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이강철/2015
도와주세요.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주에 요청한 상태인데, 확인해줄 관리자님이 안계신 상태라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175.197.33.125 (토론) 2015년 1월 3일 (토) 15:18 (KST) 긴급 요청박태환문서가 훼손당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러면 안되는데 확인해줄 관리자님이 안계셔서 이렇게 요청하게 되었습니다.--175.197.32.150 (토론) 2015년 1월 28일 (수) 19:12 (KST) 관리자님 전원에게 알려드립니다.관리자 알림판을 확인해 주십시오.--175.197.32.150 (토론) 2015년 1월 31일 (토) 21:10 (KST) 3기 중재 기록3기 중재위원회의 임기가 끝났습니다. 위키백과:중재 요청/기록#3기 중재위원회에 기록을 추가해주십시오. --남해도 (토론) 2015년 2월 10일 (화) 14:54 (KST) 박원순 문서 준보호 요청박원순 문서 편집 분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준보호 요청합니다 --61.72.193.238 (토론) 2015년 2월 12일 (목) 02:12 (KST)
다중계정 검사결과에 대한 질문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사:알팥달팟에 대해서 사:unypoly 다중계정 여부에 대한 검사 요청에서 네 계정 서로는 IP 정보 상으로 관련 없으며, 이 세 계정과 위의 계정들 간에는 공통된 IP 정보가 없습니다. 라고 한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단지 네 계정간에 공통된 IP 정보가 없다는 것인지, IP 정보가 넷 각각이 서로 다른 서로 다른 학교, 연구소, 할당된 IP가 등록된 기업, 개별 정부기관등으로 나와서 다중계정검사결과에 의해 다중계정이 아닌 것으로 확실하게 볼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사용자토론:대마군수의 서울의 별 볼일 없는 최하위권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데라는 주장이 사실로 판명되었는지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인서울 최하위권 대학은 통상 광운대명지대상명대가톨릭대 한성대서경대삼육대 성공회대를 말합니다.--113.216.20.142 (토론) 2015년 5월 6일 (수) 09:45 (KST)
시험에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요즘 수험생 신분이라 바쁘시군요. 수험 생활에 성공해서 우리한테 한층 더 멋진 모습으로 나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그런데 무슨 시험이길래 미래로 나아가려고 노력하는 것이죠? --Tcfc2349 (토론) 2015년 6월 13일 (토) 22:16 (KST)
정말이지 너무한 것 아닙니까?동아일보(법인명 동아일보사)가 문화방송을 흡수하여 (존속법인 동아일보) 얼마 뒤에 주식회사 동아문화로 사명을 변경하지만 동아일보라는 신문의 제호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생각해봅시다. 이때 동아일보 항목을 동아문화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할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문서 역사 및 토론을 보아 원래 다음 문서는 포털 사이트에 대한 문서에 기업 '다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였고 다음카카오 문서는 2014년에 설립된 신규 기업인 것처럼 되어있었고 다음커뮤니케이션 항목은 원래 다음으로 넘겨주다가 다음카카오 합병 이후 다음카카오로 넘겨주기된 상태였습니다. 따라서 다음항목은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기업 틀과 기업 분류를 제거하면서 다음커뮤니케이션을 다음카카오로 넘겨주고 다음카카오는 1995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서술하는 것이 맞는 방향입니다. --바둑왕히카루 (토론) 2015년 6월 18일 (목) 10:36 (KST)
다음은 포털사이트로, 다음카카오는 법인으로 나눠놓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기업으로서의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어느쪽으로 하는게 좋을지는 모르겠지만요. -- ChongDae (토론) 2015년 6월 18일 (목) 10:39 (KST) 삭토 종결요청드립니다.위키백과:삭제 토론/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삭토가 열린지 여러 달이 지났음에도 아직도 종결되지 않고 있네요. 거의 방치되고 있더군요. 최근 이강철님께서 실시하신 백:다검을 참조하여 해당 토론에 다중계정을 동원한 사용자들의 발언을 삭제하고 나니, 현재 삭제의견이 유지의견에 비해 2배가량으로 많은 상태이고, 토론이 개시된지 매우 긴 시간이 지났으므로 이제는 관리자님께서 결론을 정리하고 토론을 종결지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해당 토론에 대한 관리자님의 종결선언을 요청드리는 바입니다. --61.72.193.238 (토론) 한편 동일한 결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므로, 타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문서들에 대한 일괄 삭제도 요청드립니다. 