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슬형 충돌구

가니메데에 있는 길이 161 km의 엔키 카테나로, 분열한 혜성이 충돌하며 생겨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슬형 충돌구(Crater chain)는 천체 표면에 충돌구가 늘어선 모양의 지형을 가리키는 용어로,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카테나(라틴어: catena)라는 용어를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다.[1]

사슬형 충돌구 대부분은 천체가 조석력을 받아 비슷한 궤도를 도는 여러 천체로 분해되어 생기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실제 이와 같은 원리로 1994년 목성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충돌하기도 하였다. 보이저 탐사선은 목성계 탐사 당시 칼리스토에서 사슬형 충돌구 13개, 가니메데에서 3개를 찾았으며,[2] 이후 2차 충돌구로 확인된 지형을 제외한 결과, 1996년 기준 공식적으로 사슬형 충돌구는 칼리스토에 8개, 가니메데에 3개가 있다.[3]

화성에 있는 사슬형 충돌구는 지구와 연관이 있는, 근처에서 연속해 생긴 함몰 분화구로 보고 있다.

에 있는 사슬형 충돌구는 큰 충돌구에서 떨어져 나온 2차 충돌구이거나, 협곡을 따라 화산 활동이 일어나며 생겨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4]

같이 보기

각주

  1.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 Descriptor Terms (Feature Types)”. 2014년 10월 4일에 확인함. 
  2. Melosh H. J.; Schenk P. (October 1993). “Split comets and the origin of crater chains on Ganymede and Callisto”. 《Nature》 365 (6448): 731–733. Bibcode:1993Natur.365..731M. doi:10.1038/365731a0. S2CID 4321905. 
  3. Schenk P. M.; Asphaug E.; McKinnon W. B.; Melosh H. J.; Weissman P. R. (June 1996). “Cometary Nuclei and Tidal Disruption: The Geologic Record of Crater Chains on Callisto and Ganymede” (PDF). 《Icarus》 21 (2): 249–274. Bibcode:1996Icar..121..249S. doi:10.1006/icar.1996.0084. 
  4. H. Masursky; G. W. Colton; F. El-Baz, 편집. (1978). 〈Chapter 5: Craters〉. 《Apollo over the Moon: a view from orbit》. NASA SP-362. NASA. 2013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