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ikimedia Foundation is asking for your feedback in a survey about your experience with 위키백과 and Wikimedia.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learn how well the Foundation is supporting your work on wiki and how we can change or improve things in the future. The opinions you share will directly affect the current and future work of the Wikimedia Foundation.
그 위키 미디어 재단 당신의 피드백에 대한 조사에서 SITENAME과 너의 경험에 대해서 위키 미디어 요구하고 있어요. 이 조사의 목적이 얼마나 잘 재단과 우리가 어떻게 개선 미래에 상황을 바꿀 수는 위키에서 당신의 작품을 지원하는 것이 배우는 것이죠. 공유된 의견들이 직접적으로 위키 미디어 재단의 현재 및 미래 업무에 영향을 줄 거예요.
[1]이 조사를 통해 당신의 피드백하는 방법을 줄 '15에서 25분 정도 소요됩니다. 그것은 다양한 언어로 사용 가능합니다.
A couple of weeks ago, we invited you to take the Community Insights Survey. It is the Wikimedia Foundation’s annual survey of our global communities. We want to learn how well we support your work on wiki. We are 10% towards our goal for participation. If you have not already taken the survey, you can help us reach our goal! Your voice matters to us.
There are only a few weeks left to take the Community Insights Survey! We are 30% towards our goal for participation. If you have not already taken the survey, you can help us reach our goal!
With this poll, the Wikimedia Foundation gathers feedback on how well we support your work on wiki. It only takes 15-25 minutes to complete, and it has a direct impact on the support we provide.
네? 어떤 말씀이신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원래 업로더가 되시면 본인의 비자유 저작물 게시 외에도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의 다른 사용자가 게시를 요청하는 내용이 지침에 적절한지 확인한 이후 수락하거나 거절하는 일을 수행하게 됩니다. 또한, 업로더는 파일 업로드 요청에 요청을 게시하지 않고 업로더 스스로가 지침에만 맞는다면 비자유 저작물을 게시할 수 있습니다.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에 게시하고요. --Sotiale (토론) 2019년 11월 15일 (금) 00:12 (KST)답변
유자차 님, 안녕하세요. 파일:윤희에게 포스터.jpg, 파일:롱리브더킹목포영웅 포스터.jpg 파일의 각 크기는 삭제 이전에 9.77 MB, 14.18 MB였습니다. 심지어 고화상도도 아닌 345 × 494 픽셀 정도의 파일이었는데, 이에 따라 해당 파일이 임베디드 데이터 파일로 의심되어 삭제 요청이 있어 삭제 처리하였습니다. 게시하실 때 파일 크기가 해상도에 비하여 의심스럽지는 않은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Sotiale (토론) 2019년 12월 2일 (월) 19:39 (KST)답변
그림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금만 픽셀을 건드리는 방법으로 크기를 변환하면, 일반적으로 그 안에 있는 데이터가 날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그런 방법을 써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덧붙여서 최근 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하시는 활동들이 멀리서 보이고는 합니다. 좋은 활동 고맙습니다. --Sotiale (토론) 2019년 12월 4일 (수) 00:48 (KST)답변
이 사용자를 관리자 분들이 어떻게 처리할지 의문이네요.하지만 이 사용자는 다중계정 의심이 가네요.초보답지 않게 너무 잘 알고 있는듯한 기분이 듭니다.그리고 왜 저희 둘에게 욕을 했는지도 의문이고요.$. ¥. £ (토론) 2020년 2월 7일 (금) 18:31 (KST)답변
유자차님 안녕하세요! 어떻게든 위키피디아에 정보 전달을 하고 싶지만 초보에다가 제 주변에 물어볼만한 지인도 없어 헤메이고 있는 상태입니다ㅠㅠ 간절하게 문의드려요.
오뚜기 로고 업로드 파일에 유자차님께서 질문 남겨주신 부분에 대해 먼저 말씀드려요.
오뚜기 심볼마크가 지금 오뚜기 자료에 올라와 있는데, 제대로 된 심볼은 하단의 동그란 알(R)마크까지 함께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변경을 신청하고자 했어요.
그런데, 오뚜기 로고라고 하면 심볼만이 아닌 “심볼마크+ [주식회사 오뚜기(글씨)]” 까지 표기되어야 하는게 옳은 것 같아서요. 기존 위치에 심볼만 올릴지 로고만 올릴지 심볼과 로고 까지 함께 올릴지 어떤 것이 좋을지 몰라 우선 모두 다 표시된 파일을 기재했습니다. (오뚜기 홈피에 마침 심볼과 로고가 한 파일로 되어있더라구요)
기존 심볼은 R이 빠져 불완전한 부분이라 뭐로든 수정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지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족한 점 많은데 ㅠㅠ 모쪼록 잘 부탁드리구요
실수한 점이 있다면 말씀 주시면 앞으로 더욱 주의할게요! 편히 말씀주세요! Yj0207 (토론) 2020년 2월 10일 (월) 23:27 (KST)답변
사진을 올리다가 It is recommended that you fill in some categories for your uploads.이라는게 뜨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거기다 뭐를 써야지 해결 되죠?-$.¥.£- (토론) 2020년 2월 14일 (금) 15:47 (KST)답변
@와정말대단하다:위키프로젝트:철도 문서는 2018년을 마지막 편집으로 더이상의 편집이 없었으며 하위문서에서는 2020년에 2~3번 편집되었으며, 다른 하위 문서는 거의 2019년 초반기에도 편집이 없어 중단으로 표시했습니다. 만약 활동중인 위키프로젝트였다만 누군가가 노력하여 변경하지 않았을까요? --유자차 (토론) 2020년 2월 27일 (목) 09:51 (KST)답변
@Gomdoli4696: 대부분이 마찬가지 일것입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몰라 조심스러워 그런 것일수도 있고요. 처음에 오면 대부분의 모든 사용자가 겪는 일인 것 같습니다. 사실 저도 후회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제와서 후회한들 바뀌는 것도 없고 현실을 중시하면되지요 :) --유자차 (토론) 2020년 7월 10일 (금) 10:54 (KST)답변
먼저 파일은 2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과 자유 저작물이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로고, 음반표지, 포스터 등 자유로운 배포에 제한이 있는 문서를 비자유 저작물 이라고 하며,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이라는 자유 저작물을 올려 놓는 곳에서 어느 위키백과든 파일을 가지고 올수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업로더, 관리자가 아니시라면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하여 사용하셔야 하며 이 경우에는 업로드된 위키백과(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파일을 넣는 방법은 본문에 넣는 경우와 정보상자에 넣는 경우가 있는데, 본문에 넣는 방법은 '[[파일:파일이름|섬네일|설명]]'이라고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파일이름에는 업로드 되어있는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 주시고, '섬네일'이라는 부분은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는 문단으로 따로 원하시는 크기가 없을시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설명에는 그림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정보상자에는 대부분 '그림' 및 '그림설명'의 문단이 있습니다. 그림에는 다른 내용 없이 파일의 이름만 입력하여 주시고, '그림설명' 문단은 본문에서 사용하는 '설명' 문단과 같은 뜻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림의 이름은 원하는 그림을 눌러보면 모바일은 아래쪽에 'ⓘ'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거기에 들어가 보시면 그 그림 위에 'File:' 또는 '파일:' 옆에있는 문장을 복사해서 아까 위의 방법과 같이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File:송포초등학교 전경.jpg'이라는 파일을 송포초등학교의 본문에 사용하고 싶으시면 '[[파일:송포초등학교 전경.jpg|섬네일|송포초등학교 전경(그외 설명)]]'이라고 본문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오늘까지 약 600여개 파일을 삭제하여 공용과 이름이 같은 파일들은 크게 밀리는 일이 없을 겁니다. 공용중복 중 파일 이름이 다른 경우는 링크가 로컬의 파일과 연결된 경우가 많아서 삭제하기가 곤란하네요.. :( --Sotiale (토론) 2020년 3월 15일 (일) 01:44 (KST)답변
@Sotiale: 어제 공용으로 이동가능한 파일을 넘기고 분류:위키미디어 공용과 중복, 분류:위키미디어 공용에 같은 이름의 파일이 중복을 확인해 보는데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몇백개 되는 파일이 모두 사라져 있어 공용 중복 틀에 문제가 생긴것은 아닌가 확인을 해보았더니 아무 이상도 없어, 당황했었는데, 혹시몰라 Sotiale님의 기록을 살펴보니 엄청나게 많은 파일들을 삭제해 주셨더라고요.... 정말 진심으로 수고많으셨고, 감사드립니다. 만약 파일 삭제만이라도 가능하다면 제가 맏고싶지만 그렇게 될수 없어 아쉽네요,, 또 파일 링크는 사실 저도 그 부분을 생각했지만 파일을 이동할때에 먼저 이동을 하고 그 후에 다시 로컬에있는 파일로 돌아와서 하나하나 검토하는게 불가능해서 보류해두었는데 그걸 처리하는 날이 오늘이네요 ㅎㅎ 그럼 오늘은 링크가 걸려있는 파일을 검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쨌든 정말 수고많으셨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15일 (일) 12:02 (KST)답변
유자차님,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파일 업로드 및 공용으로의 이동을 맡으시느라 대단히 고생이 많으십니다. 제가 파일 업로드 요청을 자주 했을 때에는 다른 업로더 분들이 주로 처리해 주셨는데, 요즘은 유자차님과 앵무님이 거의 전담하고 계셔서 낯설기도 하고 감사하기도 합니다.
