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십자가상: 이스탄불 하기 아이린 교회에서 성상파괴운동의 모습비잔틴 Iconoclasm, Chludov 시편,9 세기.[1]
비잔틴 성상파괴운동(Byzantine Iconoclasm; Εἰκονομαχία, Eikonomachía, 문자적의미로, "형상투쟁" or "형상에 대한 투쟁")은 동로마 제국의 역사에서 동방 정교회의 종교 지도자들에 의해서 그리고 세속 제국의 권력자들에 의해서 종교적 모양이나 형상의 사용이 반대를 받은 것을 말한다. 첫 번째 성상파괴운동은 레온 3세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두 번째 성상파괴운동은 814년에서 842년까지 있었다. 황제가 교회의 수장인 황제교황주의체제[2]로 발전한 비잔틴제국에서는 황제와 교회가 대립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황제는 성직자를 견제하고 교회에 대한 간섭의 기회로 삼기 위해 성상사용을 금지하는 이른바 성상파괴(Iconoclast)운동을 일으켰다.[3] 성상파괴라는 말인 Iconoclasm은 그리스어 εἰκονοκλάστης에서 왔는데, εἰκονο- icono- [형상] + κλάστης - [파괴자]를 의미한다.
19세기 이탈리아 그림, 성상파괴운성상에 대한 논쟁성상옹호자인 사데스의 유티미우스 감독이 비잔틴 황제 마이클 2세(824년)에게 고문과 순교를 당하는 모습천사의 후원으로 형상을 가진 콘스탄틴노플의 교수 게마노스 1 세제 7차 니케아 공의회 의 형상 비잔틴 황제 테오도르 통치하에 우상파괴운동에 대한 정통주의 승리를 보여주는 그림, 843. (National Icon Collection 18, British Museum).우상파괴운동주의자 콘스탄티노스 5세 때 교회의 파괴된 모습의 그림
Beckwith, John, Early Christian and Byzantine Art, Penguin History of Art (now Yale), 2nd edn. 1979, ISBN0140560335
Brubaker, L. and Haldon, J. (2001), Byzantium in the Iconoclast Era, c. 680-850: the Sources Birmingham
Cormack, Robin, Writing in Gold, Byzantine Society and its Icons, 1985, George Philip, London, ISBN054001085-5
Kitzinger, Ernst (1977), Byzantine art in the making: main lines of stylistic development in Mediterranean art, 3rd-7th century, Faber & Faber, ISBN0571111548 (US: Cambridge UP, 1977)
Mango, Cyril (1977), "Historical Introduction," in Bryer & Herrin, eds., Iconoclasm, Centre for Byzantine Studies, University of Birmingham, ISBN0704402262
Mango, Cyril (2002), The Oxford History of Byzantium
Noble, Thomas F. X., Images, Iconoclasm, and the Carolingians, 2011,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0812202961, 9780812202960, google books
Pratsch, T., Theodoros Studites (759–826): zwischen Dogma und Pragma (Frankfurt am Main, 1997)
추가 자료
Leslie Brubaker, Inventing Byzantine Iconoclasm, Bristol Classical Press, London 2012.
A. Cameron, "The Language of Images: the Rise of Icons and Christian Representation" in D. Wood (ed) The Church and the Arts (Studies in Church History, 28) Oxford: Blackwell, 1992, pp. 1–42.
A. Karahan, "Byzantine Iconoclasm: Ideology and Quest for Power". In: Eds. K. Kolrud and M. Prusac, Iconoclasm from Antiquity to Modernity, Ashgate Publishing Ltd: Farnham Surrey, 2014, 75-94. ISBN978-1-4094-7033-5.
R. Schick, The Christian Communities of Palestine from Byzantine to Islamic Rule: 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tudy (Studies in Late Antiquity and Early Islam 2) Princeton, NJ: Darwin Press, 1995, pp. 180–219.
P. Brown, "A Dark-Age Crisis: Aspects of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English Historical Review 88/346 (1973): 1–33.
F. Ivanovic, Symbol and Icon: Dionysius the Areopagite and the Iconoclastic Crisis, Eugene: Pickwick, 2010.
E. Kitzinger, "The Cult of Images in the Age of Iconoclasm," Dumbarton Oaks Papers 8 (1954): 83–150.
Yuliyan Velikov, Image of the Invisible. Image Veneration and Iconoclasm in the Eighth Century. Veliko Turnovo University Press, Veliko Turnovo 2011. ISBN978-954-524-779-8 (in Bulgarian).
Thomas Bremer, "Verehrt wird Er in seinem Bilde..." Quellenbuch zur Geschichte der Ikonentheologie. SOPHIA - Quellen östlicher Theologie 37. Paulinus: Trier 2015, ISBN978-3-7902-1461-1 (in Ger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