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박영순 (탁구 선수) 문서에 탁구 선수 틀을 보강하고자 하는데 탁구 선수 관련 정보를 잘 몰라서 어떠한 변수와 내용을 작성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해당 문서 편집을 도와주실 수 있으실까요??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4일 (월) 22:31 (KST)답변
- 문서 내용도 보충하면서 틈틈히 편집을 해보겠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3월 5일 (화) 01:18 (KST)답변
- 박영순 문서 속 내용을 보강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현재는 해당 인물이 사망 여부에 관계없이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와 지도자는 아니어서 개요 첫 문장의 설명문을 위키데이터를 따라 '탁구인'으로 수정했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5일 (화) 22:47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Braveattack님께서 편집하셨던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문서 속 정보들에 수정이 가해졌습니다. 이에 해당 수정 내역이 적절한 것인지 저와 함께 외국인들의 이름 표기에 관심이 많으신 Braveattack님께 조언을 여쭙게 되었습니다. 갑작스럽게 연락을 드려 죄송합니다만 혹시 해당 문서 검토를 부탁드릴 수 있으실까요??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7일 (목) 21:33 (KST)답변
- 일단 문서 내의 비엔나 표기는 빈으로 고쳤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3월 7일 (목) 22:37 (KST)답변
- 답변 감사드립니다. 다만 해당 편집을 작성한 이용자가 영어식 표기 비엔나, 독일어식 이름들의 영어식 표기(아콥, 아말리)를 계속 문서에서 주장하고 있어서 Braveattack님께서도 저처럼 해당 문서에서 편집 분쟁을 겪으실 수 있겠습니다.... 문서를 검토해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7일 (목) 22:41 (KST)답변
변영장 선수는 국적이 일본이 아닌데 일본인으로 분류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입니다. 차라리 일제강점기 때의 한국분들의 경우처럼 한국인으로 분류하는 게 나아보입니다. Gksyy (토론) 2024년 3월 21일 (목) 15:58 (KST)답변
- 중국의 배우 분류가 들어간 장나라 문서처럼 지금까지 한위백에서는 해당 국가의 국적을 갖지 않더라도 해당 국가에 관한 분류를 넣었던 걸로 압니다. 생각해 보니 일일히 세기별 분류를 넣는 것은 너무 과대한 분류 나열이 될 것 같아서 일단 변영장의 일단 세기별 일본 사람 분류를 제거했습니다. 하지만 언어별 이름 틀은 해당 국적자가 아닌 사람들도 쓸 수 있습니다. 이는 영어 위키백과의 성 김 문서 사례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3월 21일 (목) 16:08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Braveattack님께서 편집해주신 사카모토 가오리 문서의 제목이 한 번 더 변경되었습니다. 아직은 편집 분쟁이 발생하지 않았긴 했지만 혹여 분쟁이 발생할까 염려되어 Braveattack님 사토에 글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저는 일본어 표기법이 일본어의 장단음 표기 문제로 인해 실제 발음과는 괴리가 있어 다른 언어 표기법에 비해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다른 언어들처럼 정확한 정보인 실제 일본어 발음대로 문서 제목을 설정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제가 일본어를 잘 알지 못해 일본인 인명의 문서 제목 선정 기준에 관해 Braveattack님께 도움이 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사카모토 가오리/카오리 문서 제목에 관해 혹 이의가 있으실 경우 문서 제목을 변경한 Flvmsl님과 이야기를 나누어보시는 것이 어떠하신가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25일 (월) 21:20 (KST)답변
- 현재 해당 유저와 편집 분쟁이 붙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해당 문서에서 토론을 전개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26일 (화) 00:13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해당 인물이 빅토르 안처럼 이름을 공식적으로 개명했고 국제 빙상 연맹에서도 그의 이름을 'Lin Xiaojun'으로 명시하고 있어 문서 제목을 공식 표기를 따라 '린샤오쥔'으로 변경하는 것에 관련해 토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혹여 관심이 있으시다면 토론에 의견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3월 28일 (목) 22:16 (KST)답변
문서 만들어주시는 것은 감사한데 금메달수, 참가선수, 경기 기록 표 정보도 함께 적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해당국 참가 선수들의 기록이 어땠는가가 주 정보인데 그런 정보들이 없으면 있으나 마나 하는 문서가 됩니다. 저처럼 문서 내용 채우는 사람들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이들 정보를 충분히 준비한 뒤에 생성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4월 4일 (목) 07:40 (KST)답변
