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jl: 아니요^^ 멘토는 하고 싶은 사람이 조건만 된다면 자신을 멘토로 올리면 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만난 사람도 없고 대화해본 적도 없기 때문에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저는 멘토로 등록한지 얼마 안되었고... Akjl 님도 추후에 멘토를 하고 싶다면 위키백과:멘토에 사용자 이름만 입력해놓으면 할 수 있어요^^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1월 7일 (목) 19:34 (KST)답변
@암호클럽: 잘하는 법은 연습이 아닐까요?^^ (저는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를 한국어로 번역해 오는 것을 시작으로 문서 편집을 해오기 시작하다가 한국어판에서도 문서를 만들기 시작해서...) 특수:내사용자문서/연습장에서 연습할 수 있으며 사용자 하위문서를 개인 위키 관련 작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말하자면 앞에서 링크로 걸어드린 특수:내사용자문서는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 문서로 링크가 됩니다. 편집 잘 하는 법을 잘 알려드리지 못하겠네요^^;; 제가 그리 말을 잘하는 편이 아니라서.... 숙련되면 잘 하게 될 거예요^^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1월 26일 (화) 00:41 (KST)답변
그리고 혹시 차단하는법좀 가르쳐 주세요 왜냐하면 컨셉잡고 날뛰는 애들이 게속 문서 망쳐서 차단하고 싶은데 하는법을 몰라서 문서가 크게 망가진 적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문서 망칠시 주의 경고 차단 이렇게 하는법을 알고 싶어요. 암호클럽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08:17 (KST)답변
@암호클럽: 사용자 차단은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에서 해당 계정을 차단 요청하면 됩니다. 위키백과에 필요한 키라면 혹시나 외부 사이트로 링크를 걸 때는 대괄호([)를 한번만 사용하면 됩니다. 예시로 네이버 같은 경우에는 [1]라고 치면 [2]처럼 숫자로 링크가 걸리고 네이버라고 치면 네이버처럼 지정된 문자로 링크가 표시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키라고 하면은 인용 틀도 주로 사용될 듯합니다. 인용 틀은 해당 문장의 출처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며 {{웹 인용}}, {{뉴스 인용}}, {{서적 인용}}, {{영상 인용}}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해당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면 있습니다. <ref>{{웹 인용|url=URL 입력|제목=인용된 곳의 페이지 제목을 입력|저자=페이지를 쓴 사람을 입력|웹사이트=게재된 곳의 웹사이트 이름을 입력|출판사=출판된 곳의 이름을 입력|날짜=해당 페이지가 게재된 날짜를 입력|확인날짜=페이지를 확인한 날짜}}</ref>--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1월 26일 (화) 09:02 (KST)답변
@암호클럽: 그리고, 여기는 저의 토론 문서라서 토론 달렸을 때 알람이 오지만 다른 문서에서는 토론을 달았을 때는 알람이 가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ㄷ}} 또는 {{핑}}을 사용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답변이 달렸다고 알람이 갑니다. 여기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토론 문서나 다른 문서의 토론에서 저를 호출할 때는 {{ㄷ|Drhyme}}처럼 달고 시작하면 됩니다. 그리고, 토론 문서에서는 토론 해나갈 때마다 맨 앞에 :를 하나씩 추가해서 붙입니다. 예를 들어서 토론을 시작했을 때는 그냥 적고 그다음 부터는 : 그 다음에는 :: 그 다음에는 :::처럼 시작하면 됩니다. 주의사항으로는 한 칸을 띄우고 :를 쓰면 박스가 쳐집니다. 아래처럼
자동 인증된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과 편집 횟수를 만족하면, 기준을 만족한 후 최초로 편집을 할 때 자동적으로 '장기인증된 사용자'(extendedconfirmed) 권한이 부여됩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30일의 시간과 500회의 편집 횟수를 만족해야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30일과 500회 편집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장기인증된 사용자가 될 것 입니다. 그리고, 자기소개 문서가 안 만들어진다고 질문하셨는데... 어떤 방법으로 문서 생성을 시도하시려고 했는지... 안 만들어지지는 않을텐데... 혹시 저장을 하려했을 때 오류가 떴었는지...?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1월 26일 (화) 17:18 (KST)답변
현재 위키백과에서는 서명에 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그러나 틀 사용을 하게 되면 서버의 부담을 떠나, 훼손 행위가 일어나면 자신이 서명을 단 모든 문서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만약 자신이 틀을 이용한 서명을 사용하고 있다면 풀기:를 붙여 치환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윈즈입니다. 현재 저의 일방적인 멘티 데려오기로 인해 많이 당황하셨을거라고 생각됩니다. 현재 암호클럽님이 제 멘티가 되셨고 갑작스러운 일이라 놀라셨을 거라고 생각되어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다시는 오차 없이 하도록 하겠습니다.ㅡ WINS(토론, 기여) 2021년 2월 2일 (화) 17:40 (KST)답변
