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Ellif/보존문서4위키백과 가입시 활동을 노스모크의 연장상으로 보았기 때문에 위키백과에서의 보존문서는 4번부터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재 4개의 보존문서가 있습니다. before1452Constantinople은 게임 시스템이 아닙니다;; 제가 WoD-VtM에 약간 변형을 가한 하우스룰이죠..; Caffelice 2005년 2월 10일 (木) 12:50 (UTC) 부탁드립니다. 아무리 화가 났어도 긍정적인 토론을 이끌어 주세요. 그 글을 아무리 봐도 누가 개신교에서 누굴 뺀다고 한 내용은 없네요. --Puzzlet Chung 2005년 4월 20일 (水) 07:52 (UTC) 세일러문 캐릭터들은 그냥 세일러문 쪽에 담아두는 게 어떨까요? 행성 이름을 따왔기 때문에 따로 만들면 로마의 신 이름들과 다 겹칩니다. (로마의 주신을 "비너스" 대신에 "베누스"로 한다면 혹시 모르겠지만요.) 박종대 2005년 4월 27일 (水) 04:54 (UTC) Wikiquote:ko:창세기 페이지는 저작권에 맞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위키자료집으로 옮기고 아니면 페이지를 지우겠습니다. --Puzzlet Chung 2005년 5월 6일 (金) 02:07 (UTC)
Wikiquote:ko:창세기 페이지의 내용이 어느 번역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갈라드리엔 님의 설명에 따르면 저작권이 걸려 있는 것 같으니까 지우겠습니다. 그런데 그 위의 문장은 잘 이해가 안 갑니다.
--Puzzlet Chung 2005년 5월 6일 (金) 13:08 (UTC)
클링온..스타트렉 DVD에서도 "클링온"이라는 말을 씁니다. 클링곤보다 클링온 쪽이 맞는 거 아닌가요? (소스를 찾지는 못했지만요.) 되돌려주세요. 클링온은 이미 위키백과 여기저기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5년 5월 20일 (金) 15:34 (UTC)
Thank you very much!그리스 문자가 깨진 것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의 성조 표기가 되어 있던 것인데, 글꼴이 있으면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상관 없지만 성조 표기가 되어 있다면 더 낫지 않을까 하면서 한편으로 그 문장을 보려고 글꼴을 설치하라는 문구를 넣는 것도 조잡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Puzzlet Chung 2005년 6월 10일 (金) 12:46 (UTC) 매우 감사합니다--잭 ✉ ✉ 2005년 6월 21일 (火) 12:14 (UTC) 신약성서의 인터위키언어 정리 부탁.신약성서 페이지에 영어 위키백과로의 인터언어위키를 달아주실 수 있는지요? 파일을 직접 고치지 않고 그냥 표로 정리해 주셔도 좋습니다. 제가 하려니 좀 힘드네요. 구약성서는 이미 거의 다 달려 있는 듯 싶네요. -- ChongDae 2005년 7월 3일 (日) 12:35 (UTC) 한국판/한국어판 문제LERK 님이 제가 지금까지 본 LERK 님이라면 독도를 다케시마 섬으로 옮겨야 한다거나 동해를 일본해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은 하지 않으실 겁니다. ko.wikipedia.org가 한국판이 아니라 한국어판이라고 해도, 한국어를 쓰는 사람 - 한국 안에 있든 밖에 있든 - 사이에 널리 받아들여진 용어가 있기 마련이고, 그것이 가령 집시처럼 크게 모욕적이거나 비중립적인 표현만 아니라면 그 낱말을 쓰는 것이 대부분 옳고, 아마 LERK 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판타지와 환상 소설을 구분하게 된다면, 용어가 모호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설명을 문서에 적어 줘야겠죠. --Puzzlet Chung 2005년 7월 22일 (金) 09:55 (UTC) 참조- Ellif 2006년 6월 20일 (화) 23:47 (KST) 만화부제: 아직까지 만화와 애니를 나라별로 분리할 수 없는 이유
Thanks for your answer. Have you a category for manhwa like : [3] and [4] ? Petrusbarbygere 2005년 8월 17일 (水) 16:34 (UTC) 애니 vs. 애니메이션저는 '제목 (애니)' 보다는 '제목 (애니메이션)'을 선호합니다. 애니와 애니메이션의 어감이 다르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아직 '애니메이션'이 표준이니까요. --Puzzlet Chung 2005년 8월 26일 (金) 03:57 (UTC)