참고로 위키프로젝트:대학교에 따르면 각 대학교 하부조직(단과대학, 학과, 대학원 등)은 독립 문서화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타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문서들은 틀:대한민국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1.72.193.238 (토론) 2015년 7월 4일 (토) 08:33 (KST) Altostratus님 재선거 실시 여부에 투표 요청Altostratus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에서 다중 계정 문제 때문에 당락이 바뀔 수도 있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백:관리자 선거 절차에 의거하여 위키백과:관리자 선거/Altostratus/3/재선거에서 Altostratus님 관리자 선거를 다시 실시할 것인지 실시하지 않을 것인지 관리자간에 투표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여기서 기권과 중립을 포함하여 투표에 참여한 관리자 과반수 이상이 재선거에 찬성을 하게 되면 Altostratus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가 다시 열리게 됩니다. 이번 재선거에 대해 의견 부탁드립니다. ( 대량 메시지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콩가루 (토론)가 보낸 메시지)--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15년 7월 17일 (금) 21:13 (KST) 경영정보학 관련 내용경영정보학과는 보통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또는 Schoo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라고 표기합니다. Systems가 복수이거나 단수인 경우가 종종 차이가 있긴 하지만. 경영정보학으로 국내에 초창기에 생긴 두 학교의 학과 영문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한국외대: http://mis.hufs.ac.kr/ 국민대: http://mis.kookmin.ac.kr/ 간단하게 영문 위키피디아의 BI 페이지를 확인하셔도 MIS와 다르다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Business_intelligence 또한 미국 대학 및 전공 순위를 나누는 USNEWS에서도 경영정보학을 어떻게 표기하는지 확인 바랍니다. http://colleges.usnews.rankingsandreviews.com/best-colleges/rankings/business-management-information-systems 미국내 MIS 연구로 유명한 아래의 대학에서 MIS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확인 바랍니다. 분명 discipline 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http://community.mis.temple.edu/why-fox-mis/what-is-mis/ ----라쿤안산 (토론) 2015년 7월 30일 (목) 04:00 (KST)--라쿤안산 (토론) 2015년 7월 30일 (목) 04:08 (KST) 고등연구원 편집요청안녕하세요. 먼저 '고등연구원' 문서에 대한 편집제한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도 지리한 분쟁으로 지쳐가던 참이었습니다. 일단 고등연구원 토론란에 제 주장의 요지와 그 근거, 그리고 지금까지 분쟁이 진행된 과정을 정리해두었습니다. 그리고 관리자님께 편집요청을 드려놓은 상태입니다. 관리자님께서는 고등연구원 문서를 분쟁 이전 상태로 되돌려 놓으셨다고 했는데, 그 기준점은 제가 그 문서를 수정한 시점으로 잡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분쟁의 상대방인 '고한진' 사용자에게 문서 수정의 근거를 이미 밝혔고, 그 이후에 고한진 님이 별다른 반론 없이 문서를 수정 전으로 계속 되돌림으로써 이 분쟁이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일단 제 편집요청을 받아주시길 부탁드리고, 그 수정된 사항을 기준점으로 삼아 그 이후에 사안의 추이를 지켜보심이 좋을 듯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의견 부탁드립니다. --Spiniet714 (토론) 2015년 8월 11일 (화) 13:48 (KST)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29주#사:뿌잉뿌잉정소라 차단 요청에 올라온 요청을 확인하고 다중 계정으로 판단한겁니다.--116.120.228.44 (토론) 2015년 8월 15일 (토) 00:18 (KST)
