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이강철/2019
안녕하세요혹시 콩고 관련 문서중에 콩고 왕국과 관련된 왕들 문서(콩고의 군주 목록)들에 관심 있으신가요? 비로그인자가 콩고 왕국의 왕 문서들을 만들었는데 이건 뭐 프랑스어도 아니고 포르투갈어도 아니고 영어도 아니고 기준없이 막만든 것 같아서요.. 이것들을 삭제시켜야하는지 방치해야하는지 고민이던 중에 자문을 구하려 합니다. Yoyoma88 (토론) 2019년 1월 11일 (금) 10:28 (KST)
비트코인 SV 문서삭제이게 광고라고 보긴 힘든거같은데 만약 광고라면 https://ko.wikipedia.org/wiki/%EB%B6%84%EB%A5%98:%EC%95%94%ED%98%B8%ED%99%94%ED%8F%90 여기 있는 문서들 전부 삭제해야될텐데요 https://ko.wikipedia.org/wiki/ACOIN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Jackflash77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_%EC%98%A4%EB%B8%8C_%ED%94%BC%ED%94%8C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0%88%EC%9D%B4%EC%B2%B4%EC%9D%B8 https://ko.wikipedia.org/wiki/%EC%9B%94%ED%8A%BC%EC%B2%B4%EC%9D%B8 이런건 진짜 광고; --BuildETH (토론) 2019년 1월 20일 (일) 16:58 (KST) Growth team updates #5Welcome to the fifth newsletter for the new Growth team! The Growth team's objective is to work on software changes that help retain new contributors in mid-size Wikimedia projects. New projects for discussionWe began the "Personalized first day" project with the welcome survey so that we could gather information about what newcomers are trying to accomplish. The next step is to use that information to create experiences that help the newcomers accomplish their goal – actually personalizing their first day. We asked for community thoughts in the previous newsletter, and after discussing with community members and amongst our team, we are now planning two projects as next steps: "engagement emails" and "newcomer homepage".
Initial reports on newcomer activityWe have published initial reports on each of the team's first two projects. These reports give the basic numbers from each project, and there are many more questions we will continue to answer in future reports. We're excited about these initial findings. They have already helped us define and design parts of our future projects.
Help panel deploymentThe help panel was deployed in Czech and Korean Wikipedias on January 10. Over the past four weeks:
We think that the 20% open rate and 50% click rate are strong numbers, showing that a lot of people are looking for help, and many want to help themselves by looking at help pages. The somewhat lower numbers of asking questions (especially in Korean Wikipedia) has caused us to consider new features to allow people to help themselves. We're going to be adding a search bar to the help panel next, which will allow users to type a search that only looks for pages in the Help and Wikipedia namespaces. How to create a good feedback page?What is the way to built a good help page? What blocks you when writing an help page? Your replies will help to create better help contents to newcomers, that would be used on Help panel. Growth team's newsletter prepared by the Growth team and posted by bot, 2019년 2월 13일 (수) 23:15 (KST) • Give feedback • Subscribe or unsubscribe. Growth team updates #6성장 팀의 6번째 소식지를 읽게 된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성장 팀의 목표는 중규모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새 사용자가 남도록 돕는 일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다음 3달 간의 목표지난 7개월 동안, 성장 팀은 더 많은 새 사용자가 편집을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기능을 개발해 왔습니다. 여러 진전이 있었고 많은 것을 배웠으며, 다음 3개월간의 작업에 대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다음 3개월 동안, 저희는 도움말 패널, 새 사용자 홈페이지에 집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에는 참여 메일을 시작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이미 시작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것이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성장 팀의 이번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 사용자 홈페이지![]() 처음으로 배포하고 개선할 버전에서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재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 기능을 테스트 중입니다. 