- 문서 내용도 채울 예정입니다. 너무 의무감을 가지지 않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 아시안 게임 선수단 문서는 타 언어 위키백과에서도 부실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저도 보고서나 연감 등을 관련 자료를 모으고 있기 때문에 늦어지는 겁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4월 4일 (목) 11:35 (KST)답변
- 이해했습니다. 최근에 올림픽 선수단 문서들도 'ㅁㅁ올림픽 oo 선수단은 ㅁㅁ 올림픽에 참가한 OO 선수단이다' 라는 식의 문장만 남겨놓고 생성하는 사례를 너무 많이 봐와서 우려스러운 마음에 찾아뵈었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4월 4일 (목) 12:04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아폴로 앤턴 오노 문서의 정보 상자 속 내용이 부실해 백:좋은 글인 영어판 문서를 바탕으로 정보를 기입했습니다. 다만 몇몇 정보들(포디움 합계 작성 방식, ISU 월드컵 데뷔 정보)을 어떻게 기입할지 몰라 일단 공백으로 남겨두었습니다. 혹시 해당 문서의 검토를 부탁드려도 괜찮으실까요?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4월 27일 (토) 14:38 (KST)답변
- 문서를 보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4월 27일 (토) 22:06 (KST)답변
제가 없는 사이에 반달러가 큰일을 했군요. 사용자 관리 문서 대량 훼손 --Striker9498 (토론) 2024년 5월 15일 (수) 00:02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Braveattack님께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에서 검토하셨던 항목(본명 기술 방식, 국제 음성 기호 작성 방식 등)이 편집 분쟁이라는 이유로 인해 되돌려졌습니다. 해당 사용자가 해당 문서의 토론에서 의견을 개진해줄 것을 표명하고 있는 바. 편집 방향에 관해 이견이 있는 Braveattack님께 실례를 무릅쓰고 토론 참여를 부탁드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6월 9일 (일) 03:11 (KST)답변
- 일단 본명 표기에서는 다른 스포츠인들 처럼 기왕 정보상자가 개편되었으니 본명 표기에 정식 이름의 원어명을 표기하자는 쪽이지만 나름 편집 활동과 생업 때문에 따로 의견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단 토론은 주시하고 있으니 나중에 생각이 정리된다면 토론란에 의견을 개재하겠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6월 10일 (월) 23:28 (KST)답변
- 답변 감사드립니다. 음... 지금 문서를 포함해서 과거부터 Braveattack님과 위키 내부의 관심사, 주요 편집 분야가 겹치는 부분들이 많다 보니 다양한 주제와 문서 작성방식에 관해 Braveattack님과 많은 의견이 오갔던 것이 기억납니다. 다양한 문서에서 여러 의견들을 교환하면서,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크게 대립하지 않아도 되었던 일들에 서로 크게 대립했었던 부분들이 떠오릅니다. 이전부터 적절한 타이밍을 찾느라 많이 고민했었지만 지금이라도 답변을 드리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그동안 있었던 Braveattack님과의 편집 분쟁들에서 Braveattack님께 본의 아니게 실례를 드린 부분에 관해 사죄를 드립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6월 11일 (화) 00:33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일전에 제 사용자토론에서 오갔던 내용 외에 A매치 기록을 어느 것으로 적어야 할 지에 관해 보충 생각을 알려드립니다. 앞서 Braveattack님의 의견을 무시하지 않고 있음을 알려드리며, 편집 요약에 적기에는 너무 글이 길어져 이곳에 적게 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FIFA는 그들이 집계한 국가대표 출전 및 득점 집계 기록을 시간이 지나 바꾸는 경우가 있지만 이를 FIFA 공식 홈페이지 등 공식 출처를 통해 명확히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레비의 경우 영위백 역대 득점 기록 문서에서처럼 Braveattack님께서 작성해주신 대로 레비가 출전한 경기에는 FIFA 비공인 A매치 3개가 들어가 있습니다.(대한민국 대표팀과의 경기 1회, 지브롤터 대표팀과의 경기 2회) 이 기준대로라면 FIFA가 집계한 공인 A매치 기록은 6월 13일 기준으로 147경기가 되어야 하나, 제시된 FIFA 공식 국가대표 100경기 이상 출전 선수 기록 pdf에서는 2024년 4월 19일 기준으로 레비의 공인 A매치 기록을 148경기로 규정하고 있어 6월 13일 기준으로 친선 경기 2회가 추가되면 폴란드 축구 협회의 기록 150경기와 동일한 150경기가 됩니다. 이를 역산하면 FIFA가 앞서 비공인 A매치로 규정했던 3경기를 공인 A매치 기록으로 사후인정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지만, 현재로써는 이러한 집계 결과가 변경되었다는 FIFA측의 기록을 공식 홈페이지를 비롯한 다른 곳에서도 찾을 수 없습니다.