@관리사무소: 문서 편집은 문서 상단의 편집 버튼을 통해서 (모바일과 어플에서는 연필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새 문서 만들기 마법사를 통해서 문서 만드는 과정이나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본인의 연습장에서 연습을 할 수도 있습니다. 본인의 연습장은 사용자:(사용자 이름)/연습장이니까 관리사무소 님의 연습장은 사용자:관리사무소/연습장이므로 사용자:관리사무소/연습장]]에서 개인적으로 연습할 수 있습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2월 25일 (목) 17:28 (KST)답변
고맙습니다 아주 고맙습니다! — 이 의견은 관리사무소 (토론)님이 2021년 2월 25일 (목) 17:38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답변을 다실 때에는 서명도 같이 달아주세요. 서명은 --~~~~ 그리고, 해당 줄의 맨 앞에 공백을 넣게 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되기 때문에 맨 앞은 띄우지 않기를 권장합니다.
멘토님 봇은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 이 의견은 관리사무소 (토론)님이 2021년 2월 27일 (토) 14:01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고스트 워!: 계정 이름은 위키백과:계정 이름 변경 요청을 통해서 변경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요청을 하실 때에는 이미 적혀 있는 양식은 지우지 마시고 = 옆에 해당되는 내용을 기입해서 저장하면 됩니다. 예시로 고스트 워!를 고스트로 바꾼다고 가정하고 이유가 계정 이름에 개인 정보가 들어간다고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safesubst:Renameuser
|현재 계정 이름/Current Name ={{subst:REVISIONUSER}}<!-- 이 부분은 수정하지 마세요. 저장 시 시스템이 자동으로 입력합니다. --> |새 계정 이름/Rename to = 고스트 |이유/Reason = 계정에 개인 정보가 들어가 있음 |추가 사항/Additional information = |확인/Confirmation = 동의 }}
Drhyme님 안녕하세요. 2021년 과학의달 에디터톤이 시작되었습니다. 과학의 달 에디터톤은 과학기술 문서의 질과 양을 가꾸어 나가는 에디터톤으로 2017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습니다. 잘 쓰여진 글을 써주신 분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기프트콘을 증정해 드립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망개짐니: 익명 사용자 문서를 막는다는 것은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익명 사용자가 문서 편집을 못하게 막는 것에 대한 질문인가요? 익명 사용자의 IP를 차단하시려면 백:사관(문서 훼손자나 악의적인 계정을 특정 기간 동안 차단)을, 특정 문서에 한해서 익명 사용자가 편집 못하게 하려면 백:문관(문서를 특정 기간 동안 보호하거나 준보호)를 참조하세요.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4월 11일 (일) 22:54 (KST)답변
@Fly74585: 사진 올리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올리는 것입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는 자유 저작물만 올릴 수 있으며 모든 사용자가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연예인 사진, 풍경 사진 등의 저작권 허가 없이 자유롭게 퍼갈 수 있는 사진을 자유 저작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앨범 표지, 영화나 드라마 포스터, 만화 캐릭터 등의 저작권이 있어서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비자유 저작물이라고 합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각 언어의 위키백과에서만 올릴 수 있는데 한국어판에서는 업로더만 올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연예인 사진(인물 사진)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 프로필이나 뉴스처럼 저작권이 있는 사진은 올릴 수 없으며 직접 촬영한 사진이나 저작권이 자유로운 사진만 올릴 수 있습니다. 이유는 추후에 자유 저작물로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에 비자유로는 올리지 않습니다.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올리시고, 비자유 저작물은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 링크를 눌러서 양식에 맞게 입력해서 올리시면 업로더가 확인 후 조건에 맞으면 업로드를 합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4월 12일 (월) 19:31 (KST)답변
홍보성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문서가 삭제될 수 있으며, 저작권 침해로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지워지거나 특정판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단 제목 중에 첫 번째 단계 (= =)는 쓰이지를 않으며 두 번째 단계(== ==)부터 사용되며 == == 사이에는 굵은 글씨나 <big> 태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미 문단 제목 자체가 굵은 글씨로 되어 있고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4월 21일 (수) 21:11 (KST)답변
안녕하세요,Drhyme 님!
