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Jjw/2009년
아일랜드의 역사영국 홈네이션의 역사를 다루고 계신걸 보았습니다. 원문의 압박이 대단할텐데 수고하십니다. 다만 고대사 이후에는 어떠한 번역도 하지 않으시던데, 귀찮으시더라도 이왕 하신 문서는 끝 마침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Ph (토론) 2009년 3월 8일 (일) 09:39 (KST)
틀:다른 뜻 용법을 익히세요셀를 타이핑하여 들어와서 셀 (이동통신)로 접근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그 반대 순서가 아니라는 것이지요. 틀:다른 뜻을 모든 동음이의 문서에 붙이는 것이 아닙니다. 틀:다른 뜻 용법을 익히세요. 155.230.16.16 (토론) 2009년 3월 21일 (토) 18:46 (KST)
틀토론:다른 뜻를 주시하고 있으니까 그곳 페이지에 집중해 주십시오. 제주도와 셀 (이동통신) 간의 차이점은 아직 파악하지 못하신 듯합니다. 자신의 말이 논리적이다는 말을 강조하시니... 사용자:Jjw가 빠른 시일 내에 {{다른 뜻}} 틀 용법을 읽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155.230.16.16 (토론) 2009년 3월 23일 (월) 21:21 (KST)
경고사용자:Jjw님은 토론이 진행 중인 문제의 틀을 문제의 용법으로 일 (물리) 문서에 부착하였습니다. 즉각 이와 같은 편집을 중단하십시오.
/작업장의 제안에 대해서음.. 무한도전과 무도를 연결시키는 것은 조금 무리한 연결이 되지 않을까요? 일단 저는 틀토론:다른 뜻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의미가 비슷한 경우에만 붙이면 좋겠다는 생각이고, 무한도전과 무예, 춤은 연관이 별로 없으니까요. 무예하고 춤 양자간에는 한자어라는 공통점도 있고, 비슷한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말이지만, 무한도전의 준말인 무도와 다른 두 개가 비슷한 상황에서 쓰이기는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 --더위먹은민츠(발자취) 2009년 4월 4일 (토) 21:51 (KST)
낙선 사례안녕하세요. 두 번째 관리자 낙선한 adidas입니다^^... 사용자:Kys951께서 추천해 주셨지만 저의 부족함 때문에 결과는 이렇게 되었습니다. 제게 찬성, 반대를 막론하고 관심 보여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이번 선거 결과에 나온 의견들을 토대로 좀더 여러분께 신뢰받는 사용자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4월 25일 (토) 01:10 (KST) 토론 종결해주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shyang23 토론 기여 메일 2009년 7월 25일 (토) 01:02 (KST) 감사합니다.직접 제 토론 페이지까지 오셔서 글을 남겨주시고.. 감사드리고,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다소 이해할 수 없는 일부 사용자의 독단적인 행동도 있었습니다만, 여러 분들께서 수고해 주셔서 마무리가 잘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즐거운 주말 되십시오.--소심자 (토론) 2009년 7월 25일 (토) 01:10 (KST) 인물 틀 사용
출처에 대해서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의 출처에 대해서 입니다만, 기본적으로 일본 위키의 내용을 옮기고 거기에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조금 덧붙였습니다. 덧붙인 부분에 대한 출처가 분명하지 않다면 삭제해야 하는 것이 맞는 일인가요? 다른 언어의 위키 내용을 번역하는 것 외에 다른 정보를 덧붙이는 모든 문서에는 명확한 출처의 명시가 필요한 것인가요? 제가 본격적으로 기여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아직 보다 바른 사용법을 완벽하게는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언을 부탁드립니다.--사쿠라바 (토론) 2009년 8월 2일 (일) 14:58 (KST)
마리나 므니제치의 출처입니다.
위키백과끼리의 검색을 한 것입니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표시는 심사숙고해서 붙이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을 쓴 사람은 사용자토론:61.40.99.208 - 서명을 하지 않아 표기합니다.