추후 작업에는 홈페이지를 모바일에 맞게 개선하거나, 추천할 만한 작업을 보여주거나, 새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방문하도록 권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이 있을 예정입니다. 도움말 패널![]() 몇 달 동안, 도움말 패널은 한국어 위키백과와 체코어 위키백과에 더불어 베트남어 위키백과에 배포되었습니다.2019년 3월 14일 기준으로,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으며, 추후 몇 주 안에 수치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높은 수준에서, 일부 사용자는 링크를 클릭하고, 검색을 실행하며, 질문을 남기는 등 도움말 패널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도움말 패널과 관련해 알려진 문제점은 없습니다. 따라서 성장 팀은 도움말 패널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추가되는 데이터를 통해 수치화된 결과를 볼 수 있겠죠. 다른 위키에서 이 기능에 관심이 있다면, 성장 팀의 토론 문서에 연락해 주세요. 지난 몇 달 동안, 도움말 패널은 성장 팀이 관찰한 새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반영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첨부된 사진을 통해 현재 도움말 패널이 어떻게 동작하는 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새 사용자들이 "검색"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하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사용량이 많다면, 검색 기능을 개선하는 데 시간을 더 쓸 수 있겠죠. 도움말 패널을 "읽기" 모드에서 표시하는 것이 사용량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성장 팀이 준비하고 봇이 게시하는 성장 팀 뉴스레터 • 피드백 제공 • 구독 또는 구독 해제 2019년 3월 19일 (화) 03:19 (KST)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최근 콘서트에 세트 리스트를 추가하는 편집자가 있어서 그분과 토론을 나눴는데, 세트 리스트란 곡이나 영상의 순서 또는 배치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그런데 과연 위키백과 문서에 이러한 것들을 삽입해도 되는 지 의문인데다가 일부 소수의 콘서트 후기 작성자들이 위키를 참고한다는 이유로 해당 편집을 이어가시겠다고 말씀하시는데, 이것이 과연 옳은 편집 방향인지에 대해서도 저는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물론 제가 선입견을 가지고 보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정말로 이해가 되지 않아 글을 남깁니다. 좋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max (토론) 2019년 3월 31일 (일) 00:37 (KST) 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 리워드 관련 안내.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강철 님께서는 1점의 기여를 해 주시어, 책 한 권의 리워드를 받아가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련하여 책 선택 및 개인정보 입력 폼이 있으니 참고하시어 리워드를 받아가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최대한 이번 주 금요일까지 설문에 응답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Growth team updates #7성장 팀의 7번째 소식지를 읽게 된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성장 팀의 목표는 중규모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새 사용자가 남도록 돕는 일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새 사용자를 위한 홈페이지가 이번 주에 출시됩니다![]() 다른 성장 팀 기능과 마찬가지로 이 기능은 통제된 실험의 형식으로 배포되며, 따라서 새 사용자의 절반은 홈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고, 나머지 절반은 홈페이지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 기능을 가진 새 사용자는 PC 환경 (모바일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브라우저 상단의 사용자 이름 칸을 클릭함으로써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새 사용자들은 환경 설정에서 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새 사용자를 위한 홈페이지가 활성화되는 위키에서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미래의 홈페이지 개발이번 달에 홈페이지 기능에 개발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작 모듈"입니다. 이 기능은 새 사용자가 처음 무엇을 해야 할 지에 대해 명확한 할 일을 알려 줍니다. 이메일을 추가하고 확인한다던가, 튜토리얼을 완료한다던가, 사용자 문서를 작성한다던가... 이러한 기능에 대한 욕구가 존재함을 지난 달의 사용자 테스트에서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 홈페이지 기능 개발 우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가적인 모듈: 초기 버전은 간단한 모듈의 일부 기능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준비 중인 모듈에는 작업 추천 모듈과 위키의 활동 피드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른 변경 사항
