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방국세청 (釜山地方國稅廳, Busan Regional Tax Office )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의 내국세 부과·감면 및 징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국세청 의 소속기관이다. 1966년 2월 28일 발족하였으며,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제로 12에 위치하고 있다. 청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1]
연혁
국세청 개청이전
1950년 4월 1일: 재무부 소속으로 부산사세청 설치. 소속기관으로 대구·달성·경주·포항·안동·의성·왜관·김천·상주·내성·부산·북부산·마산·울산·하동·거창·통영·합천·진주·김해·밀양세무서, 울릉도지서 설치.[ 2]
1951년 4월 15일: 대구세무서를 대구서부·대구동부세무서로 분리. 부산·북부산세무서를 부산·영도·부산진·동래세무서로 개편.[ 3]
1952년 2월 1일: 영도세무서를 폐지하고 남부산세무서를 설치.[ 4]
1953년 11월 1일: 중부산세무서 설치.[ 5]
1954년 7월 10일: 창원세무서 설치.[ 6]
1958년 2월 1일: 대구서부·대구동부·달성세무서를 대구동부·대구중부·대구서부세무서로 개편.[ 7]
1962년 1월 1일: 내성·통영세무서를 영주·충무세무서로 개편. 의성·왜관·하동·합천·김해세무서 폐지.[ 8]
1963년 1월 29일: 서울사세청으로부터 울진지서를 이관받아 영주세무서 소속으로 편입.[ 9]
1965년 5월 17일: 의성·삼천포·하동세무서 설치.[ 10]
국세청 개청이후
1966년 2월 28일: 국세청 소속 부산지방국세청으로 개편. 울릉도지서를 울릉지서로 개편.[ 11]
1967년 7월 18일: 대구동부·대구중부·대구서부세무서를 대구중부·대구동부·대구서부·대구북부세무서로 개편. 동부산세무서 설치.[ 12]
1968년 5월 1일: 대구중부·대구동부·대구서부·대구북부·경주·포항·안동·의성·김천·상주·영주세무서, 울진·울릉지서를 이관하여 대구지방국세청 을 분리.[ 13]
1970년 11월: 부산시 수정동으로 청사 이전.
1972년 2월 9일: 광주지방국세청으로부터 제주세무서를 이관받음.[ 14]
1975년 1월 1일: 삼천포세무서를 진주세무서 소속 삼천포지서로, 창원세무서를 동마산세무서로 개편.[ 15]
1979년 3월 23일: 부산·남부산세무서를 영도·서부산세무서로 개편. 남부산·해운대·삼천포세무서 설치.[ 16]
1989년 4월: 부산시 연산동으로 청사 이전.
1990년 4월 11일: 충무세무서 소속으로 거제지서 설치. 동울산세무서 설치.[ 17]
1991년 2월 1일 : 동마산세무서를 창원세무서로 개편.[ 18]
1992년 2월 1일: 금정세무서 설치.[ 19]
1994년 8월 10일: 가락세무서 설치.[ 20]
1995년 2월 24일: 충무세무서를 통영세무서로 개편.[ 21]
1995년 7월 13일 : 삼천포세무서를 사천세무서로 개편.[ 22]
1999년 9월 1일: 수영·가야세무서 설치. 제주세무서 소속으로 서귀포지서를 설치하고 중부산·동부산·남부산·가락·해운대·동울산세무서 폐지. 영도세무서를 중부산세무서로 개편. 밀양·하동·사천세무서를 각각 가야세무서 소속 밀양지서·진주세무서 소속 하동지서·진주세무서 소속 사천지서로 개편.[ 23]
2000년 1월 1일: 가야세무서를 김해세무서로 개편.[ 24]
2000년 6월 19일: 서귀포지서 폐지.[ 25]
2004년 4월 1일 : 동울산세무서 설치[ 26] .
2010년 5월: 현 청사로 이전.