This is a message from the Wikimedia Foundation. Translations are available. ![]() As you may know,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approved a new "Access to nonpublic information policy" on 25 April 2014 after a community consultation. The former policy has remained in place until the new policy could be implemented. That implementation work is now being done, and we are beginning the transition to the new policy. An important part of that transition is helping volunteers like you sign the required confidentiality agreement. All Wikimedia volunteers with access to nonpublic information are required to sign this new agreement, and we have prepared some documentation to help you do so. The Wikimedia Foundation is requiring that anyone with access to nonpublic information sign the new confidentiality agreement by 15 December 2015 (OTRS users have until 22 December 2015) to retain their access.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access to nonpublic information and are required to sign the confidentiality agreement under the new policy. Signing the confidentiality agreement for nonpublic information is conducted and tracked using Legalpad on Phabricator. The general confidentiality agreement is now ready, and the OTRS agreement will be ready after 22 September 2015. We have prepared a guide on Meta-Wiki to help you create your Phabricator account and sign the new agreement: Confidentiality agreement for nonpublic information/How to sign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experience any problems while signing the new agreement, please visit this talk page or email me (gvarnum Thank you, Posted by the MediaWiki message delivery 23:33, 15 September 2015 (UTC) • Translate • Get help 삭제된 문서의 로그 정보 요청이계덕 항목을 2007년, 2008년, 2012년에 생성한 사용자가 각각 누구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220.103.161.20 (토론) 2015년 9월 23일 (수) 19:13 (KST)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한 가지 사항에 대해 조언을 구하고자 토론란에 글을 올리는 것에 대해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난 몇 달 동안 김경욱 (노동운동가) 문서 관련해서 특정 내용에 대한 삭제 및 복구가 지속되었는데, 해당 내용을 삭제하는 사용자 측에서는 당사자임을 자처함과 동시에 법원의 판결을 근거로 내용의 삭제를 요청하였으며, 사랑방에서 사용자들의 의견을 모은 결과 일단 이 요청이 받아들여져 내용의 삭제 및 관리자 권한을 통한 보호 조치와 특정판 삭제가 진행되었으나, 뒤이어 반대 측에서 또다른 당사자임을 자처하며 내용의 복구를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제가 나름의 중재를 시도해보았는데 솔직히 제 스스로도 이 중재가 잘 이루어진 것인지 판단이 서지 않는데다 중재가 여의치 않을 경우 중재위원회에 해당 사안에 대해 중재 요청을 신청할 의향이 있어 현재 중재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신데다 고등연구실습원 등에서 중재 경험이 있으신 이강철님께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올리니 이에 대해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0월 20일 (화) 04:34 (KST)
@BIGRULE: 백:생존 인물의 전기에 따라 해당 사실의 재등재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을 토론:김경욱 (노동운동가) 문서에 남겼습니다. 정확히 어떻게 실명이 언급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이강철 (토론) 2015년 10월 20일 (화) 14:51 (KST)
중재요청위키백과:중재 요청/새 요청/2015년에 중재 요청을 신청했습니다.--210.117.76.175 (토론) 2015년 11월 8일 (일) 15:03 (KST)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토론:서독 문서에서 이강철님이 쓰신 글을 확인하고 답글을 쓰고자 합니다. 당초에는 이강철님의 의견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여 '제3의 공간'에 새 토론을 개설해보려고 했습니다만, 아무래도 문서명 변경 토론은 해당 문서의 토론란에서 하는 것이 위키백과의 일반적인 관례인지라 이에 대해 이강철님의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추가적으로 새 토론을 개설하게 되면 토론:서독에서 나온 의견처럼 동독 문서명 관련으로만 다룰지, 아니면 현재 총의가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서독 문서명에 대한 부분도 포함해 재논의할지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1월 14일 (토) 05:32 (KST)