'애니'는 '애니메이션'을 줄인 말이지만 백과사전에서 일반적으로 쓸 만큼 널리 받아들여진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애니메이션 문서의 이름이 애니가 아닌 것처럼 '제목 (애니)'도 '제목 (애니메이션)'이라고 해야 합니다. --Puzzlet Chung 2005년 8월 26일 (金) 07:17 (UTC)
그렇게 합시다. 혹시 -(애니)로 끝나는 문서 제목이 있다면 옮길 수 있도록 알려 주십시오. --Puzzlet Chung 2005년 8월 26일 (金) 13:54 (UTC) 이견?무슨 이견이 있어요? 데이빛 2005년 9월 5일 (月) 16:34 (UTC)
흠 제가 보기에는 국제보조어를 만들려고 하는 것때문에 우리 의견이 이미 99% 똑같은데, 국제보조어에 관심이 없거나 좋아 하지 않은 사람들과 훨씬 더 큰 이견이 있겠죠. 에스페란토사람들을 형제라고 생각해요. 데이빛 2005년 9월 6일 (火) 22:55 (UTC) Dislikes하하 저도 표준어주의와 안티가 마음에 안 들어요. 일본어로 말할 때는 하카타벤 (후쿠오카사투리)를 써요. 데이빛 2005년 9월 6일 (火) 23:03 (UTC)
최근의 편집개인적인 감상을 기준으로 편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립적 시각을 유지해주세요. -- ChongDae 2005년 9월 13일 (火) 03:45 (UTC)
신약에 나오는 이름 정하기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기독교에 의견 남겨 주세요. --Puzzlet Chung 2005년 9월 27일 (火) 16:04 (UTC) 중립적 입장.Galadrien 님도 개신교 입장이 아닌 중립적 입장에서 글을 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개신교 입장에서 검토해주시는 건 좋은데, 그런 내용이 본문을 압도한다면 주객이 전도된 것이 아닐까요? 몰몬경에 쓴 내용을 토론으로 돌려놓았습니다. -- ChongDae 2005년 10월 8일 (土) 16:02 (UTC)
교황 페이지.이미 제 작업장에서 역대 교황 쪽으로 옮겼습니다. 그 쪽을 수정해주세요. -- ChongDae 2005년 10월 15일 (土) 14:40 (UTC) 로마 포럼?it:Fori Imperiali와 it:Foro Romano가 둘 다 있는걸요? 뒤쪽이 로마 포럼 아닌가요? -- ChongDae 2005년 10월 19일 (水) 08:10 (UTC) 성경 관련 redirect.이왕이면 이미 있는 페이지로 해 주시겠습니까? 개신교 성경과 가톨릭 성경이 "다른" 것이 아니라면요. -- ChongDae 2005년 10월 19일 (水) 08:32 (UTC)
전부 다 "마 (성경)" 식으로 정리하는 게 어떨까요? 가톨릭 성경에 대한 약자들도 마찬가지로요. (그래야 쓰는 사람도 일관성이 있어 편하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같은 약자가 다른 성경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나요? -- ChongDae 2005년 10월 21일 (金) 16:30 (UTC)
두글자 약자도 안전하지 않은데요? "고전"이나 "대하"와 같은 예도 있으니깐요. 나중에 템플릿을 써서 {{성경약자|딤|1:2}} 식으로 쓸 수 있도록 하면 되지 않을까요? 일관되게 꼬리말이 붙어 있다면 그게 아무리 길어도 어려울 건 없습니다. -- ChongDae 2005년 10월 25일 (火) 14:39 (UTC) 기울여쓰기NPOV가 아닌 부분이나 사실과 다르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을 갈라드리엔 씨는 기울여쓰기로 처리하시던데, 그런 편집 스타일을 모르는 방문자들은 그것을 보고 갸우뚱 할지도 모릅니다. 그냥 토론 쪽으로 옮겨 주시거나 아예 과감히 지워 주세요. --Puzzlet Chung 2005년 10월 23일 (日) 16:16 (UTC)
미국 위키백과의 fairuse좀 과하게 남용되고 있습니다. 미국 저작권법은 한국 저작권법이 아닙니다. 그리고 fairuse는 GFDL과 호환되지 않고요. 개인 웹사이트에서 허용되는 것과는 다르죠. -- ChongDae 2005년 12월 3일 (토) 14:23 (KST)
저작권에 대한 지적과 국적이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미국 위키백과와 한국 위키백과가 취하고 있는 저작권에 대한 정책이 다른데 왜 미국 위키백과에 가서 항의를 해야합니까? 이해할 수 없군요. --CN 2005년 12월 3일 (토) 16:07 (KST) anipicture에 대해서...다른 서버를 사용한다는건 무슨 말씀이신가요? 전 저작권 보호 센터의 답변에 양면성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저작권 문제 없이 사진들을 올릴 수 있다면 저야 당연히 환영이지만 현재의 한글위키에서는 힘들 것 같네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랜튼 2005년 12월 6일 (화) 21:16 (KST)