저는 2016년에 한국어 위키백과에 올라온 몇몇 로컬 파일을 CommonsHelper 도구를 사용해서 공용으로 옮긴 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c:File:Boeun-map.png처럼요. 그런데 몇 번 이동하고 나니, 저는 이 도구를 별로 좋아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c:File:Boeun-map.png의 역사를 보면 아시겠지만, 마치 해당 파일을 최초로 업로드한 사람이 저인 것처럼 되고, 로컬에서의 역사는 ‘기존 올리기 기록’ 문단에만 남게 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오래되어 저작권이 만료된 파일도 아닌데, 공용의 제가 업로드한 파일 목록에 제가 창작하지 않은 파일이 있는 것이 거북스러웠습니다.
그러다 얼마 전에 유자차님의 기여를 살피던 중, 2016년 당시에는 없던 FileImporter라는 도구가 비교적 최근에 생겼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해하건대, CommonsHelper와 달리 파일을 로컬에서의 역사 째로 복사하는 도구 같았습니다. 그래서 혹시 여유가 되신다면, Gloyacks님이 올리신 파일은 한꺼번에 작업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이분은 지도를 직접 그려서 한국어 위키백과에 업로드하셨었는데, 업로더 권한이 생긴 뒤 업로더 권한을 신청하지 않고 공용에 올리셔서 이분의 파일이 한국어 위키백과와 공용에 흩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유자차님께서 도와 주신다면 지도 파일의 소재와 관리가 좀 더 명확해질 것 같습니다.
@오모군: 아닙니다! 처음에는 공용으로 파일을 올려도 되나싶어 조심스럽게 Sotiale님에게 질문을 드렸다가 공용에 올릴수 있는 파일이라면
얼마든지 이동을 해도 된다는 말을 듣고 지금까지 Sotiale님과 함께 공용 이동 및 삭제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현재는 png파일을 검토하여 업로드 하고 있는데 하다보니 Gloyacks님의 지도 파일이 많이 발견되더라고요.
옛날부터 파일을 많이 올리셨군요. 좀 후에 대량으로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16일 (월) 14:53 (KST)답변
대단히 감사합니다. 특수:파일목록/Gloyacks을 보니, 유자차님께서 Gloyacks님의 사용자 토론에 열거한 파일 몇 개 외에는 전부 이동된 것 같습니다. 공용으로 이동된 Gloyacks님의 파일에 분류를 다는 것은 제가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Gloyacks님의 파일뿐 아니라 다른 모든 로컬 파일에 대해 어떻게 이런 대규모의 작업을 계속하실 수 있는지 놀라울 따름입니다. 정말 노고가 많으십니다. 다가오는 한 주도 건강히 지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吳某君 (토·기) 2020년 3월 22일 (일) 22:46 (KST)답변
안녕하세요. 우선 삭제 신청은 처리하였는데, 처리하면서 보아하니 저작권자 변수가 비어 삭제 신청된 것들이 있었습니다. 이 변수는 실은 영어판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변수로 기억하는데, 그밖에 다른 언어판에서도 이를 요구하는 경우가 없거나 적은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우선은 현재 지침에서 모든 칸을 채우도록 하고 있으므로 삭제는 처리하였으나 이와 관련해서는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3월 21일 (토) 20:51 (KST)답변
@Sotiale: 항상 처리 감사드립니다. 저도 영어판에 있는 비자유 저작물을 로컬로 가지고 올때 저작자 등을 적는 문단이 아주 가끔 발견되기도 하고, 없기도 하여 살짝 놀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영어판은 더 자세히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를 적더라구요,.,. 혹시 따로 논의할 곳이 없다면 틀토론: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에서 이 주제를 가지고 토론을 나누는건 어떨지요?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21일 (토) 22:12 (KST)답변
@모짜렐라: 되돌림 틀을 사용시에 변수에 입력하여 주시면 됩니다. {{되돌림|되돌린 문서|되돌린 이유}} 이렇게요. 예를들어 인천국제공항문서의 편집을 정책에 맞지 않아 되돌렸을시에는 '{{되돌림|인천국제공항|정책에 맞지 않아}}'라고 입력해 주시면 "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인천국제공항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정책에 맞지 않아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렸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뜹니다. {{되돌림}}에서 더 자세하게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25일 (수) 20:10 (KST)답변
@바게트: 글씨를 빨간색으로 하는 것은 쉽게 할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글씨 색|red|빨간색으로 표시할 글자}} 틀을 사용하여 글씨를 빨간색으로 표현할수도 있고, 다음과 같이 <span style="color:red">빨간색 글씨</span> 문법을 이용하여 빨간색으로 글씨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아마 간단한 틀이 더 쉬울것 같네요 ㅎㅎ 예를 들어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라는 문장을 틀을 이용하여 빨간색으로 만들고 싶다면 {{글씨 색|red|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라고 적으면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로 나옵니다. 도움말:색상 사용하기에서 색목록과 더 자세히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1일 (수) 15:30 (KST)답변
안녕하세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귀하께서 기여하신 퀸톨 문서가 삭제 토론에 회부되었습니다. 토론은 위키백과:삭제 토론/퀸톨에서 진행될 예정이니 토론에 꼭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해당 문서를 좀 더 나은 방향으로 편집할 수도 있으나, 삭제 토론 틀을 토론 종료 전에 제거하지 말아주세요. 또한 토론에 참여할 때에는 기본적 예의를 지켜 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4월 3일 (금) 13:06 (KST)답변
먼저 파일은 2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과 자유 저작물이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로고, 음반표지, 포스터 등 자유로운 배포에 제한이 있는 문서를 비자유 저작물 이라고 하며,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이라는 자유 저작물을 올려 놓는 곳에서 어느 위키백과든 파일을 가지고 올수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업로더, 관리자가 아니시라면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하여 사용하셔야 하며 이 경우에는 업로드된 위키백과(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파일을 넣는 방법은 본문에 넣는 경우와 정보상자에 넣는 경우가 있는데, 본문에 넣는 방법은 '[[파일:파일이름|섬네일|설명]]'이라고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파일이름에는 업로드 되어있는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 주시고, '섬네일'이라는 부분은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는 문단으로 따로 원하시는 크기가 없을시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설명에는 그림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정보상자에는 대부분 '그림' 및 '그림설명'의 문단이 있습니다. 