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행하기 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및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전동차와 같이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반으로 한다. 현재 총 4량 20개 편성(80량)이 운행하고 있다. 구분1차 도입분 (301~320편성)2005년 11월 28일 월요일 1차 개통(수영~대저)에 대비하여 도입됐다. 현대로템 공장에서 제작되어 트레일러로 대저차량기지까지 운반됐다. 기술 사양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IGBT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전동차와 동일한 IGBT를 사용한 차량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 121, 125, 130~131, 133~134, 139, 142, 145~151편성,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중 201~205, 215~231, 257~272편성,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중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 126~134편성,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등이다. 배속
편성4량 20개 편성으로 운행한다. 3호선 승강장은 추후 6량 1편성으로 증결 운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Tc칸에는 ATP-ATO 방송장치,운전 제어객대 등이 있다.
현재 운행구간
현황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특이사항측면행선기 작동 중단2005년 개통당시부터 전역사 스크린도어 설치가 되었으나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가 점등이 되었다. 현재는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를 제거후 부산교통공사로고를 부착 완료후 운행하고 있다. 사진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