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경제 |
---|
 | 순위 | 12위 (명목, 2020년) 8위 (PPP, 2020년) |
---|
통화 | 브라질 헤알 (BRL, R$) |
---|
회계 년도 | 역년 |
---|
무역 기구 | WTO, BRICS, 메르코수르, G-20, 기타 등등 |
---|
|
GDP | $1.363조 (명목, 2020년 추정치.) $3.078조 (PPP, 2020년) |
---|
1인당 GDP | $6,450 (명목, 2020년 추정치.) $14,563 (PPP, 2020년 추정치.) |
---|
산업별 GDP | 1차 산업: 5.5% 2차 산업: 18.5% 3차 산업: 76% (2016년 추정치.) |
---|
| 3.6% (2020년 추정치.) 3.75% (2018년) |
---|
| 53.9 (2018년) |
---|
노동인구 | 106,328,664 명 (2019년) |
---|
| 124위 (2020년) |
---|
|
수출 | $217.7백만 (2017년) |
---|
주요 수출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21.8%
유럽 연합(+) 16%
미국(+) 12.3%
아르헨티나(+) 8%
일본(+) 2.4% 기타 39% |
---|
수입 | $150.72백만 (2017년) |
---|
주요 수입국가 | 유럽 연합(+) 21.2%
중화인민공화국(-) 18.1%
미국(+) 16.5%
아르헨티나(+) 6.2%
대한민국(+) 3.4% 기타 35% |
---|
| −$9.762백만 (2017년 추정치.) |
---|
| $684.6백만 (2018년 1월) |
---|
|
| GDP의 84% (2017년 추정치.) |
---|
| (GDP의) −1.1% (2017년 추정치.) |
---|
외환보유고 | $373.9백만 (2017년 추정치.) |
---|
주요 내용 출처: CIA World Fact Book (모든 값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미국 달러) |
브라질은 개발도상혼합경제로서[1] 2019년 명목 GDP 기준 전 세계 9위, 구매력 평가 기준 8위이다.
자료
다음의 표는 1980~2018년 주요 경제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58% 이하의 인플레이션은 녹색이다.[2][3]
연도
|
GDP (단위: 10억 US$ PPP)
|
1인당 GDP (단위: US$ PPP)
|
GDP 성장 (실질)
|
인플레이션율 (단위: %)
|
실업 (단위: %)
|
정부 부채 (단위: GDP 중 %)
|
1980
|
567.7
|
4,787
|
9.2 %
|
90.2 %
|
n/a
|
n/a
|
1981
|
593.4
|
4,895
|
−4.4 %
|
101.7 %
|
n/a
|
n/a
|
1982
|
633.9
|
5,117
|
0.6 %
|
100.6 %
|
n/a
|
n/a
|
1983
|
636.5
|
5,029
|
−3.4 %
|
135.0 %
|
n/a
|
n/a
|
1984
|
694.1
|
5,369
|
5.3 %
|
192.1 %
|
n/a
|
n/a
|
1985
|
772.9
|
5,856
|
7.9 %
|
226.0 %
|
n/a
|
n/a
|
1986
|
847.0
|
6,298
|
7.5 %
|
147.1 %
|
n/a
|
n/a
|
1987
|
900.9
|
6,563
|
3.6 %
|
228.3 %
|
n/a
|
n/a
|
1988
|
934.9
|
6,686
|
0.3 %
|
629.1 %
|
n/a
|
n/a
|
1989
|
1,002.4
|
7,044
|
3.2 %
|
1,430.7 %
|
n/a
|
n/a
|
1990
|
996.1
|
6,795
|
−4.2 %
|
2,947.7 %
|
n/a
|
n/a
|
1991
|
1,039.9
|
6,975
|
1.0 %
|
432.8 %
|
10.1 %
|
n/a
|
1992
|
1,057.7
|
6,979
|
−0.6 %
|
952.0 %
|
11.6 %
|
n/a
|
1993
|
1,136.0
|
7,377
|
4.9 %
|
1,927.4 %
|
11.0 %
|
n/a
|
1994
|
1,288.0
|
7,850
|
5.8 %
|
2,075.8 %
|
10.5 %
|
n/a
|
1995
|
1,306.6
|
8,224
|
4.2 %
|
66.0 %
|
9.9 %
|
n/a
|
1996
|
1,359.9
|
8,304
|
2.2 %
|
15.8 %
|
11.2 %