- FIFA는 공식 국가대표 100경기 이상 출전 선수 기록 pdf에서 선수의 출전 횟수만 명시하고 있을 뿐 A매치 득점 기록을 명시하지 않아 해당 추론을 적용한다면 앞서 비공인 A매치 3회에서 기록했던 7득점 또한 추가로 인정되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부분에 관해 PDF에서는 명시된 부분이 없어 해당 부분 또한 현재로써는 미지의 영역에 닿아 있습니다. 또한 FIFA는 김재한, 박이천과 같은 공인 국가대표 100경기 미만 출전 선수들의 A매치 집계 기록을 공개하지 않아 이러한 선수들의 경우 FIFA측 공인 기록이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확인할 방도가 현재는 없습니다.(FIFA와 협업하는 RSSSF를 통해 간접적으로 해당 선수들의 기록을 산출할 순 있지만, 해당 기록 또한 100% 믿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앞서 제 사토에서 언급드렸던 것처럼 FIFA 공인 기록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해당 기록을 명확하게 산출할 추가 자료들이 부족해 타언어판 위키백과의 A매치 집계 방식을 한위백에서도 불문율로 적용하게 된 것은 아닌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6월 13일 (목) 21:39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정보 상자에 이름을 표기할 때 한 가지 궁금한 부분이 있어 의견을 여쭙고자 글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아일린 프리슈,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처럼 非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으로 귀화한 인물들의 경우 이들의 이름 관련 정보상자 편집을 어떻게 하는 것이 적절할까요? 이들이 대한민국으로 귀화하며 대한민국 여권과 한국어 이름을 받았으니 한국어 이름(혹은 외래어 표기법을 통해 번안된 이름)을 본명으로 생각해 손흥민처럼 한국어 이름 정보 상자 표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까요, 아니면 그들의 출생 지위를 고려해 비대한민국인의 이름 정보 상자 표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까요??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6월 15일 (토) 14:35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위키백과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렸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1:E60:8850:732:702F:C70B:31BF:86C0 (토론) 2024년 6월 24일 (월) 21:12 (KST)답변
- 댁이나 훼손하지 마십시오 Braveattack (토론) 2024년 6월 24일 (월) 21:20 (KST)답변
Pozzo면 이탈리아 성씨 아닌가요? Gksyy (토론) 2024년 7월 13일 (토) 11:42 (KST)답변
- 토마스 포소는 이탈리아 혈통이지 이탈리아인이 아닙니다. 농구 선수인 마누 히노빌리도 이탈리아계지만 히노빌리라고 스페인어식으로 발음합니다. 토마스 포소가 나온 중계 영상 몇 개 찾아봤는데 포초라고 발음하는 곳도 있지만 스페인어권 중계에선 포소라고 나오고 있구요. Braveattack (토론) 2024년 7월 13일 (토) 11:45 (KST)답변
- 마빈 박이나 외국계의 경우에도 성씨는 본래어 그대로 표기하고 있던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애매하네요. Gksyy (토론) 2024년 7월 13일 (토) 11:49 (KST)답변
- 아르헨티나 정치인 중에서도 이탈리아 혈통인 레이날도 비그노네나 독일 혈통인 네스토르 키르치네르도 각각 원어식 표기인 "비뇨네"나 "키르히너"가 아닌 스페인어식으로 표기합니다. 외국 인명 표기시 그 나라의 외래어 표기를 따르고 있는 추세이며 마빈 박처럼 압도적으로 알려진 경우에나 예외를 두고 있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7월 13일 (토) 11:53 (KST)답변
- @Gksyy 스페인어는 위의 사례와 티아고 알칸타라처럼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비스페인어 이름을 스페인어로 모두 통일해 발음합니다. 사실 마빈 박도 현재는 제1국적을 스페인으로 삼고 있고 제1언어를 스페인어로 삼고 있어 스페인 현지 중계, 라스 팔마스 입단 인터뷰에서처럼 스페인어 발음, 표기를 따른 "마르빈 파르크"로 이름을 작성하는 것이 더 적합하긴 합니다. 해당 항목에 관해서는 제가 추후에 수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7월 13일 (토) 14:22 (KST)답변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Braveattack님께서 수정했던 학교 문서 내용들이 새벽에 되돌리기 처리되었습니다. 보아하니 되돌린 상대방이 토론에서 Braveattack님이 남겼던 글도 임의로 지운 것 같아 해당 유저가 건실한 토론 협업 자세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선택은 Braveattack님께서 하시는 것이지만 만약 여의치 않을 경우 단순 되돌리기보다는 더 강력한 수단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7월 17일 (수) 09:18 (KST)답변
- 대신 사용자 요청에 회부하셨네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7월 17일 (수) 10:43 (KST)답변
- 아닙니다... 해야 될 일을 했을 뿐입니다🙂
- 아 Braveattack님, 마침 2024년 하계 올림픽을 맞이하여 곧 위키백과:2024 파리 올림픽 에디터톤이 시작되니 올림픽과 스포츠 문서를 주로 작성하시고 있는 Braveattack님께서 해당 에디터톤에 참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른 위키들과는 달리 열심히 참여해 순위권에 들어가면 보상도 주어지고 제가 그동안 보았을 때 Braveattack님께서는 충분히 순위권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7월 17일 (수) 11:07 (KST)답변
- 그리고 그동안 해준 문서 훼손 행위들에 맞선 편집들과 되돌리기 관련 활동들을 보았을 때 Braveattack님께서는 백:일괄 되돌리기 사용자의 자질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도 생각됩니다. 해당 권한 부여에 지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7월 17일 (수) 11:22 (KST)답변
Braveattack님 안녕하세요.
