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95016maphack/보존1
파일:VIDA records Logo.jpg 등..두 번 이상 기묘한 삭제 신청을 해 주시는 것으로 보아 단순 실수는 아닌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 파일 삭제 신청을 해 주실 때에는 공용에 위치한 파일인지를 꼭 확인해주세요. 파일:VIDA records Logo.jpg 의 경우 로컬에는 파일이 없는데 삭제 신청 틀을 다셔서 로컬 입장에선 파일이 없는 파일 이름공간의 문서가 생성되었는데, 그와 동시에 내용이 삭제 신청이 되어버린 경우입니다. 세 번 정도 본 것 같아서 삭제 신청해 주시는 데에 도움이 되시길 하면서 글을 남겼습니다. --Sotiale (토론) 2014년 1월 1일 (수) 01:51 (KST)
편집시 중립성 원칙을 준수하여 주십시오.정치적으로 상반된 양쪽의 입장을 가장 잘 묘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편집하여 주십시오. 그렇지 않을 경우 다른 선의의 편집자들로 부터 강력한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차단과 되돌리기 남용으로 논점을 흐리고, 논쟁을 회피하는 행위는 모든 편집자들로부터 인정받을 수 없음을 경고합니다. 편집자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행위일 뿐이므로, 선의의 편집행위를 다른 편집자들로부터 인정받고 싶다면, 해당 논쟁으로부터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의견을 피력하여 동의를 구하시기 바랍니다. 특정 사상의 강요는 있어서도 안되고, 앞으로도 존재하지 말하야 할 일순위임을, 다른 편집자들의 눈을 통해 확인 받으시기 바랍니다. 본 토론이 예고없이 삭제 될 경우, 의도적인 회피로 간주하고 다시 한번 강력하게 사용자 관리 요청 절차를 시작하겠습니다.119.193.1.110 (토론) 2014년 1월 1일 (수) 19:39 (KST)
조금만 읽어보면 수호전의 등장인물임을 알 수 있지 않나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2일 (목) 11:17 (KST)
정부답변에 대한 질문정부가 보낸 답변은 해당기관이 인정한 유권해석으로서의 효력을 가지겠죠? 만약 정부답변을 근거로 위키백과 내에서 대책을 수립했는데,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답변은 정부의 공식입장이 아니라 해버리면 문제가 될 텐데 정부답변의 법률적 효력이 인정되는지 혹시 아시나요? -Привет(토론) 2014년 1월 2일 (목) 20:15 (KST)
위키프로젝트:성소수자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위키프로젝트: 성소수자에 새 제안이 올라왔습니다. 관심 있으실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 :) --포탈 (토론) 2014년 1월 2일 (목) 23:58 (KST) 더 쉴드 등삭제 신청 전에 문서를 살릴 수 있는지 한번 더 살펴봐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3일 (금) 16:05 (KST) 119구조대원도 소방관이라고 하나요? 119화재진압대만 소방관으로 보고 나머지는 그냥 소방직 공무원(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소방관 문서로의 병합은 119라는 말이 한국의 구급, 구조, 화재진압대만 가리키는 말이어서 병합을 해야한다면 대한민국의 소방관쪽으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Привет(토론) 2014년 1월 3일 (금) 21:48 (KST)
되돌리기모르고 팝저씨님의 되돌리기를 제가 다시 되돌렸군요.. 죄송합니다. --StarryKnightOnline 2014년 1월 5일 (일) 14:23 (KST)
이 계정이 생성되있지 않아 사칭 위험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 계정을 생성하시는것을 권유드립니다. (이렇게 이야기했다 곧 반달 올지도...)--분당선M (토론) 2014년 1월 6일 (월) 07:44 (KST)
구익균 문서에서 타 사용자와 되돌리기 분쟁중이신 것 같은데, 단지 형식이 마음에 안든다고 해서 기여를 몽땅 되돌리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습니다. 설명없는 되돌리기만 반복해서는 피차 감정만 상할 뿐입니다. 토론 문서에서 토론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동일한 내용을 해당 사용자의 토론에도 남겼습니다. --10k (토론) 2014년 1월 9일 (목) 10:46 (KST)
다른 의견들을 쭈욱 읽어보니 삭제 요청을 잘하시는거 같습니다.이유가 무엇입니까?--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전재일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좀더 자세히 알아봐주시기 바랍니다.자신에 관련한 정보를 올리면 그게 홍보가 된다는 주장은 확대해석입니다. 저명성은 네이버 인물정보를 참고하였으며 네이버 검색광고(searchad.naver.com) 검색 추이를 보시면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전재일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귀하께서는 지금 정보를 직접작성한 것에 대해 비난하시는 겁니까? 저를 아는 지인 혹은 3자가 제 내용에 대해서 쓰는 것에 대해서는 수용하시겠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전재일
이해관계에 있는 지인이 아닌 제 3자가 쓴 내용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금 귀하께서 하시는 말씀을 읽어보면 저명성 문제와 자기홍보 이 두가지를 문제 삼고 계시는거 같습니다. 저명성은 충분히 설명 드린 것 같으며, 자기홍보에 대해서도 만일 이해관계가 없는 제 3자가 제 정보에 대해 글을 쓴다면 그것은 홍보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나 당사자가 직접 쓴다면 홍보로 간주하신다는 말씀입니까? --전재일
홍보성과 정보성은 어떤 식의 구분을 두고 삭제요청을 하고 계십니까? 링크가 아닌 자신의 생각을 피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키는 중립을 중요시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귀하의 행동에는 주관이 많이 개입되어 있습니다.--전재일
이것은 저명도에 따라 네이버 인물정보에 입각하여 해당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것이지 홍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홍보의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4803&cid=40942&categoryId=31766) 스스로의 생각이나 계획 ·활동 ·업적 등을 널리 알리는 활동을 통칭하여 홍보라고 하나 해당 페이지에는 계획이나 활동, 업적에 관한 내용이 아닌 인물에 대한 순수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를테면 신상내역 같은 것입니다. 저명도가 문제 되지 않기에 해당 인물에 대한 신상과 같은 정보는 위키백과에 유익합니다. 이것을 개인적 주관에 따라 해석하며 위키 정책을 운운하는 것은 모순입니다. 즉, 위키백과의 괴롭힘 정책에 위배되며 괴롭힘정책은 홍보금지규정에 상위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Wikipedia:HARASS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재일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문서가 삭제되었는줄은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문서 삭제와 사용자 괴롭힘이 다르다는 것에는 저도 당연히 동의합니다. 다만 문제 되지 않는 문서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괴롭힘과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전재일
이것은 개인적으로 궁금한 내용입니다.네오알파님의 사용자 토론 페이지를 쭈욱 흝어보면 굉장히 많은 이슈들이 있고 많은 사람들에게 이를테면 비의도적인 또는 의도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또한 해당 문제에 대한 토론을 개진해 나갈 때, 문제화하여 다투고 있는 곳의 페이지 토론이 아닌 네오알파님의 사용자페이지에서 주로 토론하기를 더 즐겨하시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건 어떤 개인적 경향의 문제가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전재일
기분이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동일하게 글이 남겨져 있는데도 굳이 여기에만 글을 남기는 것에 의문이 들어 해소 차원에서 여쭤본 것이니 너무 노여워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제 입장에서라면 충분히 궁금해할만한 내용이 아니겠습니까? 원치 않으시는거 같으니, 더는 개인적 경향과 관련하여 물어보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전재일 정정보도 건에 대한 대법원 일부환송대법원에서 파기 된게 아니라 다시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일부)가 되어 결국 문화방송 측과 합의 되었습니다.--LovelyRB (토론) 2014년 1월 9일 (목) 17:22 (KST)
판결문의 결론 부분에는 일부 부분만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해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후 합의가 되었습니다.--LovelyRB (토론) 2014년 1월 9일 (목) 17:32 (KST)
장길자 생애에 대하여안상홍씨와 1984년에 결혼을 했다는 사실은 근거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안상홍씨가 설립한 하나님의교회 성도들은 안상홍씨와 장길자씨가 혼인사진을 찍은것은 퍼포먼스로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때문입니다.--자유시간 (토론) 2014년 1월 10일 (금) 14:14 (KST) 토막글새로운 토막글 추가를 위해서는 위키프로젝트:위키백과 토막글/제안을 통해 먼저 제안된 뒤 승인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참고로, 틀:토막글/그림/중화민국의 경우 현재 틀:토막글/그림/타이완에 넘겨주고 있으며, 분류:타이완에 관한 토막글이 이미 존재합니다. --ted (토론) 2014년 1월 12일 (일) 14:45 (KST)
저명성 틀{{저명성}}을 {{풀기:저명성}}과 같이 풀어서 쓰시면 날짜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출처 필요}}, {{중립 필요}}, {{독자연구}}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랩소디인뮤직 (토론) 2014년 1월 14일 (화) 00:03 (KST)
삭제신청을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와 한국디자인지식학회의 관련 글들을 지속적으로 삭제신청을 하고 있는데, 글의 내용을 다듬고 보완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수정을 위키백과의 규정에 맞지않는다면서, 재차 삭제신청을 하는것은 작성자의 노고가 장난으로 보여서입니까? 구글이나 위에글들에서 찾아보면 삭제신청을 많이 하시는것으로 보이는데, 위의 내용중 "지침과 정책에 맞게 삭제를 신청하는 것입니다. 저명성이 모자르거나, 선거운동을 위한 홍보 목적의 문서, 장난에 의한 편집 등입니다. 귀하가 만든 문서에 있어서는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내용과 저명성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있어 삭제 신청을 하였습니다."에 과연 제가 작성한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와 한국디자인지식학회의 글 내용 어디가 위키백과의 규정에 삭제신청을 당할정도로 위반이 크게 되었는지 알고싶습니다.
로이킴씨의 위키글에 논란이라는 항목이 왜 들어가야 하나요?지금 있는 논란항목에 표절에 관한 글은 한쪽으로 치우쳐진 의견입니다. 실제로 로이킴씨가 방송에서도 여러번 공동작곡가의 존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일부 언론에서 과장되게 보도를 한것과 어쿠스틱 레인이 공공연히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며 오히려 정서적으로 갑의 입장였던건 주지의 사실입니다. 지나치게 안티의 시점에서 뜬금없이 논란을 넣는거도 황당하군요. 위키가 아닌 다른 곳에서 다뤄도 될 내용이라고 보아지며 안티가 의도적으로 편파적인 기사만 짜집기해 놓은 글을 삭제 하는것인데 왜 그러시나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ㅇㅈㅁ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Sjsws1078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하지만 내용 자체가 아주 편파적이고 어쿠스틱 레인만 잔뜩 변호한거 밖에 없는데요?ㅇㅈㅁ (토론) 2014년 1월 15일 (수) 21:48 (KST)
하지만 논란글 자체가 저는 불필요하다고 봅니다 저 항목이 갑자기 안티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아주 불순하게 생긴 겁니다 여튼 나중에 저를 신고한다가 하지는 마십시오 ㅇㅈㅁ (토론) 2014년 1월 15일 (수) 21:52 (KST)
삭제의 대안은 찾아보셨나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15:41 (KST)
이 문서에 대한 저명성 판단 부탁드립니다. 맘대로 {{ㅅ|저명성}}를 붙이자니 영 내키지 않네요.--커뷰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16:15 (KST)
토론 문서의 삭제 요청그냥 토론 문서를 비우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을까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17:21 (KST)
삭제 대상인가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17:28 (KST) 어떤 점에서 독자연구라는건지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17:30 (KST)
광고성 내용이 있다면 편집으로 해결되는 것 아닐까요? 데뷔한 음악 그룹을 삭제해야 할 이유로 부족합니다.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17:40 (KS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라는 문서에서 있었던 사건에 대하여제가 질문 좀 해도 되겠습니까? 성향이 좌파라시면 북한의 인터넷 홈페지인 내나라가 온라인쇼핑코너를 운영하고 있다는 내용은 전혀 상관할 바가 아니라고 생각하시는데, 자기 기분대로 그 내용을 왜 삭제했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Bluegrap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22:37 (KST)
그럼 팝저씨 선생님께 양보할 것이 있는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문서에서 특이하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사건을 뽑아서 집필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Bluegrape (토론) 2014년 1월 16일 (목) 22:57 (KST)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해당 문서는 국방항공용 실시간운영체제 NEOS의 사용자설명서입니다. 해당 문서는 여러분들의 참조자료용으로 관련 내용의 토론은 가능하나, 문서의 수정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Jerry9888 (토론) 2014년 1월 17일 (금) 17:01 (KST)
Talygen 문서 삭제 신청 관련위 문서를 삭제 신청하셨던데 해당 문서의 작성자 Thokara님은 기여 목록을 볼 때 우리말에 서툰 외국인(한자 문화권)인 것 같습니다. 영어판에도 똑 같은 제목의 문서를 남겨놓았던데 장난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삭제 보다는 저명성 요구나 문서 개선을 요청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만...Jsung123 (토론) 2014년 1월 17일 (금) 19:43 (KST)
저작권법 질의 진행상황지난 번에 정부에 질의하시겠다고 하신 내용들에 대한 답변은 돌아왔는지요? 일주일이 지났습니다만 아무 말씀이 없어서 진행상황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답변이 도착하는데 꽤 오래 걸리나보죠?? -Привет(토론) 2014년 1월 17일 (금) 22:14 (KST)
당신을 위한 맥주!