2012년 4월 3일: 금정세무서 소속으로 양산지서 설치.[ 27]
2017년 2월 28일 : 해운대세무서 설치. 제주세무서 소속으로 서귀포지서 설치.[ 28]
2018년 4월 3일: 양산지서를 양산세무서로 승격.[ 29]
관할구역
조직
청장
성실납세지원국[ 33]
징세송무국[ 33]
조사제1국[ 33]
조사제2국[ 33]
소속기관
세무서
세무서장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명칭
등급
소재
관할구역
중부산세무서
1
부산광역시 중구 흑교로 64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구
서부산세무서
1
부산광역시 서구 대영로 10
부산광역시 서구, 사하구
부산진세무서
1
부산광역시 동구 진성로 23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진구
수영세무서
1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로19번길 28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해운대세무서
1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달맞이길62번길 38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북부산세무서
1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263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구, 강서구
동래세무서
1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269번길 16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제구
금정세무서
1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636
부산광역시 금정구, 기장군
울산세무서
1
울산광역시 남구 갈밭로 49
울산광역시 남구, 울주군 온산읍·온양읍·청량면·웅촌면·서생면
동울산세무서
1
울산광역시 북구 사청2길 7
울산광역시 중구, 동구, 북구, 울주군[ 36]
마산세무서
2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11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창원세무서
1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209번길 16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성산구·진해구
김해세무서
1
경상남도 김해시 호계로 440
경상남도 김해시, 밀양시
양산세무서
1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청운로 349
경상남도 양산시
거창세무서
2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동2길 14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합천군
통영세무서
1
경상남도 통영시 무전5길 20-9
경상남도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진주세무서
1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908번길 15
경상남도 진주시, 사천시, 산청군, 남해군, 하동군
제주세무서
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 59
제주특별자치도
지서
지서장은 행정사무관 또는 세무주사로 보한다. 다만, 양산지서장·거제지서장은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27조제3항에 따라 이체하여 운영하는 서기관 또는 행정사무관으로 보할 수 있다.
세무서명
명칭
소재
관할구역
김해세무서
밀양지서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 1892
경상남도 밀양시
통영세무서
거제지서
경상남도 거제시 계룡로11길 9
경상남도 거제시
진주세무서
하동지서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하동공원길 8
경상남도 하동군, 남해군
진주세무서
사천지서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용현2길 27-20
경상남도 사천시
제주세무서
서귀포지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월드컵로 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각주
↑ 국세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0조제1항
↑ 대통령령 제320호
↑ 대통령령 제475호
↑ 대통령령 제604호
↑ 대통령령 제827호
↑ 대통령령 제919호
↑ 대통령령 제1337호
↑ 각령 제346호
↑ 각령 제1167호
↑ 대통령령 제2135호
↑ 대통령령 제2421호
↑ 대통령령 제3154호
↑ 대통령령 제3441호
↑ 대통령령 제5960호
↑ 대통령령 제7452호
↑ 대통령령 제9387호
↑ 대통령령 제12978호
↑ 대통령령 제13277호
↑ 대통령령 제13512호
↑ 대통령령 제14358호
↑ 대통령령 제14532호
↑ 대통령령 제14729호
↑ 대통령령 제16331호 및 재정경제부령 제89호
↑ 대통령령 제16641호 및 재정경제부령 제117호
↑ 기획재정부령 제150호
↑ 대통령령 제18256호 및 재정경제부령 제349호
↑ 기획재정부령 제276호
↑ 대통령령 제27892호 및 기획재정부령 제591호
↑ 대통령령 제28753호 및 기획재정부령 제675호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서기관으로 보한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서기관 또는 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가 나 다 라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가 나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 또는 전산사무관으로 보한다.
↑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온산읍·온양읍·청량면·웅촌면·서생면은 울산세무서 관할이다.
외부 링크
본청 소속
소관기관
소속기관 중 국세상담센터 는 책임운영기관 이다.[1]
서울지방국세청, 중부지방국세청, 부산지방국세청은 1급 지방국세청[2] 이며, 대전지방국세청, 대구지방국세청, 광주지방국세청은 2급 지방국세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