칼빈500입니다잘 모르는 사람 잘 안내해 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좋은 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칼빈500 (토론) 2009년 8월 4일 (화) 14:33 (KST)
프리토리아 대학교수정해 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매일 배워갑니다. --칼빈500 (토론) 2009년 8월 6일 (목) 01:29 (KST) 사용자:Yknok29/함께 검토하기
평소에 영국, 아일랜드 관련해서 편집을 많이 해주시는 Jjw님께서 힘을 보태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일랜드 근현대사 관련해서 좋은 작업이 될 것 같습니다.:) --Š.ßULLET. (토론) 2009년 8월 29일 (토) 21:21 (KST)
삭제토론의 종료판정삭제토론의 종료판정은 관리자가 하므로 함부로 종료판정을 하거나 삭제토론 틀을 떼지 마세요.----hyolee2♪/H.L.LEE 2009년 9월 1일 (화) 11:46 (KST)
오해가 있으십니다.사실 그 당시에는 '파벌 논란'에 제 이름이 거명된 자체가 황당해서 노한 나머지 그냥 일을 막 저질른 것일 뿐이지, 해명을 하지 않으려고, 그러고나서 나중에 슬그머니 나타려고 한 것은 아닙니다. 이미 회수 토론이 진행 마당에 돌아온 자체가 '슬그머니' 돌아올 수는 없는 상황이었구요. 이 점에 있어서는 오해를 푸셨으면. BongGon (토론) 2009년 9월 3일 (목) 01:48 (KST)
스페인 내전 관련해서 정리하면 좋을 듯한 문서인 것 같군요. --Š.ßULLET. (토론) 2009년 9월 6일 (일) 20:19 (KST)
틀:항공기정보"항공기 [航空機, aircraft]는 비행기 ·글라이더 ·헬리콥터 ·비행선 ·기구(氣球) 등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공중을 비행할 수 있는 탈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이라고 표준국어대사전에 정의 되어 있습니다. 항공기는 크게 고정날개(고정익)과 회전날개(회전익)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고정익은 다시 동력장치를 가진 비행기와 동력장치가 없는 글라이더(활공기)로 나눕니다. 회전익은 헬리콥터와 오토자이로가 있습니다. 그리고 고정익과 회전익 양쪽 성격을 가진 항공기로서 수직이착륙기(VTOL)가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도 오스프리라는 기체를 실용화하고 있기도 하죠. 결국 항공기는 크게 봐서 고정익은 비행기 [ 飛行機, airplane ], 회전익은 헬리콥터 [helicopter]를 가리킵니다. 결론은 항공기 안에 비행기가 포함되는 것이지 비행기 안에 항공기가 포함되는 것이 아닙니다. 항공기 정보와 비행기 정보 틀을 통합하려면 항공기 정보에서 합치는 것이 옳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이글을 쓴 사람은 사용자:777sms, 서명을 하지 않아 밝혀둡니다. 동료평가와 알찬 글 후보
사랑방
반스타를 드립니다.
-자연머리 (토론) 2009년 9월 22일 (화) 15:10 (KST) 감사합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22일 (화) 15:12 (KST) 어이 없음님은 자꾸 헷갈리는게, 한 물질에 여로 고체상이 있으면 두 상은 물리젃 성질이 다르므로 별개의 상인데, 모두 고체여서 같은 상으로 생각하는 부분이 오류입니다. 대한화학회에 문의하실 것을 추천합니다.ß (토론) 2009년 9월 24일 (목) 12:26 (KST)
열역학과 지구화학을 배운지 오래되어 조금 헷갈립니디만, 제 기억이 맞다면 물의 삼중점과 규선석족의 삼중점은 기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개념입니다. ß님의 말씀대로 상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기체/액체/고체는 큰 상의 변화입니다만, 흑연에서 다이아몬드로 변화하는 것도 일종의 상변화이며, 이는 그냥 동음이의어가 아니고, 실제로 연결된 개념입니다. ß님이 사랑방에 올리신 그림을 자세히 보시면 이해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정안영민 (토론) 2009년 9월 24일 (목) 13:27 (KST)
부탁이 있습니다^^전에 스페인 내전의 질을 상당히 향상시켜주신 걸로 기억하는데, 실례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보스니아 내전을 개요 정도만 잡아주실 수 있을까요? --Š.ßULLET. (토론) 2009년 9월 25일 (금) 21:21 (KST)
위키백과:삭제 토론 하는 방법삭토를 여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위키백과:삭제 토론의 처음 부분을 잘 읽어보시고 새 삭제 토론 열기를 해주시면 자동적으로 삭제 토론이 열립니다. 실수로 위키백과:삭제 토론/2009년 9월에 추가하신 부분은 삭제 해 주세요. Q0v9z8 (토론) 2009년 9월 25일 (금) 22:40 (KST)
문서의 삭제 토론을 시작합니다. ~ 할 말 적으시면 될겁니다. Q0v9z8 (토론) 2009년 9월 25일 (금) 23:30 (KST)
수고 많으셨습니다.그런데 일지에 저리 적어놓으시니 마치 제가 많이 기여한 것 같아보여 부끄럽습니다. ^^;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9월 26일 (토) 15:29 (KST)