제가 저의 소개문서? 같은것에 다른분<example. 샤벳상어맛쿠키님,Drhyme님> 처럼 유저박스 같은것을 만들고 싶습니다......
제가 하려고 보니까 도저히 안되는데요...
도와주세요....[제가 시간이 안되서 주 토요일마다 답변 부탁합니다.] --후라이드 (토론) 2021년 4월 24일 (토) 09:09 (KST)답변
@후라이드: 생성되어 있는 유저박스는 위키백과:유저박스 모음에서 주제별로 원하는 유저박스 코드를 복사해서 사용자 문서에 넣으면 되고 직접 만들고 싶으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만들면 됩니다.
항목 부분
여기에 내용을 입력
위 항목은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해서 작성했습니다. {{유저박스| 테두리색= red | 테두리두께 = 4 | 정렬 = right
| 항목 = 항목 부분
| 항목정렬 = left
| 항목바탕색 = yellow
| 항목글자색 = blue
| 항목글자크기 = 7
| 내용 = 여기에 내용을 입력
| 내용정렬 = right
| 내용바탕색 = pink
| 내용글자색 = purple
| 내용글자크기 = 11
}}
글자를 왼쪽 정렬(|항목정렬=left)하여서 ‘항목 부분’(|항목=항목 부분)이라는 파란색 글자(|항목글자색=blue)를 7px의 크기(|항목글자크기=7)로 노란색 바탕(|항목바탕색=yellow)를 왼쪽 칸(항목)에 표시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내용을 입력’(|내용=여기에 내용을 입력)이라는 보라색(|내용글자색=purple)에 11px 크기(|내용글자크기=11)의 글자를 분홍색 바탕(|내용바탕색=pink)에 기입하고 이 표를 굵기 4(|테두리두께=4)의 빨간(|테두리색=red) 테두리로 감싸서 문서의 우측에 정렬한다는 뜻입니다. |내용=은 필수 입력이고 나머지는 선택 사항이라서 입력 안해도 됩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4월 24일 (토) 10:02 (KST)답변
@후라이드: 여기에서는 가급적 위키백과 관련 질문을 해주세요. 복사는 원하는 문자에서 꾹 누르면 영역이 표시되면서 선택 박스 끝에 복사할 영역을 선택하는 뭔가 나올 것입니다. 그것을 당겨서 복사하고 싶은 영역을 선택하고 떠 있는 메뉴에서 복사를 누르면 되고 붙여넣고 싶은 곳에 꾹 눌러서 붙여넣기를 눌러서 넣으면 됩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4월 24일 (토) 21:33 (KST)답변
@체리콕: 서명은 환경설정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위키 문법을 사용해서 자유로운 형태의 서명을 하려면 서명을 위키 텍스트로 취급을 체크하시면 됩니다. 저의 서명은 위키 텍스트로 만들어진 서명입니다. {{글씨 색}}, {{글꼴}}을 통해서 원하는 글씨 색과 글꼴을 지정할 수 있으며 기울어진 글씨는 ''기울어진 글씨, 굵은 글씨는 '''굵은 글씨''', 기울어지고 굵은 글씨는 '''''기울어지고 굵은 글씨''''', 취소선은 <del>취소선</del>, 밑줄은 <u>밑줄</u>로 글자를 꾸밀 수 있습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4월 27일 (화) 21:40 (KST)답변
{{DISPLAYTITLE:'''{{글꼴|사용자:|font=휴먼편지체|color=yellowgreen}}{{글꼴|Drhyme|font=pristina|color=yellowgreen}}'''}}
{{통합 계정 상단 아이콘|번호=1}}
{{업로더 상단 아이콘|번호=2}}