잘못된 제목?[2]의 제목이 잘못되었다 판단되면 삭제 신청을 하지 마시고 문서 옮기기를 해 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22일 (수) 11:15 (KST)
새 문서사용자:ChongDae/새 문서에 위키백과에 최근 올라온 500개 새 문서에 대한 정리를 매 시간마다 봇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Neoalpha 님의 작업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아직 서툰 사람을 대할 때는 백:쫓을 고려해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22일 (수) 19:27 (KST)
관리자에 대해서왠지 이것저것 생각하다가 지금 위키백과에 관리자가 한 분쯤 더 계셔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추천하실 만한 분이 있으신가요?——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4년 1월 23일 (목) 22:34 (KST)
열심이시네요~
특삭 신청에 관하여이런 경우는 민감한 개인정보가 있는 판이므로 사무장에게 오버사이트를 요청해야 합니다. 제가 했습니다. by 레비ReviDiscussSUL Info at 2014년 1월 26일 (일) 22:29 (KST)
세종대왕신도비 관련세종대왕신도비 문서에 제가 기여한 부분은 서울특별시 고시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 주석에 이를 표시하였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해당 문화재에 대한 설명도 동 고시 내용을 인용한 것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다고 보시나요? 문제가 없으면 되돌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Nosu (토론) 2014년 1월 27일 (월) 09:15 (KST)
쓰르라미 울 적에의 등장인물입니다. 삭제 신청 전에 찾아보셨나요?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27일 (월) 14:45 (KST)
헐... 제가 번역을 그렇게 못했나요? 사람이 번역한 건데... 혹시 어색한 부분 있으면 고치겠습니다. 마음껏 지적해주세요. --Nt (토론) 2014년 1월 29일 (수) 21:35 (KST) Tip사:Neoalpha#.... 이건 도저히 모르겠는데요?: AWB를 켜고, 아래 우측의
최신 정보들을 업데이트 하는데... 계속 삭제 당하는 이유는?뭡니까?? 광고라기 보다는 단체에 대한 자세한 소개라고 생각되는데요?? 평화문제연구소
115.91.33.19 (토론) 2014년 2월 3일 (월) 18:01 (KST)그럼 위키백과에서는 모든 자세한 정보는 다 삭제하나요? 대중적이지 않다고 생각해서 그런 건가요? 그 기준은 무엇인가요??
정중히 사과합니다.저는 전두환 항목에 분명히 1955년 임관해서 1958년에 이르러서야 중위로 진급했다는 내용을 확인했고 베트남 파병당시 암거래라는 단어 역시 확인해서 그것을 기반으로 작성했을 뿐입니다. 그럼에도 계속 내용이 삭제되어 전사모로 의심했습니다. 하지만 님이 전사모가 아니라고 밝히시니 사과합니다.61.82.160.32 (토론) 2014년 2월 4일 (화) 21:02 (KST)
+--변군식 (토론) 2014년 2월 4일 (화) 22:29 (KST) 변안렬의 문서를 삭제하여서는 안된다는 의견을 다음과 같이 기술합니다. 그간 위키백과에 있던 변안열의 열자는 시조께서 사용한 변안렬 이 아니며, 현재 원주변씨 문중에서 사용하는 글자가 아닙니다. 시조의 함자는 변안렬이며 이는 역사자료인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의 국역본에도 나와 있습니다. 또한 원주변시 족보에도 변안렬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위키백과 사전이 역사적인 사실을 기록하고 공신력있는 지식의 백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변안렬의 문서를 공식 문서로 하여야 한다고 말하는 바입니다.
제 번역이 너무 이상한가요? 기계번역 아니라 직접 참여 하고 있습니다. 이상하거나 지키지 않은점이 보인다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Young Rok Li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저도 어제 그 사실을 확인해서 지금 수정 작업하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__)--Young Rok Lim (토론) 2014년 2월 6일 (목) 09:01 (KST) +안녕하세요 신고처리하신 '고희범'문서 편집했는데.. 내용중 어떤 부분이 광고의 성격을 띠고 중립성을 훼손했는지 설명해주시면 철저히 고치겠습니다. 물의를 일으켜 죄송합니다 --27.100.243.252 (토론) 2014년 2월 6일 (목) 17:54 (KST)
답변감사합니다. 하지만 지방선거에 고희범 후보의 경쟁자로 출마선언한 '신구범' 후보문서의 (산업이라곤 감귤인 제주의 농업 대표작목을 품질과 가격경쟁 체제에 맞서는 경쟁력으로 인식을 뒤바꿔 놓았다. 제주도민들은 무소속으로 출마한 그를 1995년 민선 1기 6·27선거에서 그의 열정에 압도적 지지로 표를 몰아줬다.[1][2]무소속 지사였지만 사실 자신은 '제주도민당' 소속이라고 부르짖던 그는 자치단체론 처음으로 먹는샘물 제주삼다수를 상품화했고, 제주국제컨벤션센터를 일궈냈으며, 내친 김에 관광복권도 발행했다. 세계 섬들의 연대를 내건 '섬관광정책포럼'을 창설하더니 급기야 1998년 7월 '제1회 세계섬문화축제'를 열 수 있도록 만든 주역도 그였다. 지금도 연간 수백억~수천억에 이르는 제주도의 경영수익은 그 시절 그의 도전이 이뤄낸 결과다. ) 라는 홍보성 항목, 그리고 같은 당에서 출마를 선언한 '김우남' 의원의 문서에도 경력 항목이 그대로 노출되어있는데, 왜 고희범 후보의 문서만 신고처리되었는지도 공정성 여부를 여쭙고싶습니다.
+Mercuryjune (토론) 2014년 2월 10일 (월) 11:19 (KST)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서 여기에 글을 쓰네요. 한일협약까지 굳이 언급안해도 그때가 일제 강점기라는 건 저도 압니다. 단지 근대사의 극히 일부분인 그 시점에 태어난 것을 굳이 일본 국기까지 써가며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감정적인 의문이 저는 좀 강하게 드네요.
신안군 문서 편집에 대해신안군 문서 편집에 대해 제게 경고를 하셨는데, 제가 편집한 내용을 한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특산물에 노예라고 되있는 거나 다만 노예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같은걸 삭제하고 김머중 - 제15대 머한민국 머통령을 김대중 - 제15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올바르게 고친건데 그게 왜 문서훼손입니까?--J6avxnga (토론) 2014년 2월 11일 (화) 14:51 (KST)
트릭아이 미술관에 관하여위키백과 등재를 위하여 트릭아이 미술관에 관하여 글을 작성하던 중 삭제 신청을 받았습니다. 저명성이 부족이 그 이유였으나 트릭아이 미술관은 2010년 개관 이후 연간 약 40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미술관이자 관광명소입니다. 2012년 한해에만 20만명 이상의 해외 관람객이 미술관을 방문하였습니다. 어떠한 기준에서 저명성의 부족을 언급하였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삭제 신청의 취소를 부탁드립니다.--106.244.178.83 (토론) 2014년 2월 12일 (수) 15:09 (KST)
죄송합니다만 이해가 잘 가지 않아 질문 드리겠습니다. 현재 올린 한 문단에는 '홍보, 선전, 선동, 광고'가 포함되지 않는 사실을 적었다고 생각합니다. 또 마지막에 주석으로 신문 및 뉴스를 참고하려고 하였습니다. 롯데월드, 서울랜드, 에버랜드와 같은 곳과 어떻게 다른 것인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위키백과에 등재될 만한"은 무엇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것인 궁금합니다. --106.244.178.83 (토론) 2014년 2월 12일 (수) 15:24 (KST)--106.244.178.83 (토론) 2014년 2월 12일 (수) 15:24 (KST)
트릭아이 미술관은 그 미술관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의 공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미술협회 공문은 "트릭아이 미술관이 미술관으로서 역할과 가치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관한 내용으로 1, 2, 3의 이유를 들며 본 미술관이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 2조 2항의 '문화예술 발전과 일반대중의 문화향유 증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또 제 2조 4항의 예술적,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작품들을 전시 및 운영하고 있는 미술관임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트릭아이, 즉 착시를 이용한 미술기법인 Trompe l'oeil의 교육적 효과 및 과학적 원리는 이미 증명된 바가 있음을 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예,Scientific American Mind- Scientific American Oct/Nov 2008 p.20-23). 트릭아이 미술관은 사단법인으로부터 미술관임을 확인 받았고, 저희가 다루는 전시작의 장르 역시 학술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더불어 여행서 및 사진관련 잡지에 게재된 적이 있습니다. 다시 한번 검토 부탁드리겠습니다. --106.244.178.83 (토론) 2014년 2월 12일 (수) 16:47 (KST) 어제 답변을 기다렸으나 답변이 없었고, 오늘 확인을 해보니 본인이 위키피디아에 '트릭아이 미술관'으로 등록하려 했던 글을 "관인생략"님께서 이미 삭제하셨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진행되어 가고 있는것인지 설명해 주십시오. --106.244.178.83 (토론) 2014년 2월 13일 (목) 10:08 (KST) 상위 분류 제거?어젯밤 장차관 문서 등에서 봇을 돌리신 걸 보니 아마 상위 분류 문제로 해당 분류를 제거하신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확실히 '대한민국 oo부'와 '대한민국의 장관급(혹은 차관급) 공직자' 분류는 '대한민국의 oo부 장관(혹은 차관)' 분류의 상위 분류이긴 합니다만은1 이 사항을 너무 융통성없게 적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국회의원 분류에 속하는 문서를 보면 이들은 정치인 분류에 속하는 것이 이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법무부 장관 분류에 포함되는 문서들이 보통 법무부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저는 상하위 분류의 경우, 무조건 그런 관계에 있다고 제거하기보다는 하위 분류를 가지는 문서들이 상위 분류를 가져도 이상하지 않은가, 이상한가를 따져서 상위 분류를 제거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어찌 생각하시나요? -- 黑흑메기Sjsws1078 (토론·기여) 2014년 2월 13일 (목) 08:55 (KST)
겨울왕국 글에 대하여자꾸 겨울왕국 문서에서 줄거리를 삭제하시는데 왜 지우시는건지요? --ryush00 (토론) 2014년 2월 14일 (금) 20:02 (KST)
추가:현재까지 겨울왕국 줄거리 문단 수정의사는 없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확인이 늦은 점 사과드립니다. Logicless (토론) 2014년 2월 25일 (화) 11:18 (KST) 신안군 염전 섬노예 사건출처 없는 것 제외하면, 금방이면 찾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왜 되돌리시는 거죠?--Reiro (토론) 2014년 2월 15일 (토) 15:26 (KST)
공감함. 가장 처음 글에는 내가 인용을 하였슴. 하지만 무턱대고 다 지웠음. 이것은 큰문제. 그쪽이 되돌리기 계속하니까 나도 빠른 되돌리기 위해서 인용뺌. 문제는 최초로 내가 적었을때 인용을 계속함. 하지만 계속 되돌리기로 지움. 그래서 나도 빠른 되돌리기를 위해서 인용 뺌. 저사람이 되돌리기 중단하면 다시 인용 넣을 생각이였음. 지금 처럼. (현재 인용 다되어있음)
감사합니다. Reiro님 올바른 지적이십니다. 근데 아마 이것도 다 지워질꺼에요. 내 사용자 토론와서 분탕치는건 어떻게 설명할래? 내가 지운걸 당신이 계속 올리자나. 그러면 나도 똑같이 당신이 당신 사용자토론와서 지우는거 계속올리다. 내 사용자 토론에 내가 지운걸 당신이 계속 올리면 나도 당신 사용자 토론에서 당신이 지우는것 계속 올린다. 똑같은 것임.