동음이의처리했습니다. 뒷처리 부탁해요. -- ChongDae 2005년 12월 8일 (목) 18:44 (KST)
성경 이름..아직도 갈 길이 머네요. 대충 이런 템플릿을 각 성경 페이지에 다는 건 어떨까요? 지금은 예이고 템플릿 틀을 만들어 입력을 쉽게 하는 건 도와드리겠습니다. 필요하다면 그리스어, 라틴어 표기도 추가하죠, 뭐.
등을 알아봐주셨으면 합니다.-- ChongDae 2005년 12월 10일 (토) 15:39 (KST)
원어는 고전 그리스어(70인역)와 라틴어, (구약의 경우) 히브리어까지가 가능하군요. 셋 다 적을 수도 있겠네요. (히브리어는 RTL의 압박이... 일본어 위키백과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표제에 적어뒀네요. 예: (ja:ヨハネによる福音書) 제가 구약의 가톨릭판을 정리한 것도 인터넷 서점의 목록을 기준으로 정리한거라 최종판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혹시 구하실 수 있으면 확인부탁드립니다. 신약 부분도 마저 정리해야 하고요. 또, 두 성경의 한글 약자도 다를테니 약자도 함께 조사해주세요. 현재 인터위키는 대충 정리가 끝나 있습니다. 상하나 1,2,3 식으로 나뉘어 있는 경우는 언어판별로 묶어서 문서를 만들기도 해 놔서 좀 꼬여있을 수는 있고요. -- ChongDae 2005년 12월 10일 (토) 23:00 (KST)
fr:Munificentissimus Deus하고 같은 건가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26일 (월) 12:38 (KST) 김서영의 기사에 대해서전자우편주소는 첫판으로부터 있었습니다. 본인에게 본인이 쓴 것인지 확안을 의뢰하고 있습니다. 그것 까지는 게재를 보류하려고 합니다.--효리 2005년 12월 28일 (수) 14:13 (KST) 전에 사랑방에서 나의 글에 서명했을때서명하신 것과 제글에 의견을 남긴 것에 대해서 감사합니다. 사실 저는 일어기준에 대해서는 얼마전부터 기분이 나빴어요. 그런데 거뜩이나 한국어위키에 위키기준이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효리님이 일어기준으로 한국어위키에 적용시킬려고 했던거에요. 좀 정신이 나갔는지 몰라도, 반일감정까지 섞여서 갑자기 효리님을 비판했던것은 사실입니다. 죄송합니다. 자제를 하겠다면 하겠습니다. 갈라드리엔님, 효리님에게도 전해주세요. 사실 제가 일어기준은 반대하는 사람인데, 일어기준으로 적용하니까 사랑방에 효리님을 비판하는 글을 올리고, 정신이 그때 나가서 어쩔줄을 몰랐다고요. 죄송하고 진심으로 사과합니다. 쪽지 보내주세요. - Russ 2005년 12월 28일 (수) 오후 6:35 INTP님도 INTP군요? ㅎㅎ 방가방가 -- WonYong 2005년 12월 28일 (수) 23:42 (KST) 아카이브 워크샵IRC에서 하던 얘기가 아직 안 끝났죠? 이번주 금요일이나 토요일 중에 시간 괜찮을 때 만나는 게 어떨까요. 위치는 갈라드리엔 씨가 편하신 쪽으로 하시고요. --Puzzlet Chung 2006년 2월 6일 (월) 18:16 (KST)
Pri prononco en la Kino no TabiSaluton! Mi pseŭdonomiĝas Ryoho, Esperanta Vikipediisto de Osako, Japanio. Vi korektis la paĝon kun mesaĝo,"shi estas [si], ne [ŝi] estas." Tamen, mi kredas ke Japanoj prononcas Hepburn-an shi(シ) kiel [ŝi]. Japana shi (シ) kaj Korea 시 ekvivalentas al [ʃi](pli ĝuste al [ɕi)]. Kaj [ʃi] estas Esperanta ŝi. Do Japana shi ekvivalentas al Esperanta ŝi. Fakte junaj Japanoj iufoje prononcas shi kiel [si] pro influo de fremdaj lingvoj, tamen tio estas ne komuna. Pardonon pri litereraron, se via foliumilo ne kapablus unikodon. Amike! 61.86.40.145 2006년 2월 8일 (수) 20:16 (KST) Korean conventions on en:List of anime conventionsHi, saw your edit to the above article and thanks for the input. I do have a question, though. Are these specifically anime/manga conventions, or do they have sci-fi, western comic books, fantasy, martial arts, or other genres in them? Because there's a seperate list, List of multigenre conventions for those. Please move the conventions there if that is the case, or if they are anime/manga-only conventions, then let me know so I can keep tracking them. We're trying to keep everything in order so no one abuses the pages. Thanks again for the assistance.