{{위키백과 번역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번호=3}}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번호=4}}
{{학교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번호=5}}
{{유저박스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번호=6}}
{{사용자:Drhyme/시작 탭}}
{{상태|온라인}}
4월 10일 해당 모듈 문서를 수정하신 뒤로 밀리미터를 포함한 수많은 단위 문서들에서 기술적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변수의 한국어 번역은 문제가 없지만, 기존 영어 변수도 호환될 수 있도록 영어 변수는 삭제하지 마시고 그대로 유지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1년 5월 24일 (월) 00:05 (KST)답변
그러면 앞으로 루아 모듈을 수정하실 때에는 루아 문법에 익숙해지신 뒤에 작업하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위키백과:루아에서 루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루아에 익숙해지신 다음 루아 모듈 수정 연습이 필요하시면 별도의 연습장나 시험장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 모듈:연습장/Motoko C. K./convert) 당장에 부득이하게 모듈을 직접 수정해야 한다면 수정하신 이후 해당 모듈에 의존하는 (Drhyme님께서 직접 관여하지 않으신) 문서들을 몇 개라도 살펴주시기 바라며 기술적 문제가 보인다면 바로 되돌려주셨으면 합니다. 오류가 한 달 넘게 독자와 검색 엔진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상황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이해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21년 5월 24일 (월) 00:32 (KST)답변
모듈:Convert를 사용하는 문서가 일반 문서만 해도 2,000개가 넘기 때문에 해당 모듈 수정으로 인해 영향 범위가 큽니다. 사이드바에 위치한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를 클릭하고 이름공간을 "(일반)"으로 선택하시면 그 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루아 모듈을 꼭 틀에서만 사용된다는 보장은 없고, 일반 문서에서도 루아 모듈의 호출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모듈을 사용되는 틀만을 기준으로 보시면 안 될 것으로 생각되어 추가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ted (토론) 2021년 5월 24일 (월) 00:54 (KST)답변
안녕하세요. Drhyme님이 만들었던 초안 문서초안:팀A 1st Stage "PARTY가 시작돼" 등이 6개월 이상 개선이 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습니다. 편집 작업이 1년 이상 이뤄지지 않고 방치된 초안 문서는 삭제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혹시나 삭제를 원하지 않는다면 사소한 편집을 통해서나마 문서를 고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도 위키백과를 늘 보기만하다가 편집에 일조하고 싶어서 이제막 시작하고 있어요...