|
n/a
|
1997
|
1,430.2
|
8,605
|
3.4 %
|
6.9 %
|
11.6 %
|
n/a
|
1998
|
1,450.6
|
8,604
|
0.3 %
|
3.2 %
|
14.7 %
|
n/a
|
1999
|
1,479.7
|
8,651
|
0.5 %
|
4.9 %
|
14.7 %
|
n/a
|
2000
|
1,579.8
|
9,108
|
4.4 %
|
7.0 %
|
13.9 %
|
65.6 %
|
2001
|
1,638.1
|
9,313
|
1.4 %
|
6.8 %
|
12.5 %
|
70.1 %
|
2002
|
1,714.0
|
9,614
|
3.1 %
|
8.5 %
|
13.0 %
|
78.9 %
|
2003
|
1,768.2
|
9,789
|
1.1 %
|
14.7 %
|
13.7 %
|
73.9 %
|
2004
|
1,921.5
|
10,505
|
5.8 %
|
6.6 %
|
12.9 %
|
70.2 %
|
2005
|
2,046.7
|
11,055
|
3.2 %
|
6.9 %
|
11.4 %
|
68.7 %
|
2006
|
2,193.0
|
11,707
|
4.0 %
|
4.2 %
|
11.5 %
|
65.9 %
|
2007
|
2,387.8
|
12,605
|
6.1 %
|
3.6 %
|
10.9 %
|
63.8 %
|
2008
|
2,558.7
|
13,360
|
5.1 %
|
5.7 %
|
9.4 %
|
61.9 %
|
2009
|
2,574.8
|
13,304
|
−0.1 %
|
4.9 %
|
9.7 %
|
65.0 %
|
2010
|
2,802.8
|
14,338
|
7.5 %
|
5.0 %
|
8.5 %
|
63.1 %
|
2011
|
2,974.8
|
15,070
|
4.0 %
|
6.6 %
|
7.8 %
|
61.2 %
|
2012
|
3,088.1
|
15,499
|
1.9 %
|
5.4 %
|
7.4 %
|
62.2 %
|
2013
|
3,232.4
|
16,079
|
3.0 %
|
6.2 %
|
7.2 %
|
60.2 %
|
2014
|
3,307.2
|
16,309
|
0.5 %
|
6.3 %
|
6.8 %
|
62.3 %
|
2015
|
3,224.3
|
15,769
|
−3.6 %
|
9.0 %
|
8.3 %
|
72.6 %
|
2016
|
3,152.2
|
15,295
|
−3.5 %
|
8.7 %
|
11.3 %
|
78.4 %
|
2017
|
3,250.1
|
15,715
|
1.1 %
|
3.4 %
|
12.8 %
|
84.1 %
|
2018
|
3,366.4
|
16,146
|
1.1 %
|
3.7 %
|
12.2 %
|
87.9 %
|
농업
브라질의 농업은 근년에 와서 공업생산보다는 뒤져 있으나, 여전히 브라질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노동인구의 약 43%가 농업에 종사하나,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농축산물의 수출이 외화 수입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수출을 위한 농산물 중 특기할 만한 것은 커피로서, 커피의 연생산량은 약 30만t으로 세계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양자가 모두 세계 제1위이다. 이 밖의 산물로는 쌀·옥수수·콩·오렌지·카사바·토마토·담배·설탕·낙화생·솜 등이 있다. 또 세계 유수의 축산왕국으로, 농지의 대부분은 목장이다. 목축업은 남부의 여러 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아르헨티나를 능가할 만큼 중요한 산업이다.
공업
한편, 1930년대부터 공업화가 추진되었는데, 특히 제2차세계대전 후에 급격히 진전하였다. 그 중에서도 제조공업의 발전이 현저한데, 제철·자동차·농업기계를 중심으로 섬유·제지·화학공업 등이 왕성하며, 미국·독일 등의 기업도 진출하고 있다. 상파울루 근교는 최대의 공업지대이다. 또 브라질은 지하자원도 풍부하여, 철광석·망간·보크사이트·주석 등의 매장량이 풍부하며, 석유는 8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커피·철·광석·콩이고, 주요 수입품은 기계·차량·연료·석유·금속제품·화학제품·곡류이다. 주요 수출 상대국은 미국·독일·네덜란드·러시아·아르헨티나·에스파냐의 순이며, 수입 상대국은 미국·독일·사우디아라비아·아르헨티나 등이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