요청 관련조금전에 고등학교 문서 이력 병합을 하셨는데, 제가 위키백과:문서 이동 요청/2015년 11월에 고등학교 문서 이력 병합 요청을 추가로 하였습니다. 해당 요청도 처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11월 18일 (수) 22:52 (KST)
27.101.138.66는 차단 회피자입니다.위키의 원칙상 차단 회피는 차단 대상에 속하며, 그 사용자의 경우 위키백과:관리자 알림판#드라마문서마다 훼손을 반복하면서 다중 IP를 악용해서 나타나는 27.101.138.66에서 언급된 내용을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다른 사용자의 말을 전혀 듣지 않은 사용자고 토론란에 토론을 시도하면 장난 등을 반복하는 사용자입니다.--116.120.228.44 (토론) 2015년 11월 18일 (수) 23:14 (KST)
을 통해서 IP를 바꿔가면서 문서 훼손을 하는 사용하는 IP 사용자에 대한 제재의 최소한의 근거가 있을뿐입니다. 따라서 차단을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근거가 모호하면 모호할 수록 관리자는 차단에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근거를 제시해 주시는 것은 사용자 여러분입니다. 무죄 추정의 원칙은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IP 사용자를 차단할 때 저 원칙을 기준으로 봅니다.--이강철 (토론) 2015년 11월 18일 (수) 23:30 (KST) 양혜승 문서 관련안녕하세요. 일전에 이강철님이 양혜승 (가수) 문서를 정리하면서 문서 역사 보존 목적으로 초안:양혜승 문서를 따로 보관해두셨습니다만 해당 문서는 토론 결과 존치시키지 않는 쪽으로 결론이 나서 일단 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18:00 (KST)
위키백과 15주년(백:15) 오프 모임 참가 관련위키백과 15주년 오프 모임 참가는 메타에서만 받나요? 한국어 위키백과는 그림이랑 디데이밖에 없어서 말이죠. -- 학생인 노닉 (토론|기여) 2015년 12월 7일 (월) 23:42 (KST)
표제어 변경 시 총의 형성 기준에 대한 문의안녕하세요. 항상 고생 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라 표제어 변경 시 총의 형성 기준과 관련해서 문의를 드리려고 합니다. 의학용어로 쓰이는 기관명칭 중 '-선(腺)'이 '-샘'으로 변경된 바 있습니다. 2001년에 나온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4집에서 보다 쉬운 이름으로 변경할 때 해당 기관 이름들을 바꾼 이유 중 하나로서, 접미어로 붙는 '선(腺)'이라는 기관 종류를 일컫는 이름이 어감상 선(線)과 혼동해 마치 사람들이 해당 기관을 줄 모양으로 생긴 기관이라는 오해를 낳는다는 것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의학용어5집 이후에는 기존에 쓰던 '-선'을 병용하는 쪽으로 갔습니다만, 최신판인 수정5집 기준으로 해당 기관의 파생용어는 병용하지 않는 걸로 확인됩니다. 예를 들어 '갑상샘'으로 검색했을 때는 '갑상샘글로불린(thyroglobulin)'과 같은 용어가 검색되지만, '갑상선'으로 검색했을 때는 기본적인 용어만 나옵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일상적으로 흔히 쓰이는 대표 용어만 병용을 허용했을 뿐 전반적으로 바꾼 용어를 쓰길 권장하고 있다고 봅니다. 현재 대부분의 갑상샘, 전립샘처럼 일상적으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기관명에 대해서는 표제어가 제대로 등록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흔히 접하기 힘든 기관명(바르톨린 선, 스킨 선, 염류선 등)이 일부 옛 이름으로 남아 있습니다. 제가 위에서 쓴 바와 같이 명백한 사유가 존재하고, 사용자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통일성을 이루지 못한 일부 표제어를 변경할 때에도 꼭 총의 형성을 해서 표제어를 바꾸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IMVrai (토론) 2015년 12월 18일 (금) 18:27 (KST)
방금 언급된 위키백과:전문 용어의 표기는 위키백과:확인 가능과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바탕이 되므로,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총의가 필요한 경우는 여러 사용자들 사이에 이견이 발생하는 경우로, 이렇게 분명한 출처에서 그렇게 표시하고 있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5년 12월 18일 (금) 18:37 (KST)
관리자를 언제부터 하셨는지??관리자를 언제부터 하셨는지...? 괜히 귀찮은거 물어봐서 죄송합니다. 마지막으로, 언제나 위키백과에서 좋은 활동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 S A (토론) (기여) 2015년 12월 31일 (목) 23:12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