아니 그러면 내가 이 컴퓨터만 사용해야하는 법이라도 있니? 나는 외출하면서 안사니? 나는 학교 컴퓨터나, 공공 와이파이나 그런것 안쓰니? 한사람랑 한 아이파만 사용하라는것은 무슨 논리니? 여기가 전체주의국가니? 위키피디아의 정신을 해치지마라
가입하고 안하는건 내자유다. 내 의사결정권을 침해하지마라. 너 강요 싫어하데. 지금 니가 강요하고 있는거야 가입하라고. 난 가입할 의사가 지금은 없다.
Reiro님 알겠습니다. 반말 중단하지요. 하지만 이사람 보면 섬노예사건 수정 테클거는 이유가 계속 바뀝니다. 당신이 다른사람한테 신안노예사건 테클건 이유 어떤 커뮤니티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것을 우연히 목격했소. 이사건 계속 조사하다가. 이유가 그때그때 바뀌더라지요? consistent하지 않고? 뭔가 시사하는바가 많소만?
그래서 내가 인용을했자나요? 당신의 판단을 이때까지 보면 입에 안맞으면 무조건 고치는 이상한 논리로 행동하는것 같소만? 어떤 커뮤니티 사이트보니까 신안군 섬노예사건을 계속 수정하려는것 같던데 그때그때마다 이유가 같지 않고 계속 다르더만? 그건 어떻게 설명할꺼요? 주소라도 주오? 이것은 당신의 의도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많소. 아니 그리고 사건에 팩트(fact)만 적었는데 무슨 중립성을 논하오? 아 당신 생각이랑 다르면 다 틀린거지?
금방적은건 "유동"닉인 저구요, Reiro님말씀에 따라 이제 그만하렵니다. 마지막으로 다양성을 중시해주세요. 민주사회에서.
부탁 몇 마디
경찰청 틀에 대한 의견 정리Priviet입니다. 팝저씨님께서 물으셨을 때 다른 부처처럼 경찰청 틀에 경찰서 이외의 산하기관이 많을 거라고 생각이 들어서 경찰서 부분을 제거하고 두 틀을 유지하자는 생각이었는데 다시보니 경찰서 이외 링크는 거의 없네요... 착각으로 인해 섣불리 답변했네요. 의견을 바꾸겠습니다. 근데 삭제보다는 틀:대한민국의 소방관서도 있고 하니 대응하는 차원에서 틀:대한민국의 경찰관서는 넘겨주기 처리했으면 좋겠습니다. -Привет(토론) 2014년 2월 15일 (토) 17:46 (KST)
오클랜드 대학교 (미국) 삭제 신청해당 문서를 광고의 이유로 삭제 신청하셨는데, 되돌렸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문서가 백:편집을 지키지 않고 텍스트로만 있었지만, 광고 문서는 분명 아닙니다. --Namoroka (토론) 2014년 2월 15일 (토) 19:48 (KST)
해당 문서 내용에는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사용례도 포함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계급으로 바로 병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이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Привет(토론)
캐릭토라마 항목에 대한 저명성 부족 삭제 요청에 대해서 궁금합니다.해당 자료는 뉴스를 통해 보도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권단체인 휴먼아시아에서 교육에 활용한 자료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검색만 해봐도 나오는 자료를 왜 저명성 부족이라고 삭제 요청을 하셨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모르는 위키백과의 다른 룰이 있나요?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0:57 (KST)
반갑네요. 네이버 모바일로만 검색하시고 그 결과를 신뢰 하신다니 정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네요. 네이버의 검색 정책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 정말 궁금 합니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출처 라고 말씀 하셨는데 뉴스 보도를 신뢰하실 수 없다는 말씀 인가요?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1:20 (KST)
제가 네이버 이야기를 한것은 네이버의 검색 정책에 대한 논평을 원하는것이 아니었습니다. 프레임을 교묘하게 비트는건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위키백과'를 사용하시는 분께서 네이버의 검색 결과만을 가지고 이야기를 하신다는 것이 조금은 믿기 어렵군요. 그리고 어째서 제가 그 증거를 직접 제공 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위키백과는 관리자의 승인을 득한 후 내용을 채워 나가는 그런 권위적인 곳인가요? 스스로 찾아 볼 수 없나요? 여러모로 납득할 수 없는 처사로군요.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3:44 (KST)
? 저명성 문서에는 문서를 생성하는 사람이 그것을 입증하라는 말이 없는데요?
음... 입증에 대한 책임과 출처에 대한 조언은 조금 다른 표현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하는 '출처'와 저명성에서 이야기하는 '출처'가 많이 다른거 같은데요. 저명성에서 이야기하는 출처를 조금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 해주실 수 없을까요?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8:49 (KST)
저명성에 대해 대단히 엄격하게 취급을 하시는거 같네요. 그렇다면 위키에서 요구하는 '저명성을 증명하는' 것들이 없다면 무조건 해당 게시물은 삭제가 되는 건가요?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9:08 (KST)
그럼 만약 삭제된 후에 저명성을 충족할만한 그런 근거가 나타 난다면 해당 글은 '복구'가 되는 건가요? 아니면 '새롭게 작성' 되는건가요? 제가 질문이 너무 많은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위키에 무언가를 쓰는건 처음이라 잘 부탁 드립니다.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9:18 (KST)
또 다른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저명성 항목을 보면 저명성을 찾는 {저명성}과 저명성 부족으로 인한 삭제 요청 두가지가 있던데요. 보통 저명성이 부족해 보이면 먼저 찾아 보고 그다음 삭제를 하는건 아닌가요? 바로 삭제 진행을 한다면 저명성이 부족합니다 찾습니다 뭐 이런건 필요가 없지 않나 해서요 Kalbulim (토론) 2014년 2월 20일 (목) 10:43 (KST)
고맙습니다. 친절 하시네요. 또 다른 질문이 있습니다. 본문의 내용에 상관이 없이 문서의 대상이 저명성이 부족하다면 그것도 삭제의 대상이 되나요? 예를 들자면, 예입니다. 공자의 논어에 대한 주석서 같은 상황 말입니다. 39.118.41.34 (토론) 2014년 2월 20일 (목) 12:37 (KST)
교육지원청 토론 문서위키프로젝트:교육틀도 다는 것이 좋지 않나요.--다이나모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5:38 (KST)
해당 파일의 역사를 제대로 좀 확인해보십시오. 어떤 IP 사용자가 해당 파일에 장난으로 생성돼 있길래 삭제 신청하였는데 갑자기 문서가 비워져 있어서 다시 되돌린 것 뿐입니다. 그리고 해당 파일은 위키백과 공용 파일과는 중복된 겁니다. --222.112.184.253 (토론) 2014년 2월 19일 (수) 16:56 (KST)
천안함 침몰 사건제 기여를 돌린 사유가 어떻게 되나요? 해당 문서에서 합동조사단의 결론을 대한민국의 주장이라고 한정되게 서술해야만 한다는 당위를 규정한 토론이 있나요?--Grampus (토론) 2014년 2월 23일 (일) 15:55 (KST)
에스페란토 문법 문서에 문제가 있는 부분을 적어 주세요.최근 제가 편집하고 있는 에스페란토 문법 문서에 정리 필요 틀을 추가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정리가 필요한지 토론 문서에 추가해 주세요. Pseudepinephrine (토론) 2014년 2월 26일 (수) 17:35 (KST) 정치 프로젝트 토론 문서에 참여정치 프로젝트 토론 문서에 열린 위키프로젝트토론:정치#대한민국 정당 문서 정리에 참여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아드리앵 (토·기) 2014년 3월 2일 (일) 17:01 (KST)
김광진 기여김광진 (1981년)의 의정활동을 지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susemi99 (토론) 2014년 3월 3일 (월) 17:42 (KST)
You've got mail!
— by 레비ReviDiscussSUL Info at 2014년 3월 3일 (월) 19:23 (KST)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고려)에 문서에 관하여안녕하세요 사용자:아리엘황제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고려)에 문서가 훼손이 되 있던것 같은데 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들어올거라고 예상을 하였지만 실제로 일어나고 말았네요. 제가 이 문서를 삭제 하였을때도 중립성이 문제가 되어 잠시동안 삭제요청을 하였고 삭제후 1달간 다시 글을 완성 시켰는데 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들어왔다고 하여 보니 사용자:개혁경향님이 뉴스엔조이에 나온 기사들로 작성 하셨습니다. 또한 사용자:개혁경향님이 저 문서 가지고 저에게 법적으로 고소까지 한다고 하시니 어이는 없지만, 사용자:개혁경향님이 올리신 뉴스기사도 역시 편파적인 기사가 있다보니 제가 저 기사에 대한 것을 쓰지 않았는데 좀 걱정됩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고려) 문서를 보호 할 수는 없을까요? --아리엘황제(토론)아리엘황제 2014년 3월 4일 (화) 20:55 (KST)
포항공과대학교 영재기업인교육원 문서에 대한 삭제 신청 이의포항공과대학교 영재기업인교육원 문서의 삭제 요청에 대한 이의가 있습니다.