성장 팀이 준비하고 봇이 게시하는 성장 팀 뉴스레터 • 피드백 제공 • 구독 또는 구독 해제 2019년 4월 30일 (화) 01:19 (KST) MMiller Test 16 cs님의 질문 (2019년 5월 3일 (금) 07:45)안녕하세요 이강철 -- 이것은 신인 집 홈페이지의 멘토 십 모듈 테스트입니다. 멘토가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MMiller Test 16 cs (토론) 2019년 5월 3일 (금) 07:45 (KST) Yshphj님의 질문 (2019년 5월 11일 (토) 21:26)사용자 이름을 바꾸거나 아이디를 바꾸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Yshphj (토론) 2019년 5월 11일 (토) 21:26 (KST)
Call for submissions for the Community Growth space at Wikimania 2019Welcome to a special newsletter from the Growth team! This special newsletter is not about Wikimedia Foundation Growth team projects. Instead, it is a call for submissions for the Community Growth space at Wikimania 2019. We think that many people who receive this newsletter may have something valuable to contribute to this space at Wikimania. We haven't translated the newsletter, because Wikimania's language is English. Please see below for the message from the organizers of the Community Growth space at Wikimania. --- Wikimania 2019 is organized into 19 “spaces”, which are all accepting proposals for sessions. This message comes from the team organizing the Community Growth space. Since you are interested b Growth team projects, and potentially involved in welcoming newcomers initiatives on your wiki, we would like to invite you to submit a proposal to the Community Growth space because of the actions you’ve done around newcomers on wikis. The deadline for submission is June 1. See below for Community Growth submission topics and session formats. Topics and sessions have to be in English. In the Community Growth space, we will come together for discussions, presentations, and workshops that address these questions:
Recommended topics: please see this link for the list for the list of recommended topics. If you do not plan to submit a proposal, you can also suggest additional topics here. If your topic does not fit into our space, remember that there are 18 other spaces that could welcome you sharing your knowledge and perspective. Types of session. We prefer sessions that are participatory, interactive, promote conversations, and give a voice to parts of our movement that are heard less often. Please see this link for the list of recommended session formats. Poster submissions. Posters are also a good way to introduce a topic, or show some results of an action. Please consider submitting one! Mor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ty Growth space, topics, and submission formats is available on the proposal page. Please submit your proposal. The reviews will happen at the beginning of June. If you have questions about Wikimania in general, please ask them on the Wikimania wiki. On behalf of the Community Growth leadership team, Trizek (WMF), 2019년 5월 16일 (목) 20:45 (KST) ROK Aviation Doctor님의 질문 (2019년 5월 27일 (월) 10:54)2001:56a:703f:1900:292d:8c72:9bfc:bc8 의 주소의 사용자가 주기적이며 계획적으올 항공문서에 장난식으로 파괴공작 편집행위를 하고 있어 복원을 시키는데 계속 본인의 토론문서에 협박과 욕설을 퍼붇습니다 해당 주소를 영구 차단시켜야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ROK Aviation Doctor (토론) 2019년 5월 27일 (월) 10:54 (KST) 새 사용자 멘토 프로그램 관련안녕하세요! 새 사용자 멘토로 자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 사용자의 문제가 다른 사람에 의해 해결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남겨진 모든 질문에 응답을 남겨 주시고, 새 사용자가 환영받는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새 사용자들은 위키백과의 절차, 방식, 관행에 익숙하지 않으므로 숙련된 사용자에게는 명백히 답이 되었거나 해결되었다고 보이는 일도 새 사용자에게는 그렇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새 사용자를 돕기로 해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revi (WMF) (토론) 2019년 6월 2일 (일) 02:22 (KST) Growth team updates #8성장 팀의 8번째 소식지를 읽게 된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성장 팀의 목표는 중규모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새 사용자가 남도록 돕는 일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5월에 여러 가지 일이 많아서 소식지가 늦어진 점에 대하여 사과드립니다. 일반적인 소식
