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토기![]() ![]() 빗살무늬토기 또는 즐문토기(Comb Ceramic)[1]은 빗 모양의 도구에서 기하학적 패턴을 적용한 토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유형의 토기는 발트해, 핀란드, 볼가강 상류, 시베리아 남부, 바이칼 호수, 몽골 고원, 요동반도 및 한반도에 널리 분포했다.[2]현재 국립 익산 박물관등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토기는 랴오둥 문명의 유적인 싱룽와 문화(기원전 6200년 - 5400년)에서 발견된다.[3][4] 역사한국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기장과 기타 곡물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정착하기 시작하여 씨족 사회를 형성했다. 그들은 돌을 갈아서 다양한 연삭도구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 중 신석기시대의 특징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빗살무늬토기이다. 서울 암사동, 평양, 김해 가리 등이 대표적인 빗살무늬토기 유적지이다.[5]
생산방식빗살토기는 삼국시대의 토기와 달리 물을 이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제작하였으며, 주로 원형의 점토띠를 쌓는 압연법을 사용하고 다양한 성형법, 회전법 등을 이용하였다. 빗살무늬토기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구조 없이 노천 가마에서 소성된다. 다만 평양 포대터, 김천 진조리터, 진주 평미동터 등에서 특정 구조의 가마가 발견되고 있어 신석기시대 중기부터 보다 발전된 가마 시설이 이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빗살무늬토기는 산화염기 상태에서 약 600~700℃의 온도에서 소성되는데, 대부분의 빗살무늬토기는 적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5] 문화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