하지만 포항공과대학교 영재기업인교육원문서의 토론에 남겨놓은 사유와 같이, 학교의 부속기관이 아닐 뿐만 아니라 저명성이 없는 기준이 모호합니다. 덧붙여, 사용자토론 내용을 잠시 보았는데 혹시나 자세한 조사나 객관적 자료 없이 개인적인 기준으로 저명성 여부를 판단하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Uwtrmi (토론) 2014년 3월 10일 (월) 22:31 (KST) 예진상사 기업정보안녕하세요 Neoalpha님^^ 예진상사 문서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편집에 동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예진상사 온라인 서비스 담당자로서 올바른 기업정보를 아주 간.단.하.게 FACT그대로 제공하고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Neoalpha님의 심기를 거스르게 했나요? 오늘도 건승하세요! 소프로시네 2014년 3월 11일 (화) 13:24 (KST)
임정엽 문서당장 네이버에만 쳐도 지방 기초단체장이라 떡하니 나오는, 저명한 인물입니다. 삭제하려는 이유가 뭔가요?--Reiro (토론) 2014년 3월 12일 (수) 16:28 (KST)
조선인조후궁이씨?인조 44권, 21년(1643 계미 / 명 숭정(崇禎) 16년) 4월 17일(경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pa_12104017_001&tabid=k&mTree=0&inResult=0&indextype=1 조 귀인(趙貴人)이 총애를 독차지하자 (후궁 이씨)가 원망을 품고 애향 등으로 하여금 저주하게 한 것이다. 대개 조씨를 해치려는 속셈이었다고 하는데, 사실은 조씨가 스스로 저주하여 이씨를 모해하기 위한 것이었다고도 한다. 인조 44권, 21년(1643 계미 / 명 숭정(崇禎) 16년) 7월 16일(정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pa_12107016_001&tabid=k&mTree=0&inResult=0&indextype=1 하였다. 정민은 곧 (상궁 이씨이다). 국가의 명령은 반드시 정원을 통해 나와야 하는데 정민 등을 사사하라는 명을 곧장 내수사에 내려서 금부에 이첩하여 시행하였으므로 이를 들은 자는 모두 놀라고 한탄하였다 따라서, 그녀는상궁이다,숙원아니다 66.65.3.28 (토론) 2014년 3월 16일 (일) 08:31 (KST) 조선인조후궁박씨 이 사람이없는.인조 6권, 2년(1624 갑자 / 명 천계(天啓) 4년) 5월 7일(경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pa_10205007_001&tabid=k&mTree=0&inResult=0&indextype=1&keyword=%E6%9C%B4%E6%85%B6%E6%96%B0+%E6%B7%91%E5%84%80 임성지(任性之)·권여경(權餘慶) 등은 이미 강상(綱常)의 죄가 아니고, 또 재직한 사람 중에도 대가를 호종하지 않은 자가 많은데 박경신(朴慶新)만을 거론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숙의(淑儀)의 아비이기는] 마찬가지인데 논열하는 것이 고르지 않으니, 어찌하여 이렇게 가감이 있는가?” 하였다. 이때 홍매(洪邁)는 후궁의 아비로서 세력을 믿고 탐욕을 부린 것이 권여경 등보다 심하였으나 대관(臺官) 중에 돌봐 주는 자가 있어 발론되지 않았으므로 이 분부가 있었다. 상이 또 이르기를, 숙의(淑儀)의 아비이기는 을 참조권여경과홍매. 권여경는 광해군후궁숙의홍씨의 아버지,홍매는 광해군후궁숙의홍씨의 아버지. In English, why they accuse 박경신 only because (those people) who accuse him are 숙의's father. (Those people)are 권여경 and 홍매. There is no evidence shown that 박경신's daughter is 숙의66.65.3.28 (토론) 2014년 3월 16일 (일) 08:40 (KST) IRC에 관하여
IRC에서 위 질문을 보고 답변드립니다. 보통은 조용합니다. 혹시 대회를 하고 싶으시다면 "Shino-chan"이나 "Sakurako" 등을 불러주세요. 다 저입니다. 일본 애니캐릭터 같은 이름은 다 저니까 그냥 불렀을 때 제가 있으면 이야기를 할 수 있죠. --콩가루 (토론) 2014년 3월 16일 (일) 22:46 (KST)
답변 및 인사경찰항공대의 생성 여부에 관해서는 서술할 내용이 많으면(발전 가능성이 높으면) 생성하시고, 그렇지 않으면 너무 자잘한 문서는 많들지 않아도 될 듯 싶습니다.(팝저씨 님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군에 입대하게 되어 향후 1~2년 남짓은 뵈기 힘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지난 동안은 팝저씨 님(구 neoalpha)과 논의하고 위키백과상에서 만날 수 있어서 즐거웠습니다. 제대한 후에도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팝저씨 님께서 다른 불량(?)사용자들이랑 부딪치시는 일도 많아서 그러다 회의감을 느끼고 떠나시지는 않을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휴가 나오면 가끔 들어오겠습니다.-Привет(토론) 2014년 3월 17일 (월) 23:37 (KST)
법무법인 화우에 관하여일단 법무법인 화우에 관한 글이 광고가 아니라는 점부터 알려 드립니다. 위키 백과에 있는 대한민국의 유수 로펌 중에서 위 곳에 관한 내용이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작성되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법무법인 화우에 관한 글 중 어떤 부분이 광고성 글이라고 보시는 거죠? 어떤 특정 부분이 광고성이 있다고 지적을 해주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싶네요. 다른 로펌인 법무법인 광장이나 법무법인 바른에 비하여 l법인에 관한 내용이 많은 것도 아니며, 허위나 과장이 들어 있는 글도 아니었는데요? 광고성을 따지자면 광장이나 바른과 같은 로펌도 동일한 기준으로 형평성 있게 비교를 해야 한다고 봅니다.--Glovecar (토론) 2014년 3월 18일 (화) 00:36 (KST) 일단 귀하께서 위 로펌의 내용에 관하여 잘 모르시는데 다른 사람들이 알 필요 없는 쓸데 없는 많은 내용이 들어 갔다고 보시는 듯 해서 대폭 삭제를 했습니다. 법무법인 김신유의 경우에는, 법무법인 화우가 법무법인 김신앤유를 흡수 합병하였고, 법무법인 김신앤유는 김장리에 이어서 설립된 가장 오래된 펌 중 하나였기 때문에, 법무법인 김신앤유가 백과사전 항이 있을 뿐이고 아무런 내용이 없어서 합병에 관한 내용을 넣었던 것인데 일반인이 잘 모르는 저명성이 없는 내용이라고 보시는듯 해서 아예 내용을 지워 버렸습니다. 현재 위 로펌은 흡수 합병으로 없어진 펌이고, 저명성까지 없으니 그 내용을 사람들이 알 필요도 없겠죠. 그냥 검색에서 없애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죄송합니다만 문제되는 점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위 문서들과 법무법인 화우의 문서의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대폭 수정은 되었는데 현재에도 문제가 된다고 보시는지요?--Glovecar (토론) 2014년 3월 18일 (화) 01:20 (KST) 해당 토론에서 3RR 이상 되돌리기를 하다가 해당 편집자가 토론을 하기 위해서 작성한 것이라 하여 제가 일단 되돌리기를 중단하였습니다. 팝저씨님이 관련 안내를 많이 해봤을 것으로 생각되오니, 제가 해당 사용자에게 토론으로 안내하였으나 제 의견이 제대로 전달되었을지 모르므로 시간되신다면 향후 주시 후 토론에 작성된 글을 수정할 수 있게 안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커뷰 (토론) 2014년 3월 20일 (목) 12:47 (KST)
전남외국어고등학교 연혁안녕하세요. 이제 막 위키피디아 사용법을 배워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 얼마전에 전남외국어고등학교에 연혁을 추가했었는데, 되돌리기를 하셨더라구요. 이유를 좀 알 수 있을까요?? -- Kjeongeun (토론) 2014년 3월 20일 (목) 18:57 (KST)
+팝저씨님이 가입자 인사에서 절 무시했어요. 너무 하세요. 상처 받았뜸.--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무슨 상관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당, 팝저씨님! 팝저씨 아저씨는 좋은 사람이었군요. ^^ 또 놀러 오께염 ㅎ 무슨 상관 (토론) 2014년 3월 21일 (금) 09:01 (KST) 오태석
편집만 맡고 있기에 위키백과에 등재한 최초의 목적은 어떠한지 모릅니다. 아마 저 역시 팝저씨가 생각하시는 것에 동의합니다. 다만 저명성 및 위키백과 등재, 기타 전반적인 온라인상 선거법을 저 역시 전부 알고 있지 않기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문의를 하였으며, 그에 대한 답변을 받는 즉시 조치토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Ohtaesuk (토론) 2014년 3월 22일 (토) 16:59 (KST)
어떠한 점이 문제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Ohtaesuk (토론) 2014년 3월 22일 (토) 18:18 (KST) 되돌리기 남용 자제하세요.분류:건국훈장 수훈자는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의 중복입니다.--112.162.125.151 (토론) 2014년 3월 25일 (화) 10:37 (KST)
네피림안녕하세요 네피림에 대한 백과사전 내용을 변경하셔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Neoalpha님께서 되돌리신 내용은 사전에 등록 될수 없는 내용 입니다. 1. 창세기 네피림 이후 노아의 방주 사건 이후로 네피림들 또한 사라졌습니다. 민수기 등에 나오는 네피림과 동등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2. 네피림이 하나님의 아들들 이라고 하셨는데 이는 천사들과 사람이 결혼하여 낳은 자식이라는 전제하에 세워진 가설 입니다. 그러나 천사는 결혼을 하지 않는다고 신약에는 표기 되어 있습니다. 3. 하나님의 아들 이라는 단어는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을 성경은 말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신약에 표기 되어 있습니다. 4. 희년서는 외경으로 성경과 달리 그 시대의 소설로 보는 관점이 더욱 많습니다. 그리고 구약과 신약은 서로 대조,비교 과 되는 방면 희년서나 에녹서는 기본 성경과는 다릅니다. 희년서 같은 경우는 그 시대의 소설이라고 할 만큼 비 성경적이며 희년서에 대한 반박 49가지 등의 논문이 나오면서 제가 알기로는 80년대 이후 부터 희년서를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같은 내용으로 이전의 네피림 등재를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리자이신가요?대승불교양우회 관련 내용은 문서훼손 목적이 아니라 단체의 요청에 의해 삭제 편집한 것입니다. 예전 제 아이디(Muchack)로 작성했는데 패스워드(메일 미입력)를 분실하여 현재 계정으로 편집 한것이며, 관리자이시면 해당 문서를 제목 포함하여 영구적으로 삭제 요청드립니다. 단순한 저작권 차원이 아닙니다. 다른 목적은 없습니다.
삭제 틀{{삭}}에서 원 출처의 url은
조전혁 교수에 대한 글이 너무 주관적입니다.객관적인 것만 올려야하지 않을까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ooceo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웹 컨텐츠 관련 저명성 정책위키백과토론:저명성 (웹 컨텐츠)#정책화에서 저 정책을 통과시키려는 토론을 진행중입니다. 현재도 그러신지는 모르겠지만, 님이 응원하는 크레용팝 관련해서도 웹 컨텐츠가 상당하므로 (어이 패러디라거나) 그 부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책입니다. 참여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iro (토론) 2014년 4월 5일 (토) 10:17 (KST) 틀:대한민국 육군과 틀:대한민국 공군둘러보기 상자 틀의 "내용속성 = hlist" 기능을 무의미하게 하면서 유지보수하기 어렵게 되돌리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hlist 기능을 따르면 용량이 커지지만, 유지보수는 꽤 쉽습니다만... --NovemberBlue (토론) 2014년 4월 5일 (토) 18:05 (KST)
당신을 위한 쿠키!
프로이트가 말한 전조작기 발달과정토론 내용 중 우연히 '프로이트가 말한 전조작기 발달과정'이라는 언급이 있어서 그러는데 저같은 관련 학문 비전공자가 알기 쉽게 자세히까지는 말고 간단하게만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커뷰 (토론) 2014년 4월 12일 (토) 21:39 (KST)
유니폴리 관련제가 방금 정말 황당한 일을 겪었고, 일단 님도 저와 같이 활발한 대응을 나서므로 제보를 합니다. 제가 활동하던 카페에서 광상희(gmfrrrkd) 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사람한테서 공격을 당했는데, 그 이유가 자신을 공동체를 좀먹고 있는 벌레라고 칭하였답니다. 이 발언은 제가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Unypoly로 의심되는 사용자에 대한 검사 요청에서 발언한 내용입니다.
이것을 유니폴리가 봤나 봅니다. 해당 글은 이 곳, 이 곳, 이 곳, 이 곳의 글 내용과 댓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유니폴리임을 인증하는 꼴이 되었습니다. 찾아보니 위 아이디는 이미 위키백과:사랑방/2010년 제24주#7월 오프모임이 있긴 한가요?에도 언급됨이 확인되었습니다. 아주 골치아픕니다.--커뷰 (토론) 2014년 4월 16일 (수) 20:47 (KST)
평내중학교 문서 삭제 관련양식에 맞추어 쓰지않아서 삭제 당한것 인가요? 맞추어 쓰었는데 왜 삭제 당한건지 궁금하고, 학교 연혁은 또 왜 지우셨는지 궁급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Butstory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기여해주신 명단에 대해 삭제 신청을 하였습니다네오알파님이 기여해주신 명단에 대해 삭제를 하고 일부 특정판 삭제 신청하였습니다. 토론:세월호 침몰 사고 참고 부탁드립니다. --아드리앵 (토·기) 2014년 4월 17일 (목) 22:04 (KST)
IRC귀하랑 하고싶은 말이 있어서 말이죠..##DangSunM접속에 접속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4월 21일 (월) 21:43 (KST)
아래 두글에서 3자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참여부탁합니다.
