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영어: Northwest Sumatra–Barrier Islands languages)은 북수마트라 내륙의 바탁족, 수마트라섬 서해안의 평행사도(시메울루에섬, 니아스섬, 믄타와이 제도)에 살고 있는 니아스족과 믄타와이족 및 그와 가까운 민족들의 언어들로 이루어진 어군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분류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속한다.
이 분류군을 처음 제안한 것은 Lafeber (1922)로, “바탁·니아스어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2] Nothofer (1986)는 이 분류를 뒷받침하는 음운론적·어휘적 증거를 제시하며 “평행사도·바탁어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3]
엥가노어는 매우 이질적인 언어로서 그 분류는 논란의 대상이다. Lafeber (1922)와 Nothofer (1986) 모두 엥가노어가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2][3] Edwards (2015)는 이를 부정하며 엥가노어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했다.[4] 한편, Smith (2017)의 최근 연구는 그가 잠정적으로 “수마트라어군”이라 이름붙인 분기군에 엥가노어를 포함시키는 것을 지지하는데, 여기에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뿐만 아니라 수마트라 남서부의 븡쿨루에서 쓰이는 나살어까지 포함된다.[5]
어휘
Edwards (2015:78)는 다음과 같이 평행사도 언어들의 신체부위 어휘 비교표를 제시한다. Edwards (2015:89)는 엥가노어를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의 일부로 보지 않는다.[4]
뜻 |
PMP |
엥가노어 |
믄타와이어 |
니아스어 |
시쿨레어 |
시메울루에어
|
머리 |
*qulu |
e-(ʔ)udu |
uteʔ |
həɡə |
tuhu |
ulu
|
머리카락 |
*buhek |
e-pududui |
alai |
bu |
bu |
buʔ
|
얼굴 |
*daqih |
e-baka |
mata |
bava |
muko |
bobaŋon
|
눈 |
*mata |
e-baka |
mata |
hərə |
mata |
mata
|
코 |
*ijuŋ |
ẽ-pãnũ |
asak |
ixu |
nixu |
ixuŋ
|
입 |
*baqbaq |
e-kaʔa |
ŋaŋa |
bava |
bafa |
ba(ʔ)ba
|
입술 |
*biRbiR |
e-ukudipo |
bibo |
beve |
befe |
befil
|
혀 |
*dilaq |
e-dio† |
lila, ʤala |
lela |
l/nela |
dila
|
이 |
*nipen |
e-kaʔa |
ʧon |
ifɨ |
ifɨ |
ehen
|
귀 |
*taliŋa |
e-kadiha |
taliŋa |
taliŋa |
ɡuɡuyu |
(k)oeuʔ
|
목 |
*liqeR |
ẽ-ũʔũ |
lolokat |
baɡi |
ʔoɡu |
leŋɡəl
|
손 |
*kamay/*lima |
e-ʔapo |
kabei |
bələxa,taŋa |
taŋa |
kaoʔ,siʔu
|
손톱 |
*kanuhkuh |
ẽ-kanũʔũnũ |
sulet |
siʔa |
tena |
tenab˺
|
가슴 |
*titi(q)/*susu |
e-koko |
tottot |
susu |
totoʔ |
totuʔ
|
배 |
*tian |
e-kitai |
baɣa |
talu |
amatan |
besil
|
다리 |
*qaqay |
e-ae |
dere |
ahe |
ae |
haɨ
|
무릎 |
*tuhud |
ẽ-pũʔũ u-ae |
bókolo |
tuhi |
bohun |
boxul
|
털 |
*bulu |
e-pududui |
bulu |
bu |
bu |
buʔ
|
살갗 |
*kulit |
e-ʔudi |
kulit |
uli |
bebi |
bebiʔ
|
살/고기 |
*hesi |
e-heda |
akkelak |
naɡole |
ö(h)i |
isi
|
지방 |
*miñak/*himaR |
ẽ-mĩnãʔ㇠|
lainak |
tavə |
tafɨ |
tafɨ
|
뼈 |
*tuqelaŋ |
e-ʔaa |
tolat |
təla |
tɨ/öla |
sod˺
|
심장 |
*pusuq |
e-báhau, ẽ-kẽmã |
teinuŋ |
tədə |
ɨlaxa, oho |
ate
|
피 |
*daRaq |
e-kiaki |
loɣau |
do |
do |
dala
|
간 |
*qatay |
ẽ-nĩũnĩũ |
atei |
ate |
|
bala
|
오줌 |
*iheq |
ẽ-ĩkõ |
kia |
iə |
xiɨ |
k/xiɨ
|
똥 |
*taqi |
e-kai |
tanai |
tai |
tai |
tai
|
각주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Northwest Sumatra–Barrier Islands〉.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가 나 Lafeber, Abraham (1922). 《Vergelijkende klankleer van het Niasisch》. s'-Gravenhage: Hadi Poestaka.
- ↑ 가 나 Nothofer, Bernd (1986). "The Barrier Island Languages 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In Geraghty, P., Carrington, L. and Wurm, S.A. (eds.) Focal II: Papers From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pp. 87–109. Pacific Linguistics, Series C, No. 94, Canberra,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 가 나 Edwards, Owen (2015). "The Position of Enggano within Austronesian". Oceanic Linguistics 54(1): 54-109
- ↑ Smith, Alexander D. (2017).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Oceanic Linguistics 56(2): 435-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