
의 베유 인자를 이룬다. 이를 초평면 인자(영어: hyperplane divisor)라고 하고,
로 표기하자.
(
대신 다른 좌표를 사용하거나
을 0 대신 다른 값으로 대응시키더라도, 이와 같은 동치류에 속하는 베유 인자를 얻는다.)
그렇다면, 보편 가역층은 인자류
![{\displaystyle -[H]\in \operatorname {DivCl} (\mathbb {P} _{K}^{n})}](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39341b34833dd9379b7de26606d27868acbcbd1)
에 대응한다. (즉, 효과적 인자류
는 세르 뒤틀림층에 대응한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