팝저씨님께
틀:반론 안녕하세요. 아직 위키백과 사용법을 모두 숙지하지 못해서, 문서경고를 보내시기에 관리자인지 오인하였습니다. 현재 제가 이의를 가지고 있는 문서를 열심히 사수하시는 사용자셨는데, 몰라뵙고 실례되는 질문을 드렸네요. 죄송합니다. 여기까지 방문한 김에 한마디 드리고 가겠습니다. 비중립적이라는 이유로 삭제를 신청한 것이 아닙니다. 다시 한번 더 삭제 신청 이유를 말씀 드리지요. 왜곡, 허위, 분쟁의 소지, 저명성 부족, 명예훼손, 비방, 독자연구 등등 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B%80:%EC%82%AD%EC%A0%9C_%EC%8B%A0%EC%B2%AD 삭제신청 안내에 들어가니 이유로 적을 수 있는 예시가 있던데 그 중 반 이상이 해당 되더군요. 이렇게 많은 이유가 있는데 "이유없이" 라고 하시니, 참으로 유감일 따름입니다. 또 말씀 하신 "여러 언론을 통해 입증 된 내용"이라 함은 MBC피디 수첩을 지칭하는 것인지요? 피디수첩 외의 언론에서는 모두 긍정적으로 다루어진 적 밖에 없기 때문에 그 말씀에는 동의 할 수가 없네요. 해당 문서는 저명성 부족한 일개 프로그램을 출처로 삼고, 독자연구로 상당수 부분을 작성한 허위 문서에 가까우므로 수정 혹은 삭제를 요청하며 이에 대한 더 정확한 반론들은 해당문서 토론방 7번 글을 통해 충분히 논증 [reasoning, 論證] 해두었으니, 부디 좀 제대로 읽으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남의 글은 읽지 않고 자신의 주장만 하는 것은 초등학생 보다 못한 토론방법인 듯 합니다. 토론방 7번글에 하나하나 반증을 대며 삭제불가 이유를 대시기 바랍니다. 또한 상대의 기분을 배려하지 않은 '재밌다'라는 감정적 표현은 분쟁으로 이어지기 쉬운 표현이니 조금 더 성숙하게 토론에 임해주시면 좋겠습니다.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0:54 (KST)
그렇게 초등학생처럼 말장난하시는게 진정 재미나신 모양입니다.. 일개 잡담거리가 아닌 하느님의 사업에 관련된 일이니 부디 來世를 두려워 할 줄 아시기 바랍니다. 토론방 7번글에 아무런 논박이 없습니다. 논박이 없으면 해당문서의 문제점을 인정한 것으로 알겠으니, 하나하나 반증을 대며 삭제불가 이유를 대시기 바랍니다.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1:50 (KST)
팝저씨님께 부디 하느님 축복이 내리시길 기도하겠습니다. 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3:06 (KST)
안녕하세요 삭제토론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백과사전에 하느님 사업을 등재시켜 달라는 뜻이 아니였습니다. 아무리 온라인이지만 팝저씨님의 무례한 태도에 개인적으로 한 말일 뿐입니다. (해당 문서 토론란이 아니라 팝저씨님 개인 토론란이기에 그렇게 말 할 수 있었던 것이지요) 아무튼, 아직 위키백과 이용이 서툰 제게 친절히 설명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님께도 하느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길 빕니다 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3:06 (KST)
저는 이전에 팝저씨(네오알파)님께 무례한 언사를 한 기억이 전혀 없습니다. 아니 님 뿐 아니라 그 누구에게도 무례한 언사는, 온라인 상 기본 에티켓이므로, 한 적이 없습니다만, 무엇을 착각하시거나 아니면 음해? ... "되도 않은 이유" "떼쓰다" "재밌다" 이런 표현이 바로 무례이고 감정을 상하게 하는 초등학생 말장난입니다. 님의 입장에서는 되도 않은 이유이고 떼로 보이고 간혹 재밌어도 보이는지 모르겠지만 없는 이야기를 지어서 유포하고 그것을 사실인냥 포장하는 모습을 보며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사람은 이세상에 단 한사람도 없답니다. 무튼 저의 모든 말에 발끈하시니 더이상 님과 말씨름 하지 않겠습니다. 밤이 늦었습니다. 잠이나 주무십시오. 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3:52 (KST)
하하하 일초만에 되돌리기 하는것이 네오알파님이셨군요! 전 아이디를 확인을 잘 하지 않아서 정말 몰랐습니다ㅎㅎㅎㅎㅎ.. 헌데 저 말이 어찌 무례라는 말씀인지요??? 편집을 하면 몇 초 안에 되돌리기가 되었고, 아무런 이렇다할 이유도 없이 문서훼손 경고를 날리며, .. 다 사실이 아닌지요??? 위키백과 사용이 서툰 제게는 그것이 참으로 신기했고 당연히 문서가 보호가 되어 그런 줄 알았는데, 관리자님 말씀이 시스템이나 보호가 아니라시기에, 헉, 그럼 사람사용자란 말이냐?! 하고 화들짝 놀라고 있지를 않습니까? ㅎㅎㅎㅎ 사람이 어떻게 그렇게 24시간 어느때든 상시 문서를 되돌리기 하는지, 문서 편집 시도하는 우리들 보고 비정상이라더니 그것이야 말로 정상이 아닌 것 같다 라는 것이 무례한 말인지요? 그 대단한 스킬에 감탄하는 말이외다 ㅎㅎㅎㅎ 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4:07 (KST) 헌데 뒷 부분은 지금 협박이신건가요? 정말 온라인이라고 너무 막말을 던지시네요.... 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4:09 (KST) 관리자가 분명 아니라고 하셨는데, 모든 문서를 어찌 이리 꿰뚫고 계시는지요?? 그리고 정말 어떻게 실시간으로 문서 되돌리기를 하시는지 참으로 궁금합니다. 위키백과 사용법을 좀 알려주시겠습니까?
ㅎㅎㅎ 버스 잡고 싶은 생각 없습니다. 차단을 하던 뭘 하던 편하신데로 하세요 위키백과 사실 미련도 없고, 뭐 여기 못들어 온다고 해서 제 삶에 변화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ㅎㅎ 꺼리길 것 전혀 없으니 ㅎㅎ.. 단지 한번도 본 적 없는 사람이 왜 이렇게 내게 협박을 하고 화를 내는지 그것이 마음이 아플 뿐이네요... 우리가.. 개인적인 원한이라도 있는지요?.... 한 문서를 두고 의견이 나뉘고 있을 뿐인데, 왜 그렇게 기분 상해하시고, 감정적 표현을 하시며 잘 발끈하시고, 무슨 말에도 화를 품으시는지.... 저는 누구와도 싸우고 싶은 생각 없습니다. 단지 제가 알고 있는 진실이 왜곡 되고 , 사실이 아닌 것이 사실이 되어 전해지고 있는 것을 막고 싶을 뿐인데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자꾸 태클걸어 오니 답답하고 안타까울 뿐인데... 팝저씨님과 같은 스킬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기분 상하게 해드린 것이 있다면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하지만, 저 역시도 팝저씨님으로 인해 많은 상처를 받았습니다... 서로 얼굴 한번 본 적도 없는데... 왜 이래야 하나 참으로 의아하고.. 한숨이 다 나옵니다...에효...Johanna3372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4:36 (KST) 미안합니다네오알파님, 미안합니다. 제가 편집을 더 이어가 주셨으면 하고, 의견을 주셨음에도 더 이상 편집을 이어갈 수 없다는 결정을 밝히게 되어 유감입니다. 다시 편집을 재개했지만, 다시 삭제되거나 변경되는 부분들이 많네요. 심신이 많이 지쳐있는 상태이기도 하고요. 아마도 제 역할은 여기까지인 것 같습니다. 마음을 비우고, 다른 분들의 의미있는 성과를 기대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얼마간 쉬다가 제 주분야인 철학으로 자리를 옮기려고 합니다. 호의적으로 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lackhair89 (토론) 2014년 4월 25일 (금) 22:49 (KST)
RedMosQ관련왜! 문서를 삭제합니까?--Wikiline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17:09 (KST)
제가 투표를 한 것이 아니라 Wikiline님이 지난 3월 30일 가입하여 선거 시점을 기준으로 가입일수 30일이 안되어 무효표처리한 것입니다. --아수리 (토론) 2014년 4월 28일 (월) 13:42 (KST) 해당 토론에서 발언한 내용 중 일부가 백:위협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주의해주세요.--커뷰 (토론) 2014년 4월 28일 (월) 15:29 (KST)
여담유니폴리가 기어이 사고를 치네요. 제가 활동하는 모 카페에서 이 기사에서 입적한 스님을 이렇게 표현하였네요.
