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나무타기쥐 또는 베르네나무타기쥐(Vernaya fulva)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붉은나무타기쥐를 처음 발견한 탐험대를 후원한 탐험가이자 골동품상 베르네(Arthur Vernay)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붉은나무타기쥐속(Vernaya)의 현존하는 유일종이고 아종은 없다.
특징
붉은나무타기쥐는 소수의 표본만이 과학자들에게 기록되어 왔다. 표본은 비교적 작고,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58~75mm이다. 털은 부드럽고, 솜털처럼 덮여 있으며 등 중앙을 따라서 갈색빛 오렌지색을 시작으로 옆구리와 목, 어깨 그리고 얼굴 양 쪽까지 선명한 오렌지색까지 섞여 있다. 하체는 연한 담황색을 띠는 반면에 귀는 갈색이다. 꼬리는 몸보다 아주 길어서 12~13cm에 달하고 진한 갈색을 띠고, 털이 거의 없고 끝은 털이 보이지 않는다. 발 윗면은 오렌지색 털이 덮여 있고, 아랫면은 연한 색을 띤다. 모든 발가락은 날카로운 발톱을 갖고 있지만, 앞발의 첫 번째 발가락은 대신에 편평하고 부드러운 발톱을 나 있다.[3] 포획된 표본이 발견된 위치로 판단해 볼 때, 붉은나무타기쥐는 키가 작은 관목과 고사리와 같은 울창한 식물 속에서 서식한다.[3]
분포
붉은나무타기쥐는 중국 남부의 윈난성과 간쑤성, 쓰촨성, 산시성 그리고 미얀마 북부에서 발견된다. 해발 2100~2700m의 산악 지대에서 서식한다. 붉은나무타기쥐속(Vernaya)의 멸종된 4종이 알려져 있으며, 모두 중국 남부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 붉은나무타기쥐의 화석과 함께 발견된다.[3]
계통 분류
다음은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4]과 2016년 로우 등(Rowe et al.)[5]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 가나다Lunde, D.P. (2007). “Vernaya fulva”. 《Mammalian Species》: Number 806: pp. 1–3. doi:10.1644/806.1.
↑Emilie Lecompte, Ken Aplin, Christiane Denys, François Catzeflis, Marion Chades, Pascale Chevret: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In: BMC Evolutionary Biology. Bd. 8, 199, 2008, S. 1–21, doi:10.1186/1471-2148-8-199.
↑ 가나Kevin C. Rowe, Anang S. Achmadi and Jacob A. Esselstyn. 2016.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Journal of Mammalogy. DOI: 10.1093/JMammal/gyw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