새 사용자 홈페이지의 초기 성적![]()
새 사용자 홈페이지의 다음 목표![]()
팀의 미래
성장 팀이 준비하고 봇이 게시하는 성장 팀 뉴스레터 • 피드백 제공 • 구독 또는 구독 해제 2019년 6월 13일 (목) 18:02 (KST) 전정일(1971년)님의 질문 (2019년 6월 25일 (화) 16:19)안녕하세요 저는 배우로 활동중인 전정일이라고 합니다. 지난주 제 문서를 만들었는데 "2019년 6월 24일 (월) 10:54 Twotwo2019 토론 기여님이 전정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문서 등재 기준 미달: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 문서 등재 기준 미달 : 단역으로만 출연하였으며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언급되지 않은 인물) (감사 표현)" 이런 멘트와 함께 삭제가 되었습니다. 저는 단역배우 맞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네이버에 인물정보 등록이 되어있습니다. (전정일로 검색하면 검색됩니다.) 조금이나마 제 배우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사실에 입각해서 과하지 않게 문서를 만들었었는데 삭제되었습니다. 위키백과 인물등록에 해당되지 않나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전정일(1971년) (토론) 2019년 6월 25일 (화) 16:19 (KST) 전정일(1971년)님의 질문 (2019년 6월 25일 (화) 17:55)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아직 위키백과 토론방법을 몰라서 다시 질문을 드립니다. 저도 처음에는 주조연급만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저와같은 다른 단역배우들도 본인 위키백과 문서가 있어서 만들었었습니다. 심지어 네이버나 다음에 인물정보가 사람도 있었습니다. 누구인지는 개인적인 사항이라서 알려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분들은 다른 이유가 있는건가요 아니면 아직 관리자께서 모르셔서 그런건가요... 전정일(1971년) (토론) 2019년 6월 25일 (화) 17:55 (KST) 이정록님의 질문 (2019년 7월 2일 (화) 16:53)게시물이 올바르게 게시되었는지 수정이나 보완 문제가 있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문서 작성 후 검색에 이정록을 치면 동명이인인 다른 분만 검색이 되고 있는데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초보이니 자세한 가이드 부탁드립니다. 이정록 (토론) 2019년 7월 2일 (화) 16:53 (KST) Daumsoft님의 질문 (2019년 7월 4일 (목) 17:28)안녕하세요! 이제 막 위키백과를 시작하는 초보자입니다. 이것저것 도움말 살펴보며 신규 게시글을 등록하려는데 처음이라 어렵네요. ㅠㅠ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게, 제가 기업정보를 등록할 건데요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B%A7%88%EC%9D%BC%EA%B2%8C%EC%9D%B4%ED%8A%B8 이 링크처럼 우측 박스로 회사정보 요약(회사창립일, 소재지, 매출액, 사이트주소 등) 정보를 넣으려면 편집의 어느 툴을 이용해야 하나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aumsoft (토론) 2019년 7월 4일 (목) 17:28 (KST) 김뜐님의 질문 (2019년 7월 10일 (수) 21:56)폰으로 게시하는중인데 사진올리는법을 모르겠습니다. 김뜐 (토론) 2019년 7월 10일 (수) 21:56 (KST) 새 사용자 멘토 관련안녕하세요, 멘토 질문에 답변을 남기시지 않고 계시는데, 다른 일로 멘토 질문에 답변을 남기시기 곤란하시다면 이강철님이 새로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목록에서 삭제해 드리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revi (WMF) (토론) 2019년 7월 12일 (금) 22:58 (KST)
Growth team updates #9성장 팀의 9번째 소식지를 읽게 된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성장 팀의 목표는 중규모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새 사용자가 남도록 돕는 일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더 많은 위키에 성장 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성장 팀이 결성된 지 약 1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사용자를 유지하기 위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되는 여러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여전히 어떤 기능이 사용자를 더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모으고 있지만, 이제 몇몇 기능은 이 기능을 사용해보고 싶어하는 위키에 배포될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새 사용자를 환영하는 일에 열정적인 공동체가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해 주시면 적당한 위키인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체크리스트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절차를 시작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소식![]()
모바일 홈페이지와 초기 분석![]()
