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르
|
드라마
|
만화
|
작가
|
김동화
|
출판사
|
행복한 만화가게
|
연재 잡지
|
조선일보
|
연재 기간
|
2002년 3월 16일~2005년 4월 8일
|
발매일
|
2003년 12월 1일 ~ 2007년 2월 21일
|
권수
|
4권
|
만화
|
작가
|
김동화
|
출판사
|
열림원
|
발매일
|
2013년 3월 30일 ~ 2013년 4월 1일
|
권수
|
2권
|
웹툰
|
작가
|
김동화
|
연재 사이트
|
다음 웹툰
|
연재 기간
|
2005년 4월 13일~2006년 4월 14일
|
화수
|
157화
|
TV 애니메이션: TV동화 빨간 자전거 1기
|
원작
|
김동화 - 《빨간 자전거》
|
기획
|
한국방송공사
|
프로듀서
|
이별남, 모상준
|
캐릭터 디자인
|
이기웅, 이승주, 장수진 문희정, 정달희, 이정현
|
음향 감독
|
정진욱, 이나리
|
제작
|
쏘울 크리에이티브, KBS 미디어
|
방송사
|
KBS 1TV(지상파)
|
|
방영일
|
2013년 1월 22일 ~ 2014년 2월 14일
|
화수
|
총 240화 (본방송 130화, 재방송 89화[1], 특별편 21화)
|
TV 애니메이션: TV동화 빨간 자전거 2기
|
원작
|
김동화 - 《빨간 자전거》
|
기획
|
이순주
|
총감독
|
황철
|
프로듀서
|
이별남
|
캐릭터 디자인
|
이기웅, 정달희
|
총작화 감독
|
이기웅
|
음향 감독
|
김희집
|
음악
|
정진욱, 이나리
|
미술
|
조화진, 빔 스튜디오
|
애니메이션 제작
|
이정현, 장수진, 이승주 문희정, 최진혁, 조수진, 김성령
|
제작
|
쏘울 크리에이티브
|
방송사
|
KBS 1TV
|
방영일
|
2014년 2월 17일 ~ 2015년 4월 3일
|
화수
|
총 251화 (본방송 : 151화, 재방송 : 100화[1])
|
그 외
|
1. 방송 내용의 유해성에 따라 시청등급이 변동되었음. 2. 일부 내용은 시청자들이 제보한 사연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음.
|
후편
|
별별가족(2015년 ~ 2016년)
|
틀 - 토론
|
《빨간 자전거》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동화 화백이 집필한 만화이자 애니메이션이다.
개요
자전거를 타고 집배원이 야화리를 배달하 야화리의 여러 일상들을 다룬 만화이다.[2] 2002년 3월부터 조선일보에서 연재하였는데, 당초 1년 동안 연재하려다 독자들의 호평을 받아 2005년 4월까지 연재하였다. 이후 이러한 인기 바탕으로 단행본도 발매되었다.무엇보다 서사만화에 대한 접근이 어려웠던 중장년층을 새롭게 우리 만화의 독자로 이끌어냈다는 점과 시골의 일상 및 상을 자세히를 다루어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3] 저자는 연재를 시작하면서 국내는 물론 프랑스와 스위스 등 유럽 일부 국가의 출판사에서 도서 출간을 제안받았으며, 2004년에는 우정사업본부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4]
이후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2015년부터는 2017년까지 애니메이션으로도 방영되었고 애니메이션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연재 목록
- 연재 일자는 카카오 웹툰(구 만화속 세상)에 연재된 일자를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애니메이션
이 만화는 쏘울 크리에이티브와 KBS 미디어가 애니메이션인 《TV동화 빨간 자전거》로 각색하여 2013년 1월 22일부터 2015년 4월 3일까지 KBS 1TV에서 방송하였다.