그림에는 다른 내용 없이 파일의 이름만 입력하여 주시고, '그림설명' 문단은 본문에서 사용하는 '설명' 문단과 같은 뜻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림의 이름은 원하는 그림을 눌러보면 모바일은 아래쪽에 'ⓘ'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거기에 들어가 보시면 그 그림 위에 'File:' 또는 '파일:' 옆에있는 문장을 복사해서 아까 위의 방법과 같이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File:송포초등학교 전경.jpg'이라는 파일을 송포초등학교의 본문에 사용하고 싶으시면 '[[파일:송포초등학교 전경.jpg|섬네일|송포초등학교 전경(그외 설명)]]'이라고 본문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바게트: 가능한 다중 계정을 만드시는 것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한개의 개정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기타 사유가 있는등 예외가 있을수 있습니다.) 일단 자신의 다중계정에는 모두 다중계정 틀을 달아주셔야 합니다. 자신이 모르고 달지 않았어도 혹시 모르는 일이 발생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다중 계정에 다중계정 틀을 달아주세요. 그리고 가능한 다중계정은 생성,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5일 (일) 00:44 (KST)답변
먼저 파일은 2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과 자유 저작물이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로고, 음반표지, 포스터 등 자유로운 배포에 제한이 있는 문서를 비자유 저작물 이라고 하며,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이라는 자유 저작물을 올려 놓는 곳에서 어느 위키백과든 파일을 가지고 올수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업로더, 관리자가 아니시라면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하여 사용하셔야 하며 이 경우에는 업로드된 위키백과(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파일을 넣는 방법은 본문에 넣는 경우와 정보상자에 넣는 경우가 있는데, 본문에 넣는 방법은 '[[파일:파일이름|섬네일|설명]]'이라고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파일이름에는 업로드 되어있는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 주시고, '섬네일'이라는 부분은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는 문단으로 따로 원하시는 크기가 없을시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설명에는 그림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정보상자에는 대부분 '그림' 및 '그림설명'의 문단이 있습니다. 그림에는 다른 내용 없이 파일의 이름만 입력하여 주시고, '그림설명' 문단은 본문에서 사용하는 '설명' 문단과 같은 뜻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림의 이름은 원하는 그림을 눌러보면 모바일은 아래쪽에 'ⓘ'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거기에 들어가 보시면 그 그림 위에 'File:' 또는 '파일:' 옆에있는 문장을 복사해서 아까 위의 방법과 같이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File:송포초등학교 전경.jpg'이라는 파일을 송포초등학교의 본문에 사용하고 싶으시면 '[[파일:송포초등학교 전경.jpg|섬네일|송포초등학교 전경(그외 설명)]]'이라고 본문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스크렙토코커스: 안녕하세요 스크렙토코커스 님! 사용자 유자차 입니다. 먼저 한국어 위키백과의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글씨 크기는 크게와 작게 조절할수 있습니다. 크게 하고 싶으시면 '<big>큰 글자</big>'라고 입력하여주시고, 작게 하고 싶으시다면 <small>작은 글자</small>'라고 입력하여 주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라는 문장을 크게 하고 싶으시다면 '<big>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big>' 옆처럼 입력하시면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이라고 나오고, 작게 입력하고 싶으시다면 '<small>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small>'라고 입력해주시면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옆과 같이 나옵니다.
새로운 스레드로 작성 부탁드려요. 일은 야간에 컴퓨터로 진행하지만, 그 전에 어떤 요청이신지 파악하기 위해 모바일로 미리 읽고 있습니다. 기존 스레드에 글을 덧붙이시면 제가 어디에 쓰셨는지 모바일로는 찾기가 어려워서 문서 역사를 보아야 내용을 알게 됩니다. 새로운 스레드로 글을 주셨으면 합니다 :) --Sotiale (토론) 2020년 4월 8일 (수) 22:09 (KST)답변
@Sotiale: 아,, 죄송합니다. 따로 주제를 새로 남기면 혹시 길어져서 불편하실까봐 거기다 남겨놓았었습니다 ㅎㅎ 앞으로는 새로운 주제로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파일 삭제는 아무 문서에서도 사용하지 않으면 고지 후 7일 뒤 삭제, 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 저작물은 등록자에게 고지 후 48시간 후에 삭제의 지침이 있는데요,, 시간별로 처리해야 될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8일 (수) 22:14 (KST)답변
@Sotiale: 따로 상황에따라 고지 후 48시간이 되거나 7일이 되면 그때 삭제를 하는 것 말입니다.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그런 파일들을 모아놓고, 고지 후 48시간이나 7일이 되면 관리자분들이 확인 후 처리를 해주시는 공간(문서)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8일 (수) 22:23 (KST)답변
@Sotiale: 아 고지 후 지정된 기간 후군요,,,, 그냥 지정된 기간이 되면 바로 삭제가 되야되는줄 알았습니다. 다른 관리자 분들이 파일에 대해서는 그렇게 신경을 쓰시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또 다른 업무로 바쁘시기도 하구요. 물론 Sotiale 님도 많이 빠쁘시겠지만요 ㅎㅎ Sotiale 님이 제작해주신 사용자:Sotiale/저작권/De minimis 등과 같은 번역 및 제작 문서들 보면서 많이 배우고 갑니다. 평소 대화내용을 보면 직장을 다니시어 주로 밤늦게 활동하시는 것 같은데 직장 업무 후에 고단하신데도 저때문에 파일 삭제도 해주시고, 관리해주셔서 감사말씀드립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8일 (수) 22:37 (KST)답변
아뇨, 파일 관리업무에 참여해주셔서 언제나 고맙습니다. 이제까지 한 3000여 개의 파일이 삭제된 것으로 기억하고 있는데, 아주 대단한 열정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저는 지금에 와서 누가 같이 끌지 않으면 일과후에 혼자서 그렇게 하지는 못했을 겁니다. 여튼, 지정된 기간 이후에 답변이 없는 것은 저작권 침해 또는 라이선스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여 삭제하는 것으로 지정된 기간 후에 삭제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그런 경우가 있으면 고지 사실과 함께 삭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과거 번역 문서들은 허접한 영어실력으로 한 조잡한 것들이라 어떻게 보일지 걱정이네요. 원래는 제가 보려고 만든 것들이라.. ^^; --Sotiale (토론) 2020년 4월 8일 (수) 22:47 (KST)답변
저작권에 대해 아직 미숙하다 보니 판단하기 어려운 점이 좀 있어 업로드 권한을 가지고 계시는 유자차님께 질문을 두 가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현재 위키백과 노래 문서에 노래 가사가 없는 이유는 노래 가사도 저작권이 있기 때문이라고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당신이 없으면 조국도 없다, 김일성 장군의 노래 문서 등에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가사도 마찬가지의 사유로 삭제시키는 게 옳을까요?