전혀 기록이 없는 이재성(가수)를 처음 등록해보려고 했어요
그런데 분류를 정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게 무슨 작업인지 이해를 못해서요
뭔가 제대로 안된 것 같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Save-each-other (토론) 2021년 6월 12일 (토) 17:43 (KST)답변
@Save-each-other: 분류는 만약에 이재성 가수가 1957년 9월 8일 생이면, [[분류:1957년 태어남]]을 맨아래에 두면, 한국어로 노래를 부르는 가수이면 [[분류:한국어 가수]]처럼 적으시면 됩니다. 다음 예시는 예린 문서에 달려 있는 분류입니다. 해당 문서 맨 아래에 표시되는 게 다음의 내용으로 입력되어 있습니다. [[분류:1996년 태어남]]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
[[분류:대한민국의 가수]]
[[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분류:대한민국의 아이돌]]
[[분류:여자친구의 일원]]
[[분류:인천광역시 출신 가수]]
[[분류:인천효성남초등학교 동문]]
[[분류:명현중학교 동문]]
[[분류: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동문]]
[[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우선 예린이라는 사람은 살아있는 사람이라서 살아있는 사람 분류라 붙었으며 1996년생이기에 1996년 태어남 분류라 적용됩니다. 나머지 필요한 분류들은 검색해보시고 적용하면 될 것 같은 분류를 다시면 됩니다. 분류를 사용하면 같은 분류가 어느어느 문서에 적용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여자친구의 일원에서 예린을 포함해서 다른 일원은 누가 있는지를 확인해보시고 들어가보면 그 문서도 같은 분류가 있을 것 입니다. 추가적으로 분류를 들어가보면 가끔 분류 넘겨주기라고 되어 있는 분류가 있는데 이는 해당 분류는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알려주고 있는 다른 분류를 적용하라는 내용입니다. 분류:2017년 출생을 보면 이 분류는 비어있어야 한다는 안내와 함게 분류:2017년 태어남에 분류시켜라고 나옵니다. 이렇게 다 달기 힘들면 분류 하나 이상만 달아도 지나가던 누군가가 고쳐주거나 추가적으로 달아주기 때문에 너무 분류에 얽매이지 않아도 될 걸 같습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6월 12일 (토) 19:21 (KST)답변
이재정(1957년 9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이다. '''이재정'''(1957년 9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이다.
”
로 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표제어는 뭐뭐다라고 정의하는 부분이므로 이런식으로 적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
목원대학교 음악교육 학사 .1981년 MBC대학가요제 '은상'을 수상했다. 1986년 KBS가요대상 '남자신인상'을 수상했다.
”
는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
“
== 학력 ==
* [[목원대학교]] 음악교육 학사
== 수상 ==
* 1981년 MBC대학가요제 (은상)
* 1986년 KBS가요대상 (남자신인상)
”
“
1981년 목원대학교 음악교육학과 재학 시절 후배들과 함께 ‘기타 하나 동전 한 닢’이라는 팀으로 MBC 대학가요제에 참가해 '나의 꿈 그리고 사랑'이라는 곡으로 은상을 수상한 이재성, 대학 졸업 후 교사라는 직업을 포기하고 가수가 되기 위해 홀로 서울행을 택했다. ‘노래를 통해 많은 것들을 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오직 가수가 되기를 꿈꿨던 청년 이재성, 소문만 듣고 찾아간 서라벌 레코드사에서 김범룡, 이혜민(배따라기), 김흥국 등과 함께 무명의 세월을 보냈다. 당시 ‘평범하고 데뷔하기 힘들 것 같다’는 관계자의 말에 오기가 생겨 클래식에 길들여진 자신의 음악적 성향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고, 수십 곡의 시행착오 끝에 '기타 하나 동전 한 닢'이 실린 1집 앨범을 발매해 15만 장이라는 판매고를 기록했다.
”
는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
1981년, 목원대학교 음악교육학과 재학 시절 후배들과 함께 ‘기타 하나 동전 한 닢’이라는 팀으로 MBC 대학가요제에 참가해 '나의 꿈 그리고 사랑'이라는 곡으로 은상을 수상하였다.
”
여기서 이재성에 대해서 설명중이라서 이재성은 불필요합니다.
“
대학 졸업 후 교사라는 직업을 포기하고 가수가 되기 위해 홀로 서울행을 택했다. ‘노래를 통해 많은 것들을 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오직 가수가 되기를 꿈꿨다. 소문만 듣고 찾아간 서라벌 레코드사에서 김범룡, 이혜민(배따라기), 김흥국 등과 함께 무명의 세월을 보냈다. 당시 ‘평범하고 데뷔하기 힘들 것 같다’는 관계자의 말에 오기가 생겨 클래식에 길들여진 자신의 음악적 성향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고, 수십 곡의 시행착오 끝에 '기타 하나 동전 한 닢'이 실린 1집 앨범을 발매해 15만 장이라는 판매고를 기록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어 위키백과에 문의합니다
아파트를 짓는 과정에서 시공사가 파산되었다가 다시 재판을 통해 시공을 다시 할 수 있다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아파트를 짓다 말았기에 공사를 하는 과정인데 소위 아파트를 짓기 위해 들어왔던 공사업체에서 제3자에게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넘겨 주고 공사업체는 다 철수를 하였습니다
그래서 다시 시공사가 공사를 하기 위해 아파트에 들어왔는데 불법으로 각 호수에 모르는 사람들이 들어와 살고 있는데 주민등록지상 등재도 되어 있지 않고 몰래 들어와 살고 있는데 이들을 내 강제로 내 보낼 수 있는지 궁금하여 물어봅니다.