--Mitsukai (talk) GFDL과 호환 가능한 라이선스로 배포하신다고 하셨는데, 그럼 제가 이 그림 파일을 공용에 GFDL로 다시 올려도 되는 것인가요? --Puzzlet Chung 2006년 3월 1일 (수) 11:31 (KST)
이수영경력부문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어떤 부분이 수정이 필요한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llen R Francis 2006년 3월 2일 (목) 12:58 (KST) 삭/장/넌용은 그냥 넣으니 정신없네요. 일부만 발췌하고 그냥 permalink를 이용하는 건 어떨까요? -- ChongDae 2006년 4월 1일 (토) 16:39 (KST)
다시 한번 질문드립니다.이수영 항목의 경력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하시면서 위키백과에서는 연혁식의 목록이 인정되지 않고 있다고 하셨는데 왜 연혁식의 목록이 인정되지 않고 있는지요? -- Allen R Francis 2006년 4월 1일 (토) 17:02 (KST)
이건 말 그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술을 연혁식으로 적은거 아닌가요? 인물에 대해 적을 때 몇년 출생 몇년 사망. 이런식으로 적는다면 송도고의 예와 부합하지만, 어떠한 상을 수상한 것에 대해서 굳이 길게 풀어서 적어야 할까요? 오히려 지저분해 보여질 것 같습니다만. 그런데 저는 위키백과에서 연혁식의 목록이 인정되지 않은 이유를 물었습니다. 동문서답이네요. : ) 답변 부탁드립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4월 1일 (토) 17:14 (KST) 보고도 답변안하시는건 무시하겠다는건지요? -- Allen R Francis 2006년 4월 2일 (일) 17:53 (KST)
컨랭에 대해서컨랭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습니다.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이 컨랭에서 출발했거든요. (특히 판타지 소설에 등장하는 컨랭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래서 이미 하나 변변찮지만 컨랭 하나를 만들어 가지고 있습니다.^^ -Airridi 2006년 4월 23일 (일) 17:20 (KST) "반대"위키백과:삭제 토론에서 ‘반대’라는 표현은 어떤 의견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투표로 세지 않는 방향으로 하고 있습니다. 입장을 바꿔서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6월 1일 (목) 03:28 (KST) 인하대학교토론:인하대학교에서 '최대의 동아리 수'라는 표현의 출처 및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정안영민 2006년 6월 8일 (목) 10:01 (KST) 삭제했습니다. 이미 Template:Animation-stub이 있는데다, 요즘엔 이렇게 체계가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7월 8일 (토) 18:22 (KST)
틀:Animation-stub을 삭제했습니다. 그리고 바뀐 체계에서는 안타깝지만 을 따로 만들지 않는 이상 한국인터넷진흥원제가 작성한 내용을 지워버리셨는데, 주관적으로 홍보차원의 글로 인정하고 지우시지 말아주십시오. 제가 작성한 문서의 내용의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 기관 홈페이지 내용도 제가 작성한 것이니까요. -사용자:Jaeyounkim이 2006년 7월 9일 (일) 15:50 삽입 - By Ellif 글쌔요. 위 기관의 직원이라 그러신지, 비객관적인 면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저희 위키페디아는 객관적인 서술을 중시합니다. 따라서, 홍보차원의 글 자체로는 위키페디아의 항목으로서 인정될 수 없습니다. 더군다나, 이게 위 기관내의 홈페이지 내용을 그대로 배끼신 경우에, 출처가 밝혀지지 않는다면, 이 글은 자동적으로 삭제되게 됩니다. 