네, 유니폴리의 인격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 아주 좋은 기준이 되었습니다. 여담이에요. 신경쓰이면 지우셔도 됩니다.--커뷰 (토론) 2014년 4월 29일 (화) 15:04 (KST)
동명이인을 추가하면서 하위항목으로 돌렷을뿐인데 자꾸 내용을 복원하시는이유가 궁금하네요ㅇㅇ
정치인과 승무원, 직업만으로 저명성을 따지다는건 납득하기 어렵네요 이준석(정치인)이 과거 대선시 이슈가 되기했지만 현재로서는 이준석(선장)이 보다 혹은 동일수준이상으로 저명하고 이슈가 되는 인물이라고 봅니다 이준석(정치인)이 추후 정치인으로 진일보하여 저명성을 지금보다 월등하게, 전직대통령이나 대권주자수준으로 확보한다면 다시 편집을 통해 우선항목화해도 되겠지만요. 홍준표같은 거물정치인도 여러인물들과 페이지를 공유하고있으며 바다와 같이 넓은 위키에서는 이런 사례가 더 많습니다 삭제 신청안녕하세요? 삭제 신청을 하시기 전에 역사를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J문서와 같이 반달로 장난이 된 경우가 있습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4월 30일 (수) 09:22 (KST)
+Neoalpha님, 제가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 항목에 대한 저자입니다. 그런데 님으로부터 저작권 침해로 오해 받아 내용의 대부분이 삭제되었습니다. 제가 원 논문이나 원저술의 저자와 동일인이므로 저작권 침해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압니다. 이 부분을 혜량하여 주시기 바라며, 원래의 것으로 되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CC-BY-SA 3.0과 GFDL에 대해서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잘 숙달이 안 되어 있습니다. 다만, 동일한 저자인 것을 인정하셔서 복원해 주시기를 바랍니다.175.195.49.234 (토론) 2014년 5월 1일 (목) 21:46 (KST) EC21/이씨이십일 문서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공신력부족에 대한 이의제기입니다. (전문서적, 학술자료 등의 출처를 명시했음에도 불구하고)EC21은 2000년 한국무역협회에서 분사한 국내 최대의 수출마케팅 무역컨설팅 기관입니다. 또한 B2B e마켓플레이스 부문에서는 알리바바닷컴에 이어 세계 2위에 랭크되어 있는 ec21.com을 운영하며, 대학교 무역학 수업 중 전자무역 전공교재에 등재될 정도의 공신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더욱이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교육기관으로 전국 25개 대학에 현장무역 교육 - 글로벌 무역전문가 양성과정(3학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금만 검색해봐도 알 수 있듯 전세계의 수많은 바이어들과 무역학을 공부하는 국내 학생들이 당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합니다. 이해가 가지 않는 공신력부족에 대한 이의제기입니다. (전문서적, 학술자료 등의 출처를 명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런 조치를 취했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Yuhanw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바이엘(bayer)저희 문서를 자꾸 지우고 계신데, 특별 언급이 없으시네요. 저희는 기업의 홈페이지를 기반하여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모든 내용을 전부 지울이유는 없다고 사료되며, 특정 내용을 삭제시에는 이유를 남겨주십시오. 저희 글에 관심을 가져주신것은 감사합니다.독사문1조 (토론) 2014년 5월 7일 (수) 16:25 (KST)
저희라는 말은 쓴건 여러명이서 함께 작업했기 때문에 나온 표현이고요, 글이 저희의 소유라는 뜻은 아니였습니다. 저희는 학생이고 교양과제로 정보를 업데이트 했습니다. 바이엘과 어떠한 이해관계도 없고, 광고를 하고자하는 목적도 전혀 없습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라요. 그리고 통째로 글을 지우시지 말고 어떤부분이 어떻게 광고의 성향을 띄고있는지, 맘에 안드는 부분을 설명을 해주셔야 저희가 다시 작업을 해서 정보를 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도 정보를 올릴 때, 주제가 사기업인 만큼 객관성을 담으려고 노력했는데, 부족함이 있었나 봅니다. 알려주시면 다시 수정하겠습니다. 그리고, 쓸모없는 부분이란게...주제에 관련된 여러 정보인데, 쓸모없다는건 조금 주관적인 평가이신거 같아요. 저희도 위키에 있는 다른 기업들의 정보를 참고해서 목차를 만든건데... 다 지우지 말고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독사문1조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사과할게요,흥분해서 지역감정을 넣은 ip를 님이라고 했네요. 그점에 관해 죄송해요. .--Nadoo40 (토론) 2014년 5월 7일 (수) 16:31 (KST)
Professorkim의 의견문서 훼손 하지 마십시오. Professokim (토론) 2014년 5월 7일 (수) 21:14 (KST)
본인은 훼손에 대해서 엄격하게 대응하겠다고 하고 남의 문서 훼손 하시는 모순된 행동을 보이시네요. Professokim (토론) 2014년 5월 7일 (수) 21:21 (KST)
알겠습니다.그럼 님이 기여한 문서에 손 대는 것도 허용한 것으로 보겠습니다.상당히 태도가 유치하네요.본인은 마음대로 전으로 돌려놓고 "나는 문제 없다.괜찮다."라니. 어찌됬든간에 그러면 문서 훼손에 대한 단호한 태도라고 떠들어대신 것은 삭제하시길 권하겠습니다. 살인범이 도둑 나무라는 격이니깐요. 어찌됬든간에 님이 유일하게 기여하신 글 중에 이게 제일 솔직하고 가치 있네요. "내가 기여한 문서는 삭제 해도 되는 문서이다.".이거요.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넣는 게 맞지요. Professorkim (토론) 2014년 5월 7일 (수) 19:31 (KST)
훼손 상태로 되돌리셨네요. :( -- ChongDae (토론) 2014년 5월 7일 (수) 19:22 (KST)
사용자토론:Henichi에 남기신 말씀 중 한 가지 오해하고 계신 것이 있는 듯 하여 글을 남깁니다. 토론 내용을 보존하는 것을 권장하기는 하지만, 사용자토론 문서의 관리는 사용자 본인의 재량이므로 자신의 사용자토론 문서의 내용을 지우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사용자토론 문서를 비우더라도 비우기 전의 내용은 여전히 문서 역사에서 열람 가능하므로 문제가 되는 행동은 아닙니다. 위키백과:사용자 문서#사용자 토론 문서 삭제에 언급된 사용자토론 문서 삭제는 말 그대로 관리자 권한에 의한 삭제를 의미하며, 이 경우는 관리자 이외에는 문서 역사 열람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금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Bluemersen (+) 2014년 5월 8일 (목) 17:00 (KST)
'마리아의 구원방주' 항목에서 되돌리기 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해당문서 토론란을 보니 지난 4월에 하도 출처, 출처, 출처, 요구가 있어서 출처를 적고 있는데 Neoalpha님께서 돌려놓으시네요. 저는 혹시 마리아의 구원방주 특의 반달행위인가 보니 Neoalpha님이시군요. 혹시 오해가 있어서 돌리시는건 아니신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천정한 인물정보에 관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뒷받침되지 않은 문서라고 하셨는데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본 인물의 정보는 정식 출판되어 전국 온,오프라인 서점 DB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국립중앙도서관 및 전국 도서관 데이터, 교육부 출연기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대표적으로 명기한 교보문고를 통해서 입증하였고 인물이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터넷신문 필진 DB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삭제대상의 정보라고 보지 않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그루터기21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참고글 잘 봤습니다. 신뢰성의 평가는 그 내용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저자와 간행물의 신용에 의존한다는 말과 함께 신뢰도의 양상에서 일반적인 신뢰도와 특정문서의 신뢰도면에서 본 인물이 객관적으로 부합한다고 판단합니다. 비정상적인 출판, 저작물에 대해서는 국가기관에서 정보로 인정하지않습니다. 하지만 해당 인물의 저작 및 정보는 출처로 제시했던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공인하고 있는 정보임을 밝혀둡니다.--그루터기21 (토론) 2014년 5월 9일 (금) 13:13 (KST)
저명성지켜야 할 규칙이라는 것에 공감합니다. 하지만 그 규칙을 해석하고 적용하는데 상당히 주관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저작물이 공인되었다고 해도 그 인물이 공인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제가 살펴본 바로는 본 인물이 저명성 분야별 기준에 창의적 전문가에 해당된다고 봅니다.
해당 내용이 토론이 아니라고 하시는 기준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설령 기준에 미달된다 해도 작성 당사자(사용자:Yt1646님)에게 통지도 없이 일방적으로 발언을 삭제하는 건 온당치 않아 보이는데요. --e1yr (토론) 2014년 5월 9일 (금) 20:44 (KST)
213.170.105.98의 문서 훼손 행위에 대해213.170.105.98 아이피가 정청래 문서를 계속 훼손하기에 네오알파님도 복구했다시피 계속 복구하고 있는데, 계속 이렇게 복구만 해야 하나요? 대처 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고맙습니다. --twotwo2019 (토론) 2014년 5월 11일 (일) 21:36 (KST)
박원순 시장에 대한 악의적 내용이 있는 글을 왜 계속 올리시나요?무슨 의도에서 계속적으로 악의적이고, 법상으로도 해결된 내용을 계속 올리시고, 중립적 사실 올리는 것을 방해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Tala0316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글쎄요. 제가 올린 글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정해주십시오. 팩트가 아닌 주의주장이거나 치우친 부분이 있다면 삭제하겠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팩트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관리자가 함부러 지운다는 것은 위키백과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봅니다. 홍보가 아닌 진실을 말하고 싶을 뿐입니다. 문제되는 부분이 있다면 기꺼이 편집하겠습니다. 그래서 논란이 있는 부분 역시 그대로 남겨두고, 사실 관계를 적시한 것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Tala0316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요청안녕하세요.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위키백과:의견 요청/RidingW의 중재위원회 정책 위반 주장에 대한 검증의 각 주장을 읽어보시고 의견을 남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천리주단기 (토론) 2014년 5월 15일 (목) 19:24 (KST)
의견 요청토론:노란 리본 달기 캠페인 이쪽에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시다면 참고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혹시 박근혜 정부#지지율 부분에도 관심을 가져주실 수 있나요? 제가 앞으로 편집을 못하게 될 것 같아서, 혹시 여유가 되신다면 부탁드립니다. --아드리앵 (토·기) 2014년 5월 19일 (월) 15:16 (KST)
의견 요청(3)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위키백과:사용자_관리_요청/2014년_제20주#RidingW에 의견을 제시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감사합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5월 21일 (수) 00:45 (KST)
삭제신청안녕하세요, [3]의 삭제신청과 관련하여, 넘겨주기를 이유로 한 삭제신청을 한 경우에는 대상문서의 내용이 다른 문서에 반영이 되어 있어야 넘겨주기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삭제신청하신 문서와 넘겨주기의 대상이 된 문서를 보면 서로 다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삭제신청이 아니라, 선거권 문서에 내용을 반영해주시고 넘겨주기 처리하거나 삭제신청하는 것이 맞습니다. --Hun99 (토론) 2014년 5월 23일 (금) 15:53 (KST)
하하 정말 어이가 없네요김대중 대통령이 한일공동수역을 만들어 일본에게 독도영유권 주장빌미를 주었다는것은 사실로 확인되었다만 왜 사실이 아니라고 하시는가요?? 어이가 없네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18.53.157.67(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선의의 기여에 대한 되돌림 이유를 묻습니다끊긴 넘겨주기에서 올바른 넘겨주기 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끊긴 넘겨주기를 만들기 위해 이를 되돌리신 것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또, 분류가 명확하게 있는 문서에 분류 필요 틀을 제거하였으나 이렇게 분류 필요 틀을 추가하도록 되돌리는 행위는 올바른 기여로 보기 어렵습니다. 좋은 뜻으로 기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기여를 이렇게 되돌리고 있는 이유를 여쭙고 싶습니다. (IP가 유동인지라 양해를 바랍니다) --122.212.72.228 (토론) 2014년 5월 25일 (일) 11:27 (KST) 경희대학교 문서 관리좀.Lifesavior 이 사람이 자꾸 문서를 자기 마음대로 수정 삽입을 하내요. 분명 연혁에도 없고 출처도 없는 자료인대 마음대로 글을 써대니.. --Temberin (토론) 2014년 5월 26일 (월) 17:23 (KST) 왜 독도가 영어로 리앙쿠르라고 되잇나요?리앙쿠르가 아니라 독도Dokdo이고요 리앙쿠르란 뜻은 서양에서 붙인이름 입니다 당시 지도에서 발견하지 못한 섬이라 배의 이름을 따서 정한것이고요...또 다케시마란 이름또한 있지 않습니다. 독도는 신라시대때당시 우산국이라고 불리었었고 그때 신라에게 먹혀오늘까지온것 입니다. 근데 왜 다케시마란 이름도 넣으셧는지 이해가 않가네요...동해도 Sea of Japan이 아닙니다 보통 나라에서 바다이름을 정할때에는 가장가깝운 큰대륙의 이름을 따서 합니다 그러므로 Sea of Japan 이 아니라 Sea of Korea라고 바꿔주시길 바랍니다 솔직히 일본은 조그만 섬이 잖아요 .양심이 있다면 바꿔주시길...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236.217.103(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비상발전기 항목 관련입니다.Neoalpha님, 안녕하십니까? 비상발전기에 관한 저작권 관련 사용 허락서를 이메일로 보내드렸는데 받으셨는지요? 첨부가 안 되어 서명이 포함된 아래한글로 작성된 것을 보내드리지 못했는데, 필요하시면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 선생님 관련하여 드릴말씀이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저는 김일우라고 합니다. 저는 새마을 김준 원장님의 손자로, 최근에 할아버님 관련 자료를 정리해서 올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의 글을 이전 상태로 돌리셨기에 궁금해서 연락드립니다. 저는 이번 지방선거와는 상관 없이 손자로서 할아버님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 정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었는데 저의 행동이 잘못된 것이 있었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제가 작성중인 글은 아직 미완성이라 제가 미흡했거나 혹은 의도치 않은 실수가 있었다면 사과드립니다. 제가 정치적으로 비방하거나 거짓으로 위키백과에 자료를 올린 것이 아니라 자료를 모아서 조금씩 정리해 올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갑자기 이렇게 초기화를 시키셨다니, 당황스럽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Icestar912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제가 위키백과에 처음 올리다 보니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몰랐습니다. 하지만 제가 저의 할아버님에 관련된 글을 적는것은 아무리 중립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하지만 글을 올리는것이 불법은 아닌듯 한데.. 그렇다면 다른 방법은 없는지요? 할아버님께서 아무래도 정권에 이해관계가 있었던 만큼 사실 그대로 적는다 해도 문제가 생긴다는 건가요? 지금 올려진 저의 할아버님 관련 글은 예전에 올려진 내용이거니와 빠진 내용이 있고 잘못 기술된 부분이 있는데 정정이라도 하고 싶습니다.--김일우 (토론) 2014년 5월 28일 (수) 15:56 (KST)
제가 아직 부족하여 생각이 짧았습니다. 또한 손자로서 할아버님의 글을 작성함에 중립성을 갖기 부족함을 인식하지 못한 점 사과 드립니다. 아직 저의 할아버님 관련 글은 미완성 중이니 조금은 너그러희 봐주셨으면 합니다. 정치적이거나 중립적이지 않은 부분은 삭제를 하겠습니다. 할아버님 관련 사진 거의 대부분은 제가 갖고 있으나 신문에서 인용하게 된 경우에는 저작권을 확실히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제가 작성한글을 수정해서 올리도록 할테니 허락해 주시겠습니까?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Icestar912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김일우 (토론) 2014년 5월 28일 (수) 16:15 (KST) 이종숙에 관하여위키피디아의 문제점은 인터넷에 없는 기사에 너무 민감하게 신뢰성 부족을 운운하는데 인터넷이 발달하기전의 기사들때문에 애로사항이 있네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90.18.140.156(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이병규자꾸 되돌리기 안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저도 한 야구 팬으로써 이병규에 대한 인성논란은 많았습니다. 출저도 제시 하였습니다. 그런데 자꾸 되돌리시면 오히려 중립적인게 못됩니다. 그 문서에 인성논란말고 부정적인 항목도 없습니다--100mileperhour (토론) 2014년 5월 30일 (금) 16:59 (KST)
그 부분에 대해선 정책을 잘 살펴보지 못한건 제 잘못이지만 그럼 상처 부분만 수정을 하셨어야지 모든 부분을 아예 날려 버릴 이유는 없었죠. 어쨋든 그 부분은 제가 수정했습니다. --100mileperhour (토론) 2014년 5월 31일 (토) 00:23 (KST) 좋은 일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안녕하세요! 문서작업 중에 편집해주신 것을 보고 들렀습니다. 저는 대구지역 사람인데, 아시겠지만 대구경북권은 야당인사들과 관련된 정보가 매우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묻지마 투표의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방의 후보들에 대해 알리고 싶어서 개인적으로 제가 투표권이 있는 작은 지역의 모든 후보들이라도 많은 이들에게 정보를 알리려 이곳저곳 정보를 모으고 있습니다. 어쩌다 위키백과도 알게 되었고, 오늘 홈페이지와 홍보물, 인터넷검색등을 통해 정보를 작성하는 있던 중 Neoalpha 님께서 편집해 주셨더군요. 안그래도 위키백과 사용법을 잘 몰라서 고생하고 있었는데 덕분에 깔끔하게 되어 감사의 인사를 드리려 합니다. 혹시 알려지지 않은 지역의 후보들에 대해 직접 작성해 주실 생각은 없으신지 궁금합니다.