경찰관들은 무단으로 점유하고 있더라도 사실상 주거를 인정해야 된다고 하면서 아무런 연고도 없는 사람을 내 보내 주지 않고 있는데 경찰관의 즉시강제에 의해 신원을 확인하고 아무런 관련도 없으면 내 보낼 수 있는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우탐정 (토론) 2021년 6월 18일 (금) 17:46 (KST)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들어온지 얼마 안된 뉴비입니다.. 문서를 만들때 문법에 궁금한것이 있어 이렇게 멘토님께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표를 만들고 싶어서 그러는데, 표를 만드는 문법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관람하는사람 (토론) 2021년 7월 5일 (월) 18:03 (KST)답변
{| class="wikitable"
|+최애 멤버
|-
! colspan="2" | 멤버 정보
! rowspan="2" | 소속 그룹
|-
! 이름 !! 생년월일
|-
! 예린
| 1996년 8월 19일
| style="color:red;" | 여자친구
|- style="background-color:pink;"
! 야부키 나코
| 2001년 6월 18일
| align="right" | 아이즈원
|}
최애 멤버
멤버 정보
소속 그룹
이름
생년월일
예린
1996년 8월 19일
여자친구
야부키 나코
2001년 6월 18일
아이즈원
위의 문법 중에 {|는 틀의 시작, |}는 틀의 끝을 나타냅니다. |+는 한컴 등에서의 표에 캡션을 다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는 행과 행을 구분시켜줍니다. !와 |는 각 칸을 구분합니다. 위의 예시를 보면 굵은 글씨와 칸의 색이 회색이 되는 등 항목 제목 등을 입력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보다보면 !!가 있는데 이 경우는 문법으로 기입 시에 같은 줄에서 각 칸을 표현할 경우에 구분을 하며 각각의 줄에서 사용할 때는 !처럼 한 번 사용합니다. 이는 |도 동일합니다.
colspan="2"은 이 칸을 포함하여서 우측으로 두 번째 칸까지 병합을 하며, rowspan="2"이면 이 칸을 포함해서 아래로 2번째 칸까지를 병합합니다.
만약, 둘 방향으로 병합하려면 colspan="2" rowspan="2"처럼 입력할 수 있습니다.
align="right"는 글짜를 오른쪽 정렬로 합니다.