최근 용인 학생 사용자가 File:학생 대모험 반스타.png라는 파일을 업로드 하였는데요, 이 파일의 2번째 판인 02:56, 8 April 2020 판에 대한 질문입니다. 용인 학생님이 직접 말씀하시기를, 반스타 가운데에 있는 웃는 표정의 이모지가 Microsoft의 Windows 10 제품에 삽입된 글꼴 Segoe UI Emoji font family의 Grinning Face with Big Eyes라는 표정에서 가져와 수정한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Raccoon Dog: 안녕하세요. 사실 노랫말과 같은 텍스트도 저작권에 걸리기는 하지만 저희가 주로 담당 맏는 업무는 그림(사진)이나 영상, 소리 업로드이다 보니까 텍스트는 많이 관리하고 있지 못하는 점이 사실입니다. 먼저 당신이 없으면 조국도 없다, 김일성 장군의 노래 이 두 곡에 있던 가사는 모두 300자가 넘지 않았지만 어디서 가져온건지 출처가 표시되지 않았고, 그렇게 중요하게 필요한 부분인것 같지가 않아 제가 모두 제거했습니다. 그리고 이모티콘에 대한 저작권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거의 없다는 것으로만 알고있습니다. 현재는 새로운 판을 올려서 이전파일은 사용할수 없게되었으니 그렇게 상관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이됩니다. 업로더가 된지 얼마 안된지라 많이 미숙하여 제대로된 답변을 드리지 못하여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얼마 안되는 실력으로 초보 사용자 분들을 도와주고 있는데, 이에대해 좋게 생각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9일 (목) 12:37 (KST)답변
@Raccoon Dog: 평소에도 많이 사용되고, 이모티콘은 저작권이 거의 없다고 생각되어 되될려도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정확하게는 모르겠어서 확실히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혹시 괜찮으시다면 다른 분들께 질문 해주셔도 될까요? 정확히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9일 (목) 12:59 (KST)답변
안녕하세요. 파일 삭제 요청을 주신 것을 확인했습니다. 처리하다 몇 가지 생각이 들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2008년에서 2009년 당시는 현재처럼 모든 틀과 정보를 맞추어 게시하던 시절이 아니었으므로 본인이 게시한 파일인 경우에는 라이선스만 붙이고 별도의 출처표기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파일이 여러 개가 될 것 같은데, 현행 기준에 맞추어 일괄삭제를 하는 것이 맞다는 명확한 판단이 들지 않아서 주저함이 있습니다. 명확하게 저작권 위반인 것은 삭제가 가함이겠으나 그밖의 경우는 명확한 처리를 위해서 공동체의 논의를 거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혹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다음으로 파일:부산부전교회(AMJ).jpg의 경우인데 기억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다르게 대한민국의 경우 파노라마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건조물 사진의 상업적 이용의 가능성을 막고 있다는 것이 현재의 다수해석입니다. 따라서 그러한 사진들은 자유 저작물의 범주에 해당되지 아니하여 위키미디어 공용에 게시할 수 없게 되므로, 비자유 저작물로 처리하게 되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맞다는 판단이 듭니다. 대체가능성에서 어떤 부분을 생각하신 것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4월 11일 (토) 15:19 (KST)답변
@Sotiale: 안녕하세요. 주말은 잘 보내고 계신지요? 사실 파일 정보 틀이 없는 파일에는 PD-self나 라이선스 틀 위에 '이 그림의 저작자인 나(자신)는 00파일을 00로 배포합니다.'라는 말과 같이 자신이 만들었다는 표시가 있었다면 제가 파일 정보 틀을 직접 넣어서 공용으로 이동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공용으로 파일들을 이동하는 중간 중간 자신이 만든 저작물이 아닌 공용에 있는 파일을 수정하였는데, 공용의 파일과 라이선스를 다르게 하거나 출처를 표시하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었고, 공용에 있는 파일을 그대로 가지고와 확장명을 다르게해 공용과 중복이라는 표시가 뜨지 않아 그냥 공용으로 이동된 경우도 몇번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에 따로 출처(파일 정보 틀)가 없으면 {{파일 출처 없음}}을 달아 저작자에게 안내한 뒤 기간이 되면 삭제를 요청하려고 했습니다.
현실적으로 말해서 현재 위키백과에 올라오는 파일들은 자신이 만들었다고 주장을 해도 다른 원본파일이 있을수도 있고, 저작권을 위배하는 파일도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즉 그 파일의 진실은 자신 밖에 모를수 밖에 없다는 뜻 입니다.
파일의 출처가 제대로 적혀있지 않은 파일은 틀을 붙이고, 안내를 드렸는데 대부분 오래 전의 사용자이시다 보니 3~4년 전까지만 활동하신 사용자분들이 대부분 입니다.
아마 제가 생각하기에 이 출처 부분이 공용으로 이동하는 데의 가장 어렵고도 힘들었던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부분은 Sotiale 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따로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일:부산부전교회(AMJ).jpg은 사실 대체가 가능한 파일이라는 사유 보다 교회 문서에 비자유 저작물을 넣을 필요가 있을까? 하는 제 개인적인 생각에 삭제 신청을 했던것 같습니다.