성장 팀이 준비하고 봇이 게시하는 성장 팀 뉴스레터 • 피드백 제공 • 구독 또는 구독 해제 2019년 7월 23일 (화) 23:26 (KST) 차단된 사용자에 대한 차단 재검토레비님과 이강철님이 관리자와 기록보호자 권한을 동시에 갖고 있어 찾아왔습니다. 사용자의 토론에서 기록보호된 문서와 이로 인한 사용자 차단에 대한 재검토를 부탁하려고 합니다. 해당 사용자는 비방 목적의 계정 생성과 인신공격으로 무기한 차단되었는데, 이것이 인신공격이었는지, 무기한 차단이 적절한지에 대해서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 기록보호자 권한이 없는 관계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없어 요청드립니다. --호로조 (토론) 2019년 8월 1일 (목) 21:37 (KST) Community Insights SurveyShare your experience in this survey Hi 이강철/2019, The Wikimedia Foundation is asking for your feedback in a survey about your experience with 위키백과 and Wikimedia.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learn how well the Foundation is supporting your work on wiki and how we can change or improve things in the future. The opinions you share will directly affect the current and future work of the Wikimedia Foundation. Please take 15 to 25 minutes to give your feedback through this survey. It is available in various languages. This survey is hosted by a third-party and governed by this privacy statement (in English). Find more information about this project. Email us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if you don't want to receive future messages about taking this survey. Sincerely, RMaung (WMF) 2019년 9월 7일 (토) 09:32 (KST) Reminder: Community Insights SurveyShare your experience in this survey Hi 이강철/2019, A couple of weeks ago, we invited you to take the Community Insights Survey. It is the Wikimedia Foundation’s annual survey of our global communities. We want to learn how well we support your work on wiki. We are 10% towards our goal for participation. If you have not already taken the survey, you can help us reach our goal! Your voice matters to us. Please take 15 to 25 minutes to give your feedback through this survey. It is available in various languages. This survey is hosted by a third-party and governed by this privacy statement (in English). Find more information about this project. Email us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if you don't want to receive future messages about taking this survey. Sincerely, RMaung (WMF) 2019년 9월 21일 (토) 03:29 (KST) Growth team updates #10성장 팀의 10번째 소식지를 읽게 된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성장 팀의 목표는 중규모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새 사용자가 남도록 돕는 일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소식
위키마니아에서의 성장 팀![]()
새 사용자 작업 --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성장 팀이 준비하고 봇이 게시하는 성장 팀 뉴스레터 • 피드백 제공 • 구독 또는 구독 해제 2019년 10월 3일 (목) 03:49 (KST) Reminder: Community Insights SurveyShare your experience in this survey Hi 이강철/2019, There are only a few weeks left to take the Community Insights Survey! We are 30% towards our goal for participation. If you have not already taken the survey, you can help us reach our goal! With this poll, the Wikimedia Foundation gathers feedback on how well we support your work on wiki. It only takes 15-25 minutes to complete, and it has a direct impact on the support we provide. Please take 15 to 25 minutes to give your feedback through this survey. It is available in various languages. This survey is hosted by a third-party and governed by this privacy statement (in English). Find more information about this project. Email us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if you don't want to receive future messages about taking this survey. Sincerely, RMaung (WMF) 2019년 10월 4일 (금) 06:26 (KST) 바벨도서관님의 질문 (2019년 10월 7일 (월) 06:22)안녕하세요 금년 처음 위키백과를 참여하였는데 아직 서툴러 어렵네요 잘 부탁드려요 사용자문서는 의무적으로 만들어야 되나요 또 언제 사용되나요? --바벨도서관(토론) 2019년 10월 7일 (월) 06:22 (KST) 안녕하세요.