마지막으로 | style="font-color:pink;" | 분홍색에서 좌측은 해당 칸의 속성을 우측은 칸에 나타날 내용이며, 속성을 생략할 경우 | 분홍색만 기입하면 됩니다. 자세히는 위키백과:표를 참조해보세요.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유동린:위키백과:계정 이름 변경 요청에서 변경 요청을 하면 됩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계정 이름 변경 요청을 클릭하면 양식이 자동으로 입력되며 양식에 맞게 기입하면 됩니다
예시) 만약 해당 계정에서 앨리스라는 계정 이름을 변경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afesubst:Renameuser
|현재 계정 이름/Current Name ={{subst:REVISIONUSER}}<!-- 이 부분은 수정하지 마세요. 저장 시 시스템이 자동으로 입력합니다. -->
|새 계정 이름/Rename to = 앨리스
|이유/Reason = 현재 계정 이름에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 사항/Additional information =
|확인/Confirmation = 동의
}}
여기서 |새 계정 이름/Rename to = 같은 부분은 수정을 하시면 안되고 그대로 둬야 됩니다. 내용은 = 뒤에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현재 계정 이름/Current Name은 자동 입력이라서 건들이면 안됩니다. 이유는 예시가 아니더라도 되며, 확인에는 요청시에 위에 표시되는 편집 안내에 대해서 동의할 경우 동의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7월 11일 (일) 16:01 (KST)답변
표 부분만 작업되어 있습니다. 해당 부분 복사하고 고칠 곳 마저 고치시면 됩니다. 나라 이름, 바다 이름 등은 옮겨져 있으니 작업량을 줄이시는데 도움이 될거에요. 단순 기계적 치환이라 잘못된 곳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21년 7월 27일 (화) 11:57 (KST)답변
@관람하는사람: 우선 ref는 각주(주석)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예를 들어서 [[2020년 하계 올림픽]]<ref group="주">원래는 2020년 개최예정이였으나 1년 미루어져서 2021년에 개최되었다.</ref>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주 1] 여기서 group이 지정된 각주일 경우에는 <references group="주" /> 또는 {{각주|group=주}}를 사용하여야 표시되며 group="주"가 없는 ref는 따로 references가 없어도 문서 맨 아래에 표시됩니다. 자세하게는 아래 각주 참조주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ref>[[위키백과:각주]]</ref>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하게는 아래 각주 참조주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1] 아래 문법은
2020년 도쿄 올림픽은 8월 8일 끝났습니다. 양궁, 펜싱, 육상, 수영, 근대5종 등 33개 종목, 339개 부문에서 메달과 기록을 놓고 겨룬 205개국 그리고 난민 선수단. 만천여명의 사람들이 스포츠의 제전에서 자신의 기량을 겨루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올림픽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선수와 메달리스트 그 치열했던 기록을 백과사전에 한 폭으로 담아내는 건 위키인 여러분의 몫입니다!
해당 파일 삭제신청 사유에 보면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의 원칙의 9번 항목 참조'라고 나와있습니다. 해당 위키백과 문서의 원칙 부분의 9번 항목을 보면 비자유 저작물은 백과사전에만 사용할 수 있다고 나와있는데, 혹시 오기를 하셨거나 해당 파일이 기타 비자유 저작물 원칙에 어긋난 이용이라고 보시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호로조 (토론) 2021년 8월 22일 (일) 17:16 (KST)답변
@호로조: 저도 5개월 전이라서 기억이 안나서 역사를 확인했는데 노던 퍼시픽 레일웨이의 생성 시간이 2021년 3월 1일 오후 5시 23분이며 제가 삭제 신청을 한 시간이 2021년 3월 1일 오전 11시 4분이라서 삭제 신청 당시에 이미지가 먼저 업로드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에 맞지 않아 삭제 신청을 한 것 같습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8월 22일 (일) 17:41 (KST)답변
@김죽: 유명해지고 안 하고는 상관 없습니다. 그리고, 앞에 @를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여기 토론에 글을 올리면 자동적으로 해당 토론의 주인 계정에게 알림이 가게 됩니다. 근데, 그 외 문서에서는 알림이 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른 문서에서도 특정 사용자에게 알림이 가게 하도록 만들어진 틀이 {{핑}} 입니다. 예시로, 홍길동이라는 사용자의 토론에 토론을 추가하면 홍길동이라는 사용자에게 알림이 갑니다. 반면에, 저한테는 알림이 안 옵니다. 이 때 {{핑|Drhyme}}를 붙이면 홍길동 토론에서 토론을 달아도 저에게 문자가 가는 것입니다. 지금 여기서도 @가 붙는 게 제 사용자토론이다보니 알림이 가지 않지만 {{핑}}을 통해서 토론 답변을 달아서 그쪽에서도 알림을 통해서 답변이 달렸음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결론을 말하면, 제 사용자토론에서는 앞에 @를 달지 않아도 자동으로 알림이 갑니다. --Drhyme (✏️토론 | 📤메일 | 📁업로드 파일) 2021년 8월 25일 (수) 13:5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