원칙적으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저작권에 관하여는 ‘의심이 있으면 삭제하라’는 것이 맞기는 합니다. 하도 오래된 파일들이기도 하고, 또 편집자가 이미 떠난 경우가 많다보니 통지를 하시면서도 형식적이게 되지 않나 하는 느낌을 받으셨으리라고 생각이 듭니다. 직접 하나하나 통지하시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므로 편집자의 마지막 기여로부터 5년이 지난 상태이거나 활동내용이 없다면 통지를 하지 않고 불명확한 경우에 한하여 삭제 신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의 공동체 의견을 구할 수도 있으므로 논의를 거쳐보는 것이 여러모로 일처리에도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회 파일의 경우 삭제 신청을 철회하실 필요는 없고, 저는 다만 어떤 다른 이유를 듣고 판단하고자 한 것이므로 틀은 그대로 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4월 11일 (토) 15:46 (KST)답변
@Sotiale:그 안건에 대한 논의는 어디서 진행되어야 할까요? 그리고, 저작권자 변수에 관해 저희가 얘기했던 부분은 영어 위키백과의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틀에서는 파일의 설명에 저작권자를 적으라고 되어 있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그 부분을 나누어 저작권자 변수가 생긴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저작권자를 영어판에서는 신경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11일 (토) 15:52 (KST)답변
(어라, 핑이 왜 오지 않았는지 모르겠네요 :( ) 사랑방에서 논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경험상 내일이 일요일이므로 월요일에 게시하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변수의 경우 기억으로는 한국어판에만 있는 독립적 변수입력 칸으로 기억하는데 저작권자 변수 입력을 강제하지 않거나, 또는 저작권자 변수를 빼거나 하는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어느 방향이건 업로더 일이나 비자유 저작물 관리 및 사용에 도움이 되는 쪽이면 괜찮겠지요. --Sotiale (토론) 2020년 4월 11일 (토) 19:20 (KST)답변
@Sotiale: 아, 핑이 가지 않았군요,,, 어쨌든 월요일에 사랑방에 '2009년 이전에 올려진 파일의 출처'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리면 될까요? 파일의 정책이나 지침이 주변에 많이 알려진게 없어 점점 복잡해지네요... 그리고 혹시 따로 파노라마의 자유에 대하여 지침이나 정책을 알고계신 곳이 있다면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파노라마의 자유 정책을 찾아도 있지가 않기도 하고 많이 궁금한 사항도 있어서요!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11일 (토) 20:40 (KST)답변
국가마다 달리 정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선 대한민국의 경우는 제가 아는 한에서 학교 외부전경은 대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지하철역 전경은 외부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정확히는 저도 답변을 드리기 어렵지만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적용대상으로 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아마 공용으로 옮긴 파일을 고려하시는 것으로 추측하지만, 기왕에 옮긴 것에 대하여는 고려하지 마시고 그대로 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희(유자차 님과 저)가 법 중에서도 특히 저작권법을 전공한 것이 아닌데다 대한민국의 2차적 저작물에 관한 대법원의 판결 등을 보면 리걸 마인드가 있다는 사람들끼리도 서로 다른 해석이 있을 정도로 추상적이어서, 비전공자인 저희가 모든 내용을 다 파악하고 그 기준에 맞추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파노라마의 자유는, 가령 에펠탑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파노라마의 자유에 의하여 허용되지만, 에펠탑의 야경은 야간조명으로 인하여 파노라마의 자유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저희가 이런 내용까지 다 파악하고 살 수는 없겠지요. --Sotiale (토론) 2020년 4월 11일 (토) 23:31 (KST)답변
@Sotiale: 네, 그렇게 파일 하나하나 모두를 신경쓰고 싶진 않은데 혹시라도 무슨 상황이 일어질까 해서요.. 아마 그런 일은 없길 바래야겠죠? 그리고 공용과 다른 이름으로 중복인 파일들 중 장기에 관한 SVG 파일이 절반을 넘게 차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처리를 해야하는데, 어떤 형식으로 장기 파일이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이 어렵네요. 어쨌든 내일 오전쯤에 의견을 낼 예정입니다. 제가 국어 실력이 많이 부족한 터라 빠트리거나 못적은 부분이 있을수 있으니 한번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12일 (일) 13:23 (KST)답변
@바게트: 위에 있는 사용자토론:유자차#바게트님의 질문 (2020년 3월 31일 (화) 21:59)를 참고하셔서 그대로 넣어주세요. 그리고 서명 넣는 칸 아래에 있는 '서명을 위키텍스트로 취급 (자동으로 링크를 걸지 않음)'를 체크 해주셔야하고요. 글에 색을 넣고 싶을때 서명에는 '<span style="color:색상명">출력할 글자</span>' 옆 예시와 같이 span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만약 초록색 글씨로 하고싶으시다면 '🥖<span style="color:green">바게바게</span>🥖'라고 입력해주시면 '🥖바게바게🥖'라고 뜹니다. 색상 목록은 도움말:색상 사용하기에서 찾아보시거나 원하는 간단한 색 이름을 영어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18일 (토) 16:26 (KST)답변
@White planner: 프리코네 애니메이션 문서에 있는 로고 파일은 비자유 저작물 이용을 허가받지 않았고, 요청하지 않아 따로 제거했습니다. 그리고 포스터에도 일본어로된 동일한 로고가 있어 굳이 그 문서에 있을 필요가 없을것 같아서요,.. 만약 그 파일을 정당하게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백: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해주시면 업로더나 관리자 분들이 파일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필요하다 생각되면 따로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틀을 붙여주실겁니다. 백:파일 업로드 요청에 요청시 추가사항에 "요청한 문서에서도 사용하고 싶습니다" 등의 문구를 넣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20일 (월) 19:37 (KST)답변
먼저 파일은 2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과 자유 저작물이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로고, 음반표지, 포스터 등 자유로운 배포에 제한이 있는 문서를 비자유 저작물 이라고 하며,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이라는 자유 저작물을 올려 놓는 곳에서 어느 위키백과든 파일을 가지고 올수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업로더, 관리자가 아니시라면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하여 사용하셔야 하며 이 경우에는 업로드된 위키백과(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파일을 넣는 방법은 본문에 넣는 경우와 정보상자에 넣는 경우가 있는데, 본문에 넣는 방법은 '[[파일:파일이름|섬네일|설명]]'이라고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파일이름에는 업로드 되어있는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 주시고, '섬네일'이라는 부분은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는 문단으로 따로 원하시는 크기가 없을시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설명에는 그림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정보상자에는 대부분 '그림' 및 '그림설명'의 문단이 있습니다. 그림에는 다른 내용 없이 파일의 이름만 입력하여 주시고, '그림설명' 문단은 본문에서 사용하는 '설명' 문단과 같은 뜻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림의 이름은 원하는 그림을 눌러보면 모바일은 아래쪽에 'ⓘ'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거기에 들어가 보시면 그 그림 위에 'File:' 또는 '파일:' 옆에있는 문장을 복사해서 아까 위의 방법과 같이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File:송포초등학교 전경.jpg'이라는 파일을 송포초등학교의 본문에 사용하고 싶으시면 '[[파일:송포초등학교 전경.jpg|섬네일|송포초등학교 전경(그외 설명)]]'이라고 본문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MGA73: Thank you so much! I can't speak english well but I'll try :) and I'll talk to that file(like no copyright) uploader and no answer, I'll delet the file. Thank you for your help!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24일 (금) 19:24 (KST)답변
Hi 유자차 ! Thank you! As a reply to your message about files with no source or license I think it would be best if someone who speak Korean check the files on the list and nominate the file for deletion. So If you could check the files I would be happy :-) --MGA73 (토론) 2020년 4월 27일 (월) 20:29 (KST)답변
@MGA73: Hello! How are you? I think that file is at commons. If it is at local, please {{delete}}. I'll talk to Sotiale for delet the file.(korean wiki is nobody delet the file)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28일 (화) 22:34 (KST)답변
@MGA73: Thank you so much! I think my english is problem.. I don't know anyone who can translate to me.. Anyway I'll leave opinion behind! :)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3일 (일) 20:10 (KST)답변
@바게트: 최근 개인사정으로 인해 자세하게 답변들이지 못했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이해해주시고, 이렇게 표현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모르는 것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답변드리도록하겠습니다. 그리고 반스타는 위키백과 문법에 맞지 않아서 제가 올바른 틀 반스타로 변경했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24일 (금) 23:19 (KST)답변
@Hyein629: 답변이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일단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실 때 '[웹사이트 주소]' 이렇게만 작성하시면 [1] 이라고 나옵니다. [1]이 아닌 웹사이트의 이름을 나타나게 하고 싶으시다면 [웹사이트 주소명 웹사이트 이름]이라고 쳐주시면 됩니다. 많이 어려우 신가요? 예를 들어 한국어 위키백과 주소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B%8C%80%EB%AC%B8'를 '한국어 위키백과 대문'이라는 이름으로 표현하고 싶으시다면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B%8C%80%EB%AC%B8 한국어 위키백과 대문] 이라고 입력해주시면 한국어 위키백과 대문으로 나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25일 (토) 23:34 (KST)답변
[[사용자:모짜렐라|<span style="color: Goldenrod; font-family:verdana;">'''MOZZARELLA''</span>]][[사토:모짜렐라|<sup>🧀</sup>]]
일부러 처음에 [를 세개 썼고 MOZZARELLA 부분에 '를 네개 썼습니다.