다중계정 악용자 Shavvkattiss 관련 기록을 보다가 이강철님께 큰 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발견해서 알려드립니다. Shavvkattiss의 다중계정인 Gasdfasdfasafda가 2019년 6월에 범죄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했었는데요. ([1]) 사진 설명인 'pictureofdoctor'라는 문구를 보면 그저 그런 훼손 행위라고 넘어갈 수도 있는데 파일의 이름(Captureofado)과 파일 설명에 적어 놓은 저자명, 그리고 업로드한 계정의 이름까지 종합적으로 보면 이강철님을 범법자로 묘사하려는 의도가 있던 것 같습니다. 지금 닉네임이 본명이 맞으시다면 실명과 얼굴이 공개된 상태에서 당한 일이라서 —비전문가의 조심스러운 추측입니다만— 피해자 특정성을 포함한 사이버 명예훼손의 모든 구성요건을 만족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이미지 업로더가 위법행위를 저지른 것 같다는 뜻입니다. 이 업로더(물론 이 계정도 Shavvkattiss의 다중계정으로 추정됩니다)가 악랄한 점이, 대놓고 묘사한 것이 아니여서 나중에 'ado는 그걸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그런 뜻으로 사용하지 않았다.'라고 주장할 수 있도록 빠져나갈 여지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래서 일단 이미지에 대한 증거(물리적 증거 및 디지털 증거)를 충분히 따로 저장해 두시고, 삭제 신청을 하시는 것이 좋겠다는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180.64.230.38 (토론) 2019년 10월 17일 (목) 01:56 (KST)
안녕하세요위키백과토론:비자유_저작물의_공정한_이용#흠...에 흐지부지하게 종료되었던 논의와 관련하여 결론을 내기 위해 토론을 다시 개설하였습니다.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Youngjin (토론) 2019년 10월 22일 (화) 02:28 (KST) CU 통계 관련이강철님,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의견을 여쭙고 싶은 것이 있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현재 기록보호자는 위키백과:기록보호자/통계를 통하여 도구 사용의 수를 명시하고 있는데 체크유저는 그러한 통계가 없습니다. 과거에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적도 있지만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논의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체크유저는 2013년부터 시작되었던 만큼 2019년 10월까지의 총 횟수를 통틀어서 표기하고 이후부터 월마다 갱신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는데, 우선 이러한 통계를 내는 것 자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습니다. 그 이후에 사랑방에서 논의를 시작하든 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Sotiale (토론) 2019년 10월 29일 (화) 20:13 (KST)
진행되지 않은 다중계정 검사에 대해서Sotiale님께서 다른 사무관이 존재한다고 하셔서 송구스럽지만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다검에 존재하는 종코와 ahn suh jun 계정의 다중계정검사가 진행되지 않아 문의를 드립니다. 두 사용자는 다른 유저들도 언급했듯이 틀:몽골의 역사[2]에 나타나고 ahn suh jun의 경우 계정 생성일이 12일인데 3일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갑자기 다검 총의에 나타나 찬성을 한 것을 보아, 동원계정의 의심이 됩니다. 1.같은 문서에 나타나서 동일의 편집 2.생성된지 며칠 지나지 않은 계정, 3.그 계정이 3일이 지나지 않아 총의에서 찬성. 지금까지 다검이 진행된 양상을 보면 이러한 연관성만으로도 충분히 다검이 진행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양념파닭님 등 다른 사용자들도 언급하였지만 종코가 편집하는 틀:몽골의 역사에는 종코 주관적인 역사왜곡의 문제가 존재합니다. Zlzleking님도 말씀하셨듯이 종코 계정의 편집 양상을 보면 고의적으로 왜곡된 내용으로 상대방을 자극하고, 분쟁을 일으키는 성향이 있습니다. 또한 현재 틀:한국사에 한국사를 식민사로 역사왜곡하는 반달이 일어났는데, 반달을 행한 계정은 프록시로 틀:몽골의 역사에 일어났던 역사왜곡, 비하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서는 인종의 차별이나 비하적인 행위가 없어야 하고 어느 나라 사람이던 중국인이던 차별되거나 비하되면 안 됩니다. 본인도 동의합니다. 그래서 관리자분들이 중국 비하 글은 위키백과 정책에 인종 비하는 용납되지 않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중국에 의한 해외 국가 역사 왜곡 또는 비하 글 작성 특히 이번에 일어난 틀:한국사처럼 한국인에 대한 거짓된 비하에 대해선 관리자님들은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어쨋든 한국 위키백과를 가장 많이 보는 사람들이 한국(Republic of Korea)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203.226.208.136 (토론) 2019년 10월 31일 (목) 22:33 (KST)
Growth team updates #11성장 팀의 11번째 소식지를 읽게 된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성장 팀의 목표는 중규모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새 사용자가 남도록 돕는 일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소식
도움말 패널 결론![]() 도움말 패널은 2019년 1월에 처음 새 사용자에게 배포되었으며, 이 기능의 영향을 평가하는 작업이 최근 종료되었습니다. 짧은 설명이 아래 제공되며,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 (영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새 사용자 작업 배포![]()
성장 팀이 준비하고 봇이 게시하는 성장 팀 뉴스레터 • 피드백 제공 • 구독 또는 구독 해제 2019년 11월 19일 (화) 00:02 (KST) 당신을 위한 반스타!