주 제네바 사무소 편집http://che-geneva.mofa.go.kr/korean/eu/che-geneva/legation/work/work01/index.jsp 들어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주 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단에서는 유엔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유엔 산하 기관에서도 한국어명으로 '유엔'으로 등록하여 사용하고 있음에 불구하고 항목 되돌리기 한 이유를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근거는 유엔 의 토론항목에 있습니다. 되돌리기 하실 때네오알파님의 선거 결과 되돌리기 의견이 틀린 건 아니지만 모든 걸 되돌리기 하는 것은 위키백과 편집에 있어서 이롭지 못하다고 봅니다. 되돌리기 하실 때에는 기여 내용을 차근차근 살펴보신 다음에 필요한 부분만 도려내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니즈군 (토론) 2014년 6월 5일 (목) 04:04 (KST) 이기식 관련하여본인에게 제공 받은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왜 저작권관련으로 삭제요청까지 들어가는지 모르겠군요. 제대로 확인해보신후 되돌리기하시길 바랍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Rlgns6696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한국옐로우페이지 위키 기재 관련안녕하세요. '한국옐로우페이지' 관련 남겨주신 코멘트 잘 확인했습니다. 광고나 선전의 목적은 아니었으나 그렇게 비춰진 점이 있다면 추후 업로드 시 참고하여 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중립적이고 정보 전달적인 내용으로 수정을 완료했으니 문서 확인하시고 삭제 틀 수정 하시길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옐로우페이지 위키 페이지 저명성 관련참고 사항 관련하여 정확한 출처 기재 수정 완료 했습니다. 확인하시고 수정 요청 드립니다. 한국옐로우페이지 위키 페이지 저명성 관련 추가 의견 제기위키피디아 '저명성' 판단 기준에 따르면 주제가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경우면 저명성이 있다고 간주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출처 확인이 가능하고 중립적인 정보면 어떤 의미로든 좋은 정보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는데 '세상에 이름이 널리 드러나 있음' 이라는 사전적 의미의 저명성으로 삭제 신청을 하셨다면 Neoalpha님의 삭제 신청에 이의 제기 의사를 밝힙니다. 삭토를 신청할 때즉각 저명성 기준 미달 문서를 삭제 신청해주시는 것 감사합니다. 하지만 '장난'이라는 표현은 되도록 삼가 주셨으면 합니다. 대체로 여기 올리는 분들은 '진지하게' 작성하는 분들이니까요. 실례합니다.--Reiro (토론) 2014년 6월 12일 (목) 12:49 (KST)
틀:대한민국의 차관급 고위공무원Neoalpha님께서 "틀:대한민국의 차관급 고위공무원"을 5월 10일 수정한 이후로 국무총리 직속기구 기관장들이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제가 기입을 하려고 편집 페이지로 이동하니 그 부분에는 총리직속기관장 항목이 있더군요. 이 부분이 편집을 완료하면 않 보이는 이유를 아시는지 궁굼합니다. --Bgh0320 (토론) 2014년 6월 12일 (목) 22:49 (KST)
되돌리기 하실 때되돌리기 하시기 전에, 먼저 해당 사용자에게 되돌림 틀을 이용하거나 각종 안내 틀을 이용해 안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편집하시는게 지나치게 되돌리기와 경고 틀에 치중해있어 말씀드립니다. 대응이 너무 과격하면 새로운 손님을 쫓을 수도 있습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6월 13일 (금) 16:43 (KST)
+KTX 틀에서 인천국제공항은 왜 없앴습니까? 곧 개통할건데...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2.97.156.24(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메이플 스토리 운명의소녀 삭제신청에대해닌텐도3ds 발매소프트를 찾던중 다수가 위키페이지가 비어있어 그중하나인 메이플스토리:운명의 소녀 를작성하였습니다. 엔하위키(리그베다위키)에서만 쓰다 이번에 이곳에도 쓰려한지라 제가 엔하위키에 쓴글을 좀다듬어 올려보았습니다. 경어체가없다는게 문제라면 시정을하겠습니다.사진이 부족하다는거면 아직 위키백과에 익숙치않아서 그림을올릴줄 모르겠습니다;; 엔하위키랑은좀다르네요. 그래서 링크로 대체하였습니다. 엔하위키에서 위키백과로 넘어와서 아직 잘익숙치않아서 초보적인글이된거은 죄송합니다.. Kiyoung0723 (토론) 2014년 6월 18일 (수) 20:47 (KST)
아무래도 제가쓴글이다본지 위키백과에올릴때 귀찮음에 그냥 적당히 수정만한게 문제가됬나보군요...그렇다면 글이그냥 삭제 되는걸 보고만 있어야하는건가요...Kiyoung0723 (토론) 2014년 6월 18일 (수) 20:54 (KST)
리그베다위키랑은 다르게 철저히 중립해야되군요 글쓴이의 개인적인의견은 들어가면 안되는 것인가요... 삭제가된다면 언제쯤될까요. 다음 월요일까지 과제이수용으로 이곳에 쓴지라 ;; 블로그와 카페출처안안된다는것은 원화가블로그에서 허락받고 가져온 사진이나 링크도 안된다는 것인가요.. 그리고 그림과 영상올리는방법이 많이달라서 혼동됩니다 자세히알려주세요.....제가내린결론은말고 루리웹에서 같은주제의글이 베스트글에 올라왓을때 그글의 결과를 보고 '이러한 결론도있었다' 정도는 되는것인가요 아니면 그것도 안되는 것인가요Kiyoung0723 (토론) 2014년 6월 18일 (수) 21:14 (KST)
스템 시스템 삭제신청에 대해안녕하세요, 이번에 토론방에 글을 남기면 바로 나온다고 하셔서 글을 남깁니다. 저는 이번에 스템 시스템(STEM system)에 관하여 글을 쓰고 있던 사람입니다. 삭제 신청을 하시면서 그 이유를 '출처 없음, 저명성 없음, 광고 목적 의심'이라고 적으셨는데요, 그 세 가지에 대해서 반박을 해 보겠습니다.. 우선 출처 없음에 대해서는, 부실하기는 하나 아래에 킥스타터와 VR위키, 식스센스 홈페이지가 적어 놓았습니다. 아직 그 세 가지 출처에서 얻은 정보만을 가지고 기술했기 때문입니다. 후에 관련 기사를 더 참고한 뒤, 그것을 출처로 적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저명성에 관해서는 국내에서 잘 모른다거나 영문 위키에 없다고 해서 저명성이 없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아직 정보가 최신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게 좋을 것입니다. 영문 위키에 스템 시스템의 전신격인 Razer Hydra 항목이 존재하고 있고, 스템 시스템 목차에 역사-레이저 히드라를 적어 그 연관성을 적고자 했습니다. 실리콘 밸리에서 열린 VR 회의 및 엑스포에서도 언급된 바 있고, 사용자들도 그에 대한 리뷰를 남겼구요.('문제점'과 관련된 링크에 나와있습니다.) 객관적 출처 확인이 가능하고 중립적인 정보인데다 이 정도로 알려졌다면 '세상에 이름이 널리 드러나 있음' 이라는 사전적 의미의 저명성 조건을 적용한다고 해도 저명성이 있다고 보아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광고 목적 의심이라고 적으신 것에는, 두 가지 정도의 이유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우선, 며칠에 걸쳐 작성된 것이 아니라 하루 만에 긴 글이 작성된 것인데다 이미 삭제된 것이 복원되어서가 아닌지요? 이전에 삭제되었을 때는 제가 바쁜 시기에 '저명성'을 이유로 지워졌는데, '리듬'님이 지우셨습니다. 그에 대한 삭제 관련 토론을 할 시간도 없었기에, 사용자토론에 올렸는데 답이 없으시기에 다시 올리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저는 식스센스라는 회사와 하등 관련이 없고, 오히려 과제 때문에 위키피디아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문화컨텐츠의 이해라는 수업에서 23일 오전 9시까지 위키피디아 작성 과제가 있습니다. 그 기한이 기한이고, 그 전에 다른 과제가 많기에 작성이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전에 지워진 것이 있기에 '리듬'님의 답변을 기다리며 연습장에 며칠동안 작성한 것도 있었구요.(결국 답변은 없으셨지만요) 수업 과제로 스템시스템이란 주제를 고른 것은 광고 목적이라기보다는 가상현실 관련 기기에 대한 정보를 여러 사람에게 알리고 싶다는 의도였으니 고려해주시길 바랍니다. renard4481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11:25 (KST)
일단 과제는 내일 아침까지이기 때문에 다른 주제로 바꾸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위키백과 :저명성'의 내용을 들어서 삭제 신청은 지워주시길 요청합니다. '글의 내용에서 해당 주제에 대한 저명성을 증명하여야 하고,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글들은 일반적으로 삭제되지만, 글에 의해서 저명성이 확보되는지만 살펴볼 것이 아니라 저명성이 쉽게 확보될 수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키백과의 문서는 최종적인 완성품이 아닙니다. 만약 신뢰할 수 있는 출처들이 존재하고 그것이 설사 현재 문서에 추가되지 않았더라도 해당 문서가 저명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해당 주제에 대한 의미 있는 독립적 출처를 찾을 가능성이 크다면, 그러한 출처를 찾으려는 노력 없이 저명성이 부족하다고 삭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뚜렷한 저명성을 갖추지 못한 글에서도 삭제는 마지막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우선 문서에 '저명성'틀을 달아주시고 삭제신청은 지워주세요. 다른 출처를 찾고 있고, 추가할 예정인데 삭제 신청이면 언제 지워질지 몰라서 불안합니다. 완전한 문서가 아닌데 삭제신청은 너무하다고 생각합니다.renard4481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12:32 (KST)
논문은 아직 출시되지 않은 기기이므로 존재하지 않지만 뉴스의 경우에는 존재합니다. 식스센스 홈페이지만 들어가도 Press&News 페이지에 관련 기사들이 실려있는데, 식스센스 회사에서 이를 만든 것은 아니기 때문에 1차 출처라 보기 어렵고 2차 출처라 보면 좋을 것 같네요. 물론 VR위키의 경우에는 3차 출처이므로 해당사항이 없겠지만, 관련 뉴스의 경우에는 오큘러스 리프트나 다른 가상현실 기기에서도 인정되는 만큼 2차 출처로 인정해주셔야 한다고 봅니다.renard4481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12:39 (KST) 김일성(문서)편집이름이 3번이나 반복되고 본명이 가장 윗부분이 아닌 아무 곳에 붙는 것은 김일성 문서가 유일합니다., 무엇보다 Neoalpha님이 지적한 부분 사람 이름을 다는 곳이 아닙니다. https://ko.m.wikipedia.org/wiki/%EC%95%84%EB%8F%8C%ED%94%84_%ED%9E%88%ED%8B%80%EB%9F%AC https://ko.m.wikipedia.org/wiki/%EB%A7%88%EC%98%A4%EC%A9%8C%EB%91%A5 https://ko.m.wikipedia.org/wiki/%EC%9D%B4%EC%98%A4%EC%8B%9C%ED%94%84_%EC%8A%A4%ED%83%88%EB%A6%B0 https://ko.m.wikipedia.org/wiki/%EB%B8%94%EB%9D%BC%EB%94%94%EB%AF%B8%EB%A5%B4_%EB%A0%88%EB%8B%8C 출처를 삭제한 것을 되돌리시면서 백:면책 참고하라고 하셨는데 이 부분은 보충설명 필요합니다.--새로고침1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15:30 (KST)
관직이 왜 안들어가나요? 히틀러 문서에도 '나치 독일의1대 총통'스탈린 문서에도 '소비에트 연방의 제1대 서기장','소련의 제2대 국가원수',소련의 제1대 국무총리' 등 이름칸에 버젓이 있습니다. 그 인물의 이름은, 이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곳에 한번씩만 적혀 있으면 되는겁니다. 즉 3개의 이름칸이 있다고 3번 반복하면 안된다는 겁니다.마오쩌둥과 레닌은 이름칸이 전부 관직 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의 편집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되신다면 마오쩌둥과 레닌 문서는 이름칸이 전부 관직 뿐이니, 이 문서에도 같은 주장 펼치시기 바랍니다.--새로고침1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16:03 (KST)