서명되지 않게요--MOZZARELLA🧀 2020년 5월 3일 (일) 20:02 (KST) 모짜렐라 (토론) 2020년 5월 3일 (일) 22:03 (KST)답변
@바게트: 각주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각주 문단에 각주 표시를 '<references />'가 아닌 {{각주}} 틀을 사용하시는 것이 더 쉽고 많은 기능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백:각주#각주 목록: 기본을 참고하세요! 그리고 각주 입력하실 때 {{웹 인용}}과 같은 틀 안에 가능한 정보를 가득 채워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뉴스를 인용하실 때에는 {{뉴스 인용}}을 사용하시면 되고요! 백:각주에서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3일 (일) 15:58 (KST)답변
유자차님 말씀드릴게 있습니다. 현재 유자차님의 토론문서에 버그가 생긴것같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걸 어디서 고쳐야 할까요?? 무슨 버그냐면 토론 문서에 답변을 했는데 그 답변이 이상한데다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미리보기 눌르면 잘 되있는데 게시 누르면 이상한데다 저장이 됩니다. 이걸 어디서 고쳐요? 유자차님 바쁘신데 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것좀 고쳐주세요 ㅠㅠ 🥖바게바게🥖 (사토:바게트) 2020년 5월 4일 (월) 14:40 (KST)답변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좋은 아침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얼마전에 제가 질문방에 위키페탄을 직접 그려서 파일을 직접 올려도 되는지에 대해서 질문을 했는데 Sotiale님께서
: 위키페탄은 일본어판 위키백과의 Kasuga 사용자가 창작한 캐릭터로, 처음 시작은 Kasuga 사용자가 시작한 것입니다. 그저 Kasuga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창작한 위키페탄 그림과 파일 업로드를 마지막으로 하겠다는 것이므로, 다른 사람이 위키페탄 캐릭터의 창작자인 Kasuga의 저작인격권을 침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변형하거나 새로 그려서 위키미디어 공용에 게시하는 것은 별다른 문제 없이 가능합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4월 30일 (목) 11:06 (KST)
@흑조: 저작인격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것이란 먼저 그 대상의 인격권을 지켜 음란하거나 폭력적이지 않게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키페탄 문서를 보시면 많은 그림들이 있습니다. 그 그림들을 살펴보시면 위키페탄이 옷을 벚고 있다던가 피를 흘리고 있다던가와 같은 음란하거나 폭력적인 그림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존재해서도 안되고요. 위키페탄을 올바른 목적으로, 알맞게 변경하여 사용을 해도 된다고 Sotiale 님이 말씀하신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위키백과를 하고 있는 위키페탄이나 자고 있는 위키페탄 등이 있겠죠) 인격권 문서도 참고하세요.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5일 (화) 11:31 (KST)답변
@모짜렐라: 뭐 무효처리 된다고 생각하는것은 본인의 나름이겠죠? 투표에서 차단된 사용자가 투표를 했는데 차단된 사용자가 투표를 했다는 것을 못잡아 내면 그 한표 때문에 관리자나 지침 등이 당선이나 낙선될수도 있는 거고 큰영향을 미치잖아요. 하지만 반스타 하나도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진 않으니깐요 :) (추가로 대부분 그런 사용자가 투표하면 잡아냅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22:31 (KST)답변
@모짜렐라: 그 문서의 문단으로 링크를 걸고싶으시다면 '#'를 사용하시면됩니다. [[문서명#문단명]]으로요. 예를 들어 인천국제공항의 '역사'문단으로 링크를 걸고싶으시다면 [[인천국제공항#역사]]라고 입력하시면 인천국제공항#역사로 나오며 링크로 들어가보시면 '역사'문단으로 이동이 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수의 기여로 링크를 거는 것은 특정 기여를 링크할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특:기여로 들어가 보시면 특정 사용자의 기여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사용하는 겁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15일 (금) 19:54 (KST)답변
몇 가지 덧붙이자면 말씀하신 '특수:차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기여를 보여주는 것'은 판 ID를 이용하여 편집 차이를 보여주는 페이지로 링크를 바로 거는 방법입니다. 판 ID는 위키 내의 모든 편집에 순서대로 부여되는 고유 숫자로, 예컨대 사용자님의 [2] 이 기여는 URL의 (전략)...&diff=26533949&oldid=26533924의 26533949가 판 ID이므로 특수:차이/26533949로 간단하게 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 밝은소년2020년 5월 15일 (금) 20:31 (KST)답변
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에따라 백:사관에 요청을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만 사용자명 변경을 권고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자신이 사칭이었다고 인정은 하였지만 지속적으로 문서를 훼손 하고 정책이나 지침을 어긴다면 백:사관에 요청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일단 자신이 사칭계정이란 것을 인정하였으니 이전에 정말 심한 언행이나 편집 등과 같은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계정명 변경을 권고해주세요.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18일 (월) 22:27 (KST)답변
@옅은 핑크: 아 그런가요? Too many(너무 많은) request(요청하다) 아닌가요? 해석 하면 Too many request 너무 많은(?) 요청하다를 한국어 문법에 맞게 바꾸면 너무 많이 요청을 했다. 아닌가요? --🥖바게바게🥖2020년 5월 20일 (수) 09:56 (KST)답변
@맛탕: <del> </del>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신이 남긴 글들 중 지우고 싶은 문장 앞에 <del>을 붙이고 문장 끝에 </del>을 붙이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위키백과가 좋다'라는 문장에서 '가 좋다'라는 말을 지우고 싶으시면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위키백과<del>가 좋다</del>'라고 입력해주시면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위키백과가 좋다'라고 뜹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22일 (금) 19:12 (KST)답변
@우유지기: 참고로 연습장도 위키백과에 한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비방하거나 욕설을 하시면 차단당하실수 있습니다. 여기서 연습하실 수 있고요. 그리고 봇이 지우기 때문에 안지워도 됩니다. 지우는 것이 싫다면 [[사:우유지기/연습장]] 이렇게 하위문서를 만드실수 있습니다. (안 지워져요) 아무리 자신의 연습장이라고 해도 남을 비방하거나 욕설은 하면 안 되겠죠? --🥖바게바게🥖2020년 5월 25일 (월) 13:33 (KST)답변
@루바: 대부분 30일의 시간과 500회의 편집 횟수를 만족해야 합니다. 특별한 경우 관리자가 권한을 부여할수 있는데 그 경우는 그동안으로 봤을때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5월 29일 (금) 22:41 (KST)답변
@다니엘킴: 페이스북에 올라온 게시물들은 공용에서 호환이 안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공정 이용으로 업로드를 할수 있을것 같긴한데 가능한 자제해야 합니다. 비자유 저작물을 그냥 게시물로 올리는 경우도 있고, 출처가 자작인지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수도 없기 때문에 가능한 신뢰할수 있는 출처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예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00소속사라고 인증된 사용자가 원본과 동일한 어떤 음반 표지를 게시물을 올렸다면 그 파일을 공정 이용으로 이용할수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1일 (월) 09:38 (KST)답변
@ROK Aviation Doctor: 도대체 뭐가 무단 편집인지 모르겠네요. 항공기가 정차한 사진보다 하늘을 날고 있는 사진이 항공기의 전경을 볼 수 있어 그 사진을 선택하였으며 모든 문서의 소유권은 ROK Aviation Doctor 님이 가지고 계신 계 아니며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협력하여 더 올바르고 알맞은 문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전에도 다른 사용자분들과 현재와 같은 상황이 여러 번 발생한 것으로 보아 현재 ROK Aviation Doctor 님은 ROK Aviation Doctor 님의 주장을 펼치시며 무엇이든지 ROK Aviation Doctor 님이 옳다고 하시는 듯 문서를 편집하고 계시며 ROK Aviation Doctor 님의 기준에서 벗어나면 내용이나 사진 등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저도 경험하였고, ROK Aviation Doctor 님의 기여만 봐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모든 문서의 소유권은 ROK Aviation Doctor 님이 가지고 계시지 않습니다. 지속적으로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만이 맞는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다른 사용자분들과 협동하여 알맞은 문서를 만들 나가주십쇼. 경고는 제가 드리고싶네요.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1일 (월) 23:11 (KST)답변