오래된 초안 문서 삭제 예정 알림안녕하세요. 이강철님이 만들었던 초안 문서 초안:한국SF컨벤션 2018 등이 6개월 이상 개선이 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습니다. 편집 작업이 1년 이상 이뤄지지 않고 방치된 초안 문서는 삭제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혹시나 삭제를 원하지 않는다면 사소한 편집을 통해서나마 문서를 고쳐주세요. 혹시나 이 안내를 늦게 보아, 문서가 이미 삭제된 경우라면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을 통해 문서 복구를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Choboty(사:ChongDae) 2020년 1월 6일 (월) 17:22 (KST) 이정록님의 질문 (2020년 1월 10일 (금) 15:24)안녕하세요 이정록 입니다. 현재 제 정보들을 어느 누군가가 손을 대서 저를 명예훼손하고 있습니다. 수고스럽지만 이를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정록 (토론) 2020년 1월 10일 (금) 15:24 (KST) 이정록님의 질문 (2020년 1월 11일 (토) 02:11)동명이인이 있어서 글이 서로 충돌하는 것 같습니다. 이강철 선생님 서로 충돌하지 않고 두 사람의 글이 동시에 게제되게 할 수는 없을까요? --이정록 (토론) 2020년 1월 11일 (토) 02:11 (KST) 중국여성의 해외성매매 황당한 삭제 처리 항의합니다(위키백과:삭제 토론/중국 여성의 해외 성매매) 급조한 토론말고 장기간 이어지던 기존 토론 다시 정독 부탁드립니다
~~
어떠한 주제가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경우 위키백과에 등재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주제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없거나,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면, 그 주제는 독립된 문서로 둘 수 없으며, 삭제되거나 다른 문서에 병합될 수 있습니다
어떠한 주제도 단지 그것이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저절로 혹은 원래부터 등재되지는 않습니다. 증거가 있다는 것은 어떤 주제에 대해 중요하고 독립적인 보도나 인식이 있다는 뜻이고, 이것이 단지 일시적인 관심이 아니며, 홍보 활동의 결과이거나 무분별한 대중성도 아니며, 그 주제가 어떤 다른 이유로 인해 부적절해서도 안 된다는 뜻입니다.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 출처에는 동료들의 검토를 거친 알려진 출판물, 신뢰할 수 있고 권위 있는 서적, 평판이 좋은 미디어의 보도, 기타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일반적으로 포함됩니다.
문서 등재 기준 부합 여부을 평가하려는 편집자는 어떤 문서에 현재 명시된 출처뿐 아니라, 비록 현재 문서에서 명시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문서 등재 기준 부합 여부을 드러내는 출처가 존재할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문서 등재 기준은 독립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적합한 출처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할 뿐이지, 그 출처를 즉시 제시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기준 충족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삭제는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합니다.만약 어떤 문서가 그 주제에 대한 등재 기준을 충족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충분한 출처를 인용하지 못한다면, 직접 출처를 찾아보거나 다음과 같이 해 주세요.문서의 작성자나 그 주제에 관한 전문가에게 도움을 얻어서[8] 어디에서 출처를 찾을 수 있는지 물어보세요.
~~ 과거 제가 해명한 부분이고 이 시점으로 삭제 의견은 아예 없었고 토론 상대방도 병합 의견 밖에 없었고 거의 유지측이 의견을 마무리 한채 몇개월 지났는데 예전 저를 모함하던 어떤 유저가 새토론을 열었고 어디서 본토론에는 잘 보이지도 않던 유저들이 짧은기간 갑자기 대량으로 모이더니 어이없이 삭제하셨습니다. 질문있습니다. 1.문서 유지 의견측이 수개월간 장기간 총의를 모았을때는 운영자들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더니 부적절한 토론 태도 및 일방적으로 저를 모함하던 유저가 급조해서 발제한 토론은 불과 일주일만에 아무런 검증없이 총의로 인정하고 갑자기 삭제했습니다. 운영자로서 중립 위반 아닌가요? 2.운영자님 본인역시 해당 문서에 남성우월주의라는 단어를 쓰셨던데 제가 기여한 어떤 부분이 남성우월주의라는 건가요? 제가 기여한 부분은 논문에 나온 객관적인 사실 서술관계 뿐입니다. 악의적으로 장난친 유저가 쓴 부분만 도려내면 될 것을 제 문서까지 삭제한 사유를 알고 싶습니다. 위키백과 규정과 규친 근거로만 답변을 받고 싶고 다시 복구 요청 별도로 드리겠습니다.Geography1234 (토론) 2020년 1월 13일 (월) 22:47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