확인 좀 하느라고 늦게 답변을 달게 됐네요. 그러니깐 마오쩌둥과 레닌은 틀을 '인물점보'만 사용해서 관직이 있는 것이고 히틀러와 스탈린은 틀을 '인물정보'와 '군인정보를 같이 사용하니 이름이 3번 반복되면 안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고 싶네요.--새로고침1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17:08 (KST)
백:면책이라고 주장하는 부분은 해명입니다 단지 불법이라서삭제를 한 것은 아니에요. 지적한 내용, 위키백과는 모든 국가와 집단에 대해서 중립적 시각을 원칙으로 운영되므로, 특정 국가나 특정 집단의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는 모든 국가와 집단에 대하여 대등한 관점으로 서술합니다. 위 내용과 같이 실제로 삭제한 이유는 그 중립적 시각을 위배하였다고 생각되서인데 북한 일방적 주장들로 판명된 것들 상당수가 출처가 이런 방식으로 되어있습니다.--새로고침1 (토론) 2014년 6월 23일 (월) 19:57 (KST) 안녕하세요. 큐브샛 관련입니다.큐브샛 관련 아티클을 작성 중인데요 2가지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1. 정리가 필요하다는 것은 외래어나 기타 문법적 사항을 정리하라는 것인지요?? 2. 제가 예술 분야 내용을 계속 추가하실때마다 삭제하시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레퍼런스는 아티클 작성이 다 끝난후 한번에 달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re: 지금 상황에서 출처만 단다면 제기된 문제가 해결될까요? 제 눈에는 지금 중언부언한 부분이 어디인지 잘 모르겠습--Quaizy (토론) 2014년 6월 22일 (일) 23:13 (KST)니다.
re: 감사합니다. 지금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어디인지 알려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문제가 없는 상태의 아티클을 내일까지 만들어야 해서 부탁드립니다!! 위키가 처음이라 아직 많이 미숙합니다 부탁드립니다!--Quaizy (토론) 2014년 6월 23일 (월) 01:10 (KST) 위키는 부수는것이 아닙니다...어떤 분이신가 궁금해서 들어와봤더니.. 좀 이상하신 분이시군요. 대체 왜 그러시죠? 위키가 님의 놀이터인가요? 위키는 부수는곳이 아니라 채우는곳입니다. PD에 대해 저명성을 근거로 여기저기 총기난사하고 다니시던데 공중파 드라마를 책임지는 사람이 저명한가요 거기 출연하는 사람이 저명한가요? 게다가 수상실적까지 있는데..드라마 얘기 나올때마다 빠지지 않는게 연출자이고 설령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기사만 해도 수백 수천개가 되는데... Jun1moon (토론) 2014년 6월 23일 (월) 11:26 (KST)
참.....예를 든거 가지고 인신공격이라고 하다니..이은규 문서페이지에 다른 사람을 지칭하는 그 사람에 대해 저명성을 문제삼으며 시비를 건다면 이은규 원문서에 해당하는사람도 모욕이 될 수 있다는 법률적인 의견을 예로 든거뿐입니다. 그걸 인신공격으로 받아들인다면 유감이구요... 사실 모욕죄라는게 그냥 걸면 걸리는법이잖아요.. 더군다나 시인 이은규 그 분은 여러 정황으로 봐서 실명이고 당사자 특정되는게 명백하니.. 문서를 훼손했다고 하는데 토론하는게 훼손한건가요? 이게 인신공격이죠.물론 거기가 토론하는 공간이 아닐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정황을 보면. 훼손이라고 볼 수 없잖아요? 훼손이라고 하면 님의 만든 문서의 취지에 반하는걸로 편집하는게 훼손 아닌가요? 저명성에 대해서 토론 좀 해봅시다.. 드라마 연출자가 저명한 사람이 아니라면 누가 저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까? 드라마 소개할때 빠지지 않는게 연출자이고 어떤 면에서는 연기자보다 더 저명하다고 할 수 있지 않습니까? Jun1moon (토론) 2014년 6월 23일 (월) 17:15 (KST)
안녕하세요. 클라우드 게임에 관련하여 글 남깁니다.제 주제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편집 및 정리에 힘 써주신 점 감사합니다. 저의 의견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출처가 불명확한 부분 삭제하고 같은 말이 반복되는 부분도 정리하겠습니다. 제가 여쭙고자 하는 부분은 주제의 항목 중 '업계 현황' 부분이 모두 삭제된 사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혹시 광고성의 문제나 출처의 저명성의 이유로 토론이 달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항목 전체가 삭제된 이유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번거로우시겠지만, 편집해주신 분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국외 국내 현황에 대한 짤막한 진단은 출처가 달리지 않은 것이니 삭제토록하겠으나, 대표적 업체들에 대한 설명은 다시 살리려 합니다. Nub1an1 (토론) 2014년 6월 23일 (월) 23:11 (KST)Nub1an1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먼저 국외 서비스들의 경우에는 학술논문에서도 빈번히 소개되는 항목인지라 광고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도 해당 서비스들에 대한 내용이 개설되기도 했으니까요. 제가 여러 서비스들 각각을 세세하게 소개한 것은 각 서비스들이 중시하는 플랫폼, 사용하는 기술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클라우드 게임 기술은 게임 사업자체와 관련된 컴퓨팅 기술이기 때문에 서비스 기업에 의해 개발되고 개선되고 있습니다. 해당 기업의 목적과 역사에 따라 기술의 방향이 달라진다고 보아, 서비스 별로 항목을 나눌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내용이 부실하고 구성이 허술해 그 점을 잘 러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를 보완토록 하겠습니다. 서비스의 설립시기나 설립자등의 내용을 기술한 것은 아직 한국어 위키피디아에는 해당항목이 없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국내 서비스들 같은 경우에는 사업이 시작된 지 얼마되지 않고, 학술적으로 논의된 대상이 아닌지라 광고의 우려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다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작성된 '클라우드 게임' 주제에서 한국에서 실행하는 서비스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 안 될 거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특정 업체만 언급하는 것이 아니고, 현재 실시되는 모든 서비스를 제시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특정 업체에 대한 광고효과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직 국내에서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라는 것 자체가 생소한 개념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국내 서비스들이 자사의 서비스에 대한 소개하는 내용은 대개 클라우드 게임 전반의 것이었고, 결국 반복해 소개 될 필요가 없는 얘기들이 많다 생각합니다.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Nub1an1 (토론) 2014년 6월 24일 (화) 00:21 (KST)Nub1an1 삭제 토론 알림
안녕하세요. 윈도7 항목 관련입니다.Neoalpha님 안녕하십니까? Aeoab입니다. 제가 수정한 사항중에서 윈도7 에 대한 내용이 있었는데.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드림스파크에 학생인증자에 한해 윈도우7 임베디드버전(그냥일반버전에 기능 몇개 빠진 것) 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것을 윈도 7 학생 프로모션 란에 올렸는데.. 되돌리기가 되어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제가 적은 글의 내용을 확인한 뒤 되돌리기를 하여 주시기를 바라며 만약 제가 실수한점이 있다면 제 계정 토론 란에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드림스파크를 광고로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드림스파크는 MS에서 대학생 개발자 지원을 위해 하고 있는 만큼 광고로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콩가루 (토론) 2014년 6월 30일 (월) 22:04 (KST)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 문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MS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지망 학생들을 위해 프로페셔널 에디션을 제공하고 있지요. 미래의 개발자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인 것은 사실이지만, 백과사전에 실을 수 없는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윈도우7 임베디드 버전은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버전이므로 상용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부적합한데 그게 제대로 설명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6월 30일 (월) 22:09 (KST) 연출자 문서 대량 삭제 신청에 대하여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다 생각하지만 이번 경우는 조금 황당하다고 느껴집니다. 정책을 보면 위키백과:저명성 (인물)#창의적인 전문가 "3.해당 인물이 중요·유명한 작품·작품집을 창시했거나 혹은 공동창시자로서 주요 역할을 담당"한 경우 저명하다 간주합니다. 당장 정책을 따지지 않더라도, 이은규 (연출)만 해도 커피프린스 1호점 등 다양한 곳에서 연출을 맡은 사람입니다. 문서 출처가 부족했냐 하면 그것도 아니고요. 인신 공격을 받은 것에 대해선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전 신안군 염전 문서에서도 보았는데, 그런 일이 있으면 되돌리기 싸움을 하실 게 아니라 사랑방에 물어 사람들 의견을 구하는 게 먼저 아니었을까요. 저라도 누군가가 따라와서 만든 문서마다 삭제신청걸면 당연히 (그것도 정당한 문서를) 화가 났을 것이고요. 가끔 소모적인 싸움에 많이 휘말리시는데 혼자 해결하기보다 사랑방에서 여러 사람 의견을 먼저 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사관 신청은 되도록 참아 주세요. 뭐 계기를 안 만들면 좋지만요.--Reiro (토론) 2014년 6월 25일 (수) 03:50 (KST) Neoalpha 님 단국대학교 위키피디아 관련 편집 허용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Neoalpha님 단국대학교 홍보팀 직속 학교 재학생 홍보대사 온라인 팀장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단국대 위키피디아에 업데이트 된 정보 및 추가적인 내용을 넣고 싶은데 허락 부탁드립니다. 절대로 상업적이거나 광고성 멘트를 넣는게 아니라 학교 위키피디아 한글 버전을 제대로 구축하고 향후 다양한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구상중인데 한글판은 프로젝트의 첫걸음입니다. 허락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기 잠시만요.김승규 (축구 선수) 문서에 위의 내용대로 일방적으로 변경하신 이유라도 있습니까? 이에 대한 해명을 부탁드립니다. 일부 IP 사용자들에 의해서 훼손된 부분을 원래대로 복구했을 뿐인데 해당 문서의 변경 내력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되돌리신 것 같은데요.--58.123.52.183 (토론) 2014년 6월 28일 (토) 14:15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