안녕하세요 글게시기간에 대한 질문 남깁니다. 제가 위키피디아에 글을 게시했는데 그게 반영되는데까지 평균적으로 어느정도가 소요되는지 알수 있을까요? 게시하기를 했는데 draft라고만 표시가 되고 한달정도가 되었는데 아직 게시가 되지 않아서요. --Hyein629 (토론) 2020년 6월 12일 (금) 01:17 (KST)답변
제가 문서 게시한게 영문 위키피디아인데, 거기서도 똑같이 문서가 게시가 되면 바로 올라가나요? 혹시 아신다면 대략적인 영문 문서 게시방법에 대해서 얘기해주실 수 있나요? 위키지침따라서 문서를 게시했는데 어느부분에서 잘못된건지확인하고 싶어서요. 실례가 안된다면 부탁드립니다 --Hyein629 (토론) 2020년 6월 12일 (금) 01:24 (KST)답변
@Hyein629: 모든 언어 위키백과는 대부분 동일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고요...) 만약 문서가 게시가 안됐다면 게시 후 삭제되지는 않았는지 제목을 잘못 입력했는지 등등 한번 확인해보세요!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12일 (금) 18:56 (KST)답변
Hi! You have done a big work with the files with no license! They are almost all fixed now :-)
I fixed a few of the files on 사용자:MGA73/Sandbox. Perhaps you can check them and remove those that are okay?
I made a notice to 사용자토론:KoreanCulturalCenter_in_Japan and sent them an e-mail. I think all the files should be deleted. Perhaps you can add the right template to the files? If they see my message they can log in and fix the license.
The files at the bottom of my Sandbox ("Some files that do not show up on may auto-list (files with a license)") should perhaps be renamed so the problem is fixed. Could you have a look and perhaps find a better name? --MGA73 (토론) 2020년 6월 16일 (화) 03:15 (KST)답변
@MGA73: Oh, thank you so much! I'll check 사용자:MGA73/Sandbox and add the right template to the files. If User KoreanCulturalCenter_in_Japan doesn't have any answers we have to delete files 7 days after. And You can call me 'YuzaTea' because I made a new account for English and any language users. Thank you for your trouble again. Thank you for work with me! Have a good day! :)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16일 (화) 10:44 (KST)답변
Hi YuzaTea! It is not easy for me to read Korean. The best way for me is Google Translate or to see it as small drawings. So your name could look like a happy family with a mom/dad or big sister/brother ( 유 ) with 2 happy kids climbing ( 자 차 ). :-D
I have been busy on other Wikipedias: wa:, hi:, ja:, id:, vi: and lv: and therefore not been very active on ko.wiki. But most files have a license now. So I'm not sure what the best way to proceed is.
But
All non-free files can't be copied to Commons. So as long as they are in use in an article and there are no free alternatives there is nothing to do.
South Korea does not have Freedom of panorama per Copyright in South Korea. That means that all photos of buildings, statues, art etc. can't be copied to Commons unless the creator died long ago or the copyrighted part is only a small part of the photo. The question is if ko.wiki should delete all those photos unless the use of it is important for the article (like fair use). I think there should be a general discussion of that before we start nominating files for deletion.
Not all photos have good information about where the photo come from and who the photographer/creator is. If uploader is still active it is easy for the uploader to add that information. If uploader is not active we may have to delete the photo.
When the uploader is not the photographer we need to be sure that the file have the right license. That means either the photographer died long ago or the photographer licensed the photo with a free license.
There are many things to check. You do a very good job but I think it would be nice if we could have more users helping us. If you have any ideas how to organize this it would be great.
@MGA73: Yes. I think we have to discuss those topics. (especially Freedom of panorama) If I can speak English well, I'll work at commons, meta, English, and every wiki. But it can't. I don't know anyone to help me. If I need Translate I can use only Papago (It is like Google Translate). Anyway, I'll check the files and think idea. If I have new ideas I'll talk to you. And if you have any ideas or question please tell me! :)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16일 (화) 19:45 (KST)답변
If it is decided to delete all photos that does not meet the criteria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then I think a lot of photos will be deleted.
If it is decided to keep the photos I think they should be marked with at template saying they have FOP issues and can't be moved to Commons. (If that is possible)
Also if it is possible the creator of the building or the statue should be mentioned on the file page so it is possible to decide when copyright expire. --MGA73 (토론) 2020년 6월 16일 (화) 21:03 (KST)답변
I mean that in France for example buildings are copyrighted. So if we want to use a photo of the Eiffel Tower (에펠탑) we need to check the copyright. It was build by Gustave Eiffel (귀스타브 에펠) and he died in 1923. In France copyright expire 70 years after the creator die so the copyright of the Eiffel Tower has expired. So we can use photos of the tower with no restrictions.
The Luvre pyramid (루브르 피라미드) was designed by I. M. Pei (I. M. 페이) and he died in 2019 so it is still copyrighted. That is why we can't show photos of the pyramid in close up.
@MGA73: I can understand now. Then do we have to check the files about freedom of panorama? I think we should move the building files from commons to korean wiki when we finished this work.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17일 (수) 11:52 (KST)답변
That is good. Yes files should be checked before photos of buildings and statues are moved from Korean wiki to Commons.
I think the best place to start is to discuss if the photos should be allowed on Korean wiki or not.