2024년 파리 올림픽도 어느덧 다음주로 다가왔습니다. 올림픽에 앞서 미리 관련 문서를 만들고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7월 20일부터 시작되는 파리 올림픽 에디터톤에 참여하여 문서를 기여하는 분들에게 파리 올림픽 마스코트 인형, 배지 등 다양한 리워드를 증정할 예정입니다. 에디터톤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4년 7월 17일 (수) 17:37 (KST)답변
Braveattack님 안녕하세요. 제가 한동안 방치되어 있던 노먼 프리차드 문서를 발견했는데요. 해당 문서를 수정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8월 7일 (수) 11:17 (KST)답변
- 안녕하세요 상진화 님 조만간 한 번 손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8월 7일 (수) 11:19 (KST)답변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China)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했습니다. 실제 사용한 이름을 찾아 정리 중입니다. (대만은 출처 찾기 힘들었는데 [1] 이 기사를 중심으로 출처 보강해서 정리 예정입니다.) -- ChongDae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3:39 (KST)답변
- 현재 공식 올림픽 영상 송출 자막을 보면 "Peoples Republic of China"라고 분명히 나와있습니다. 최근 파리 올림픽에서도 해당 국명으로 나온것도 확인했구요. Braveattack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3:45 (KST)답변
- 자국에서 열린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동영상[2]을 보면, 피켓이나 장내 방송에서 영어로는 "Peoples Republic of China"라고 하고, 중국어로는 "中国"라고 하고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7:26 (KST)답변
- 베이징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은 피켓에 "한국"(Korea/韩国)을 썼습니다. 도쿄 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大韓民国)이었고요. 실제 피켓에 쓴 표기도 대회마다 Korea, Republic of Korea 양쪽이 다 쓰였습니다. 서울 올림픽에서 동독/서독은 독일 민주 공화국/독일 연방 공화국이었고요. 중국도 China만 쓴 경우, PRC 다 쓴 경우 다 있습니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는 IOC 등록명이 "버진아일랜드"(Virgin Islands)입니다. -- ChongDae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7:55 (KST)답변
- 그 사실이 중화인민공화국 대신 중국을 써야한다는 강제력을 지난 근거로 보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만 현재 계속 진행 중인 중국 vs 중화인민공화국 명칭 통일 토론이 중국으로 결론이 난다면 중국으로 이동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하지만 지금 위키백과 내 문서명이 중화인민공화국이라면 그대로 따르는 게 맞는걸로 보입니다. 단체 종목에 출전하는 중국 대표팀의 명칭이 계속 Peoples Republic of China로 일관되게 나오는 것을 보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해야 한다고 봅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7:59 (KST)답변
틀: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400m 금메달리스트 편집 관련해서 '제목을 검은 색으로 표기하면 링크를 확인하기 힘듭니다.' 라고 하셨습니다. 물론 링크 확인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나 이미 기존의 다양한 틀에 색상을 사용한 경우가 많고,
(예:틀: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 금메달리스트 - 검정색, 틀:올림픽 수영 남자 800m 자유형 릴레이 금메달리스트 -검정섹, 틀:2015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하얀색, 틀:2006년 FIFA 월드컵 오스트레일리아 선수 명단 -초록색 (특히 축구 국가대표팀 틀의 경우 링크와 상관없이 색상을 통일하네요),
특히 메달리스트 틀의 경우 금색이 베이스이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가면 가독성이 검은색 보다 매우 떨어집니다. 링크 확인도 중요하지만 가독성 면에서는 검정색이 더 좋다고 생각해서 의견 남깁니다. -97wiki (토론) 2024년 8월 22일 (목) 14:25 (KST)답변
- 가독성 면은 사람에 따라 다른 듯 합니다. 전 파란색도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언어판의 메달리스트 틀에서도 링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엔 검정색 글씨를 사용합니다만 링크를 쓸땐 본래 색상인 파란색을 쓰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8월 22일 (목) 19:19 (KST)답변
- 의견 감사합니다. -97wiki (토론) 2024년 8월 22일 (목) 21:3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