도메인 퍼블릭인 것인지, 아니면 누가 쓴 것인지, 저작권이 인정된 것인지에 대해 적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갈라드리엔 2005년 3월 4일 (金) 12:59 (UTC) GFDLGFDL은 누구보다도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쪽 분야 국제전문가들과도 같이 교류하고 있고요. 전 제가 올렸던 글이 홍보성이 있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 위키백과 관리자의 자질에 문제를 제기하고 싶습니다. 이곳 관리자들이 어떤 기준에 의해 관리자직을 맡아 이곳을 관리하는지 의문이 생기는군요. 확인도 하지 않고 주관적 판단에 의해 삭제하는 일은 더이상 일어나지 않았으면 합니다. 삭제를 하게된다면 명확한 근거를 남기십시오. 어떤 문구가 부적합하다던지. -사용자:Jaeyounkim이 2006년 7월 10일 (월) 11:23 삽입 - By Ellif 일단 그렇다 하더라도 그 내용을 당장 삭제 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 위키백과는 홍보의 장이 아닙니다. * 위키백과는 GFDL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GFDL을 아직 잘 인식하지 못하셨나 본데.. 그 글이 '누구에 의해서나 상업적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Ellif 2006년 7월 10일 (월) 10:25 (KST) 위키백과: 삭제 정책 준수 요망위키백과:삭제 정책에 따라 삭제를 해 주십시오. -사용자:Jaeyounkim이 2006년 7월 10일 (월) 11:38 삽입 - By Ellif 위에 대한 답변일단, 지금 모든 상황이 한국어 위키백과를 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말씀 중에도 그런 부분이 있으니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일단, 왜 이렇게 자기 내용을 홍보하는데 내용을 삭제하느냐고 물으실 것 같은데, 페이지 삭제는 제가 하지 않았고, 할 수도 없습니다. 모든 페이지 삭제는 백:삭에서 보셨듯이 관리자 분들에 의해서만 삭제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왜 저한테 책임을 물으시는지 그 자체가 이해가 먼저 안가고, 둘째로, 내용은 언제나 GFDL로 수정(즉, 첨가 및 삭제를 포함하여)이 가능합니다. 지금 이 창 아래에도 다음과 같은 내용이 게제되어 있는거 보이신가요?
그러면 왜 저희 위키백과 쪽의 분들이 이 내용을 삭제하게 되신건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완이던 상황에서 아래 내용이 삽입됨: - Ellif 2006년 7월 11일 (화) 11:32 (KST)) 그럼 누가 삭제했습니까?전 아래 내용을 바탕으로 Galadrien 님을 글 삭제자로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관리자가 아니시라면 죄송합니다. 자동적으로 삭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아신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D%86%A0%EB%A1%A0:%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C%A7%84%ED%9D%A5%EC%9B%90 —이 의견을 - LERK (회화 / 기여) 붙임.에 쓴 사용자는 Jaeyounkim(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이수영편집하면서 POV적인 내용 삭제. 그럼 저도 비하대상인겁니까라고 하셨는데 그럼 저도 비하대상인겁니까 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7월 17일 (월) 17:59 (KST)
solfege음이름에 추가하신 내용을 되돌렸습니다. solfege는 음이름이 아니라 계이름입니다. --Puzzlet Chung 2006년 7월 21일 (금) 23:01 (KST) jew유대교는 예수를 구세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예수의 신성 또한 부정하며 아직 메시아는 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링크해주신 건, 성경 해석은 얼마든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것을 다시금 알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전도는 누구나 다 하지 않습니까? 저도 개신교도지만, galadrien님과 같은 대한민국 개신교도들은 언제나 참 열성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Allen R Francis 2006년 7월 25일 (화) 18:58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