I would not move any files from Commons to Korean wiki before that discussion has ended and it is clear what files are allowed on Korean wiki. --MGA73 (토론) 2020년 6월 17일 (수) 16:33 (KST)답변
Hi YuzaTea! Then that would be a good place to discuss. I think it is important that many users agree if changes are made. --MGA73 (토론) 2020년 6월 24일 (수) 15:59 (KST)답변
@권 의 겸: 안녕하세요! 사용자 유자차 입니다. 이렇게 만나게 되어 진심으로 반갑습니다. 또한 위키백과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먼저 계정의 이름 변경을 요청드립니다. 본인의 성함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위키백과는 오픈되어 있고 많은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다 보니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도 있고 온라인상의 개인정보 문제를 유발할 우려 할 수 있으니 이름바꾸기요청이나 위키백과:계정 이름 변경 요청에 가셔서 둘중 한곳에만 요청을 남겨주시면 됩니다. 권 의 겸 님의 토론 문서에도 계정명 변경 권고 사항을 남겨두도록하겠습니다. 다시한번 위키백과의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말씀 드리며 정책과 지침을 잘 읽어보시고 좋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모르시는게 있으시다면 언제는 질문주세요! 제가 알고 있는 모든 정보를 동원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20일 (토) 10:16 (KST)답변
@Gomdoli4696:파일 이동 권한을 갖게됩니다. 공용에서는 이 파일 이동자 권한이 따로 있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그냥 업로더와 통일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는 그렇게 특별한 기능은 없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파일이나 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한 파일을 알맞게 업로드 하는 것이 있겠죠? 업로더는 특히 저작권에 민감한 부분이여서 완벽하게 100%는 아니더라도 무슨 저작권이 있고 저작권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떨때 제한이 되고, 어떨때 특정 저작권이 사용 가능한지 등등은 알고 있어야 될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20일 (토) 10:33 (KST)답변
저 유자차님 혹시 죄송한데 파일:레드 핫 칠리 페퍼스- Blood Sugar Sex Magik.jpg를 파일:레드 핫 칠리 페퍼스 - Blood Sugar Sex Magik.jpg로 바꿔 주면 안되나요? 제가 실수로 띄어쓰기를 안 해가지고 그랬네요. ^^;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2020년 6월 22일 (월) 19:33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태현 정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GLORIEHY: 문서 이동은 위키백과:문서 이동에서도 확인할수 있는데요, 문서 위의 '더 보기'에서 '이동'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창이 뜨고 '초안'과 그 옆에 문서의 이름이 나올 것입니다. 거기서 '초안' 버튼을 눌러서 '(일반)'을 선택하여 주시고 이유를 입력하여주세요. 그리고 문서 이동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만약 안되신다면 계정을 등록한 지 4일이 지났고 편집 횟수가 10회 이상이 되면 될겁니다. 저에게 요청하셔도 되고요 :) --유자차 (토론) 2020년 6월 25일 (목) 15:22 (KST)답변
처음에 짧은 대본측에 유튜브 배너 사진을 이용해도 되냐는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제작진 측에서
유튜브 배너사진은 사용이 어려울 것 같다고 말씀하시며, 배너사진 대신에 이용가능한 로고 사진을 보내주셨습니다.
현재 제가 위키피디아에 작성중인 '짧은대본' 글에 사진을 올렸는데, 추후에 삭제 될 수도 있나요? -- 이 의견을 2020년 6월 30일 (화) 22:13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Jskung13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짧은대본 측에서는 사진을 첨부하시며 필요할 것 같아서 보내주셨다고 하셨습니다. 절차에 대해서 다시 한번 문의를 드려본 후 다시 글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 이 의견을 2020년 6월 30일 (화) 23:40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Jskung13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건강히 지내고 계신가요? 파일 업로드와 공용으로의 이동에 많은 노력을 쏟은 분이시기에 유자차 님의 토론 문서를 찾게 되었습니다.
도움말:그림 올리기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종종 본 적이 있어, 해당 도움말을 쉽게 고쳐 써 보았는데 혹시 고치다가 누락시킨 부분이 있거나 잘못 기술한 내용이 있을까 걱정됩니다. 여유로우실 때 한번 검토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감사합니다. --吳某君 (토·기) 2020년 7월 6일 (월) 04:00 (KST)답변
@오모군: 반갑습니다 오모군 님! 저도 오랜만 입니다 :) 확인 결과 부족한 부분이 있어 내용을 약간 추가했습니다. 그래도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지 싶네요.. 사실 처음 온 사용자 분들은 처음이다 보니 위키미디어 공용이 무엇인지, 뭘 올려야 되는지, 심지어 저작권 등에 관심이 없으신 분들이라면 라이선스가 무엇인지, 자유 저작물이 무엇인지, 비자유 저작물이 무엇인지도 알지 못하십니다. (저희에겐 친근한 내용이지만 이런 개념이 대부분 위키백과에서만 사용하다 보니 처음 오신 사용자 분들에게는 어려울수 밖에 없습니다) 저도 처음에 왔을때는 아예 모르다가 어쩌다 보니 지금 여기까지 와있네요 ㅎㅎ 하지만 그림 올리기에서는 라이선스가 무엇인지, 저작권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조차도 존재하지 않아 도움말로 써는 아직 부족할것 같습니다. 차근차근 내용을 추가해 나가면 다른 사용자들도 쉽게 접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7월 6일 (월) 12:22 (KST)답변
조언과 편집 감사합니다. 초보 사용자에게 해당 도움말 문서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데에 동의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초보 사용자들이 백:공정이나 도움말:그림 올리기에 적힌 짧은 설명만 읽고 저작권이 무엇인지, 또 자신이 직접 찍은 풍경 사진이나 인터넷에서 퍼 온 사진이 자유 저작물인지 비자유 저작물인지 판단하기는 여전히 어려운 것 같습니다. 사랑방이나 질문방에서 저작권에 관한 질문도 많이 본 것 같거든요. 고민을 좀 더 해 봐야겠습니다. --吳某君 (토·기) 2020년 7월 12일 (일) 15:30 (KST)답변
@뇸이: 안녕하세요. 일단 살아있는 인물의 사진은 비자유 저작물로 업로드 될수 없습니다. 아직 살아 있기 때문에 자유 저작물을 기대할수 있기 때문인데 현재 해주신 말씀이 잘 이해가 가지는 않습니다만 아이즈원 그룹이 발매한 앨범에 있는 아이즈원 멤버 김민주 (가수)의 얼굴 부분만 문서에서 사용하고 싶으시다는 것 같습니다. 모든 비자유 저작물은 그 저작물의 비평을 목적을 오직 그 음반 표지 자체나 그 음반표지의 노래에 관해서만 사용할수 있지 그 음반표지에 나온 멤버의 사진을 그 멤버의 문서에 사용할수는 없니다. 또 궁금하신 것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주세요 :) --유자차 (토론) 2020년 7월 9일 (목) 12:07 (KST)답변
@뇸이:이런 종류의 사진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이 사진은 음반의 포토북에 싣기 위하여 소속사에서 촬영한 사진이므로, 소속사가 저작권을 지닌 비자유 저작물입니다. 나무위키 같은 다른 위키는 비자유 저작물인 생존인물의 사진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키백과에서는 비자유 저작물인 생존인물의 사진을 백:파일 업로드 요청에서도 올릴 수 없게 합니다. 왜냐하면 유자차 님께서 말씀하셨듯 생존인물은 아직 살아 있기 때문에, 누구든지 찍어서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지금은 열리지 않지만, 콘서트라든가 대학교 축제, 각종 행사에 아이즈원이 와서 공연할 때 뇸이 님께서 직접 찍어서 올릴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직접 찍기가 어렵다면, 파일:190106 33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레드카펫 아이즈원.jpg처럼 자유 저작물로 배포된 사진을 인터넷에서 찾으신 다음 공용에 올리셔도 됩니다. --吳某君 (토·기) 2020년 7월 12일 (일) 15:30 (KST)답변
제가 퍼블릭 도메인으로 올려진 사진과 CC BY-SA 2.5, 4.0으로 올려진 사진을 다른 곳에 사용하려고 합니다. CC BY-SA는 어떤 것을 지켜야 하는지 알림 상자에 있는데 퍼블릭 도메인은 뭘 지켜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Daedan (토론) 2020년 7월 22일 (수) 09:2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