방송 시간
성우
제작진
1기
- 기획 · 제작
- 편성기획 : 김광필
- 기획 : 이순주
- 프로듀서 : 이별남, 모상준
- 제작 : 임만식
- 감독 : 황철
- 원작 : 김동화 - 《빨간 자전거》
- 프리 프로덕션
- 시나리오 : 김명애, 강나루, 백지현
- 캐릭터 디자인 : 이기웅, 이승주, 장수진, 문희정, 정달희, 이정현
- 스토리 보드 : 김윤희, 이기웅, 배기용, 최지원
- 배경 디자인 : 안영란, 김혜지, 정연주
- 미술 감독 : 안영란
- 레이아웃 : 이기웅, 정달희, 김수홍, 김태영, 윤영화
- 애니메이션 : 황철, 이정현, 이승주, 장수진, 문희정, 조수진, 최영미, 차다현
- 촬영 · 편집 : 황철
- 라인 프로듀서 : 이지민
- 포스트 프로덕션
- 음악 감독 : 정진욱, 이나리
- 사운드 녹음 · 믹싱 : GG 사운드
- 사운드 슈퍼바이저 : 김희집
- 주제가 작곡 : 이나리, 정진욱
- 사운드 에디터 : 김한나
- 사운드 디자인 · 믹싱 : 장문정
- 마케팅 · 홍보
- 제작 협력
- 애니메이션 : 그리메 스튜디오, 신창섭, 신주영, 이호앙, 이영희
- 배경 : 스튜디오 빔, 박상연, 노혜진, 김혜영, 서정호, 박지우, 남미현
- 편집 감독 : 김충렬
- 컴퓨터 그래픽 : 황은서
- 연출 : 이순주
- 제작 협찬 : 미래에셋증권 주식회사, 사단법인 지구촌사랑나눔
2기
- 편성기획 : 김광필
- 책임 프로듀서 : 김찬규
- 기획 : 이순주
- 원작 : 김동화
- 제작 : 임만식
- 프로듀서 : 이별남
- 총감독 : 황철
- 시나리오 : 김명애, 백지현, 강나루, 김근영
- 소재 개발 : 이채론, 김상남, 김윤희, 이기웅
- 스토리 보드 : 최지원
- 미술 감독 : 조화진
- 캐릭터 디자인 · 레이아웃 : 이기웅, 정달희
- 배경 디자인 : 조화진, 한대일, 정연주, 곽지연, 박세일
- 애니메이션 연출 : 이정현
- 애니메이션 : 이승주, 장수진, 문희정, 조수진, 최진혁, 김효미, 최영미
- 제작 진행 : 홍봉균, 김희정, 강정임
- 촬영 · 편집 : 황철
- 라인 프로듀서 : 이지민
- 음악 감독 : 정진욱, 이나리
- 주제가 작곡 : 이나리
- 사운드 녹음 · 믹싱 : 지지사운드
- 사운드 슈퍼바이저 · 더빙 : 김희집
- 사운드 에디터 : 김한나
- 사운드 디자인 · 믹싱 : 장문정, 김한나
- 사업 홍보 · 마케팅 : 신장선, 이창근, 권기선
- 애니메이션 : 김면호, 배은영, 최윤서, 신인정, 박미영, 양연숙, 김인복, 이지연, 김미선, 곽주영, 김상겸, 이상훈, 이종대, 이종흔, 한진아, 방재형, 이영숙, 지종률
- 제작 협력 : 그리메 스튜디오, 신창섭, 신주영, 추동문, 빔 스튜디오, 박상영, 노혜진, 김혜영, 서정호, 한은주
- HD 출력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함종민, 황경선
- 제작 지원 : 한국만화영상진흥원
- 홍보 : 박정재
- 홈페이지 : KBS 미디어, 민지선, 홍자인
- 편집 감독 : 유운모
- 컴퓨터 그래픽 : 황은서
- 연출 : 이순주
- 제작 협찬 : 미래에셋증권 주식회사, 사단법인 지구촌사랑나눔
방영 목록
1기
2기
2014년
스페셜
2014년
도서
각주
- ↑ 가 나 단, 본방송 시간대가 아닌 다른 시간대에 재방송이 편성된 화수는 제외하였다.
- ↑ “TV동화 빨간 자전거”. 《인터넷 교보문고》. ㈜ 교보문고.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 ↑ 박석환 (2009년 5월 15일). “한국형 순정만화의 창안자 만화가 김동화”. 《네이버 캐스트 - 만화가》. 네이버.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어수웅 (2005년 4월 8일). “김동화 화백 고별 인터뷰”. 《조선일보》.
- ↑ 저자는 독자들에게 정감을 주기 위해 정식 명칭인 정보통신원이 아닌 우편 배달부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고 밝혔다.
- ↑ 등장 인물들의 과도한 음주 행위와 아들의 폭언이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 ↑ 옥분 할머니가 언어 폭력 등을 저지르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 ↑ 어린이 3명이 불장난을 저지르는 장면이 동일 연령대 어린이들의 모방 심리를 자극할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 ↑ 해당 방송분에서 허풍쟁이 아저씨로 등장한 남성의 대사가 어린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 ↑ 해당 방송분의 초반에서 등장한 승은의 행동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 ↑ 공포를 소재로 다룬 내용의 특성을 감안하여 시청등급을 분류하였다.
- ↑ 부부간의 애정 표현 및 은주의 유산 등을 다룬 점으로 인하여 시청등급을 분류하였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KBS 평일 5분 분량 애니메이션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