이 반스타가 있다는 것을 늦게 알았습니다. :)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9월 28일 (월) 00:57 (KST)
위키백과토론:인쇄판 에서 계속 좋은 말씀 부탁드려요위키백과토론:인쇄판 에서 계속 좋은 말씀 부탁드려요 --Dr (토론) 2009년 9월 28일 (월) 21:23 (KST)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알찬 글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토막글에서 벗어나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저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항목에 있는 슬로베니아 전쟁, 크로아티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 코소보 전쟁 역시 개요를 확고하게 잡고, 이 전쟁의 주요 인물들을 생성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장기적 계획을 통해서 한국에선 관련 서적을 찾아보기도 힘든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대해서 개요를 확고히 했으면 하는데, Jjw님께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제가 너무 큰 짐을 드리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 --Š.ßULLET. (토론) 2009년 10월 1일 (목) 02:09 (KST)
알찬 글 사회과학 분류의 분리알찬 글 사회과학 분류를 해체시키고 좀 더 세분화된 분류를 사용할까 합니다. 이에 대해서 두 가지 안을 제시했는데, 일단 바꾸시는데 동의를 하시는지, 그리고 만약에 동의하신다면 어느 안이 맘에 드시는지 골라주셨으면 합니다. BongGon (토론) 2009년 10월 1일 (목) 02:52 (KST) 알찬 글 후보/함께 검토하기
개인 토론 문서의 삭제저도 개인 토론 문서를 삭제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되도록 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알고 계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백:토론에 적혀있듯이 개인 토론 문서 삭제를 강제로 금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에 대한 과거 토론은 위키백과:사랑방/2008년 제17주#사용자 토론에서의 의견 삭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정안영민 (토론) 2009년 10월 7일 (수) 04:45 (KST)
문서 정리가 용이해지겠군요. 수고하셨습니다. -- 윤성현 論 · 기여 · F.A 2009년 10월 10일 (토) 07:41 (KST)
전략기획혹시 보셨는지 모르겠는데, 이번 전략기획과 관련된 짐보의 프리젠테이션 자료입니다. 위키백과의 창립자에게서 나올 수 있는 고견을 접할 수 있네요. 저같은 경우는 사용자:Enigma7seven/strategy 윗문단에서 이 ppt를 대충 요약해보면서 나름 생각을 시작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전략기획에 참여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참, 문서의 질 관련해서 생각해보는데 Jjw님의 정보가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아이디어들을 모을 때 Jjw님의 많은 도움 기대하겠습니다:-) --이니그마7 (토론하기) 2009년 10월 10일 (토) 18:19 (KST)
꾸준한 기여
(P.S. 저는 어떤 작업 한 번 하면 지쳐버리는데 Jjw님은 정말 힘이 넘치시는군요) Kwj2772 (msg) 2009년 10월 10일 (토) 22:32 (KST)
들여쓰기들여쓰기를 두개씩 하시는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요? (토론 문서를 정렬하다 보니 두개씩 자주 들여쓰시길래 그냥 여쭙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10월 11일 (일) 00:09 (KST)
설문 결과안녕하세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최서영 연구원입니다. 저희 홈페이지 문의사항 잘 보았구요. 다만 제가 사랑방 문서 에 올린 것처럼 위키 여러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비공식적으로 자료를 드렸으면 합니다. Jjw님 등 몇 분만 보시고 12월 말까지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해주시면 개인 이메일로 드리겠습니다. 번거롭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그리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홈페이지 Q & A에는 Jjw 님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던데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Iloveyoufirst21 (토론) 2009년 10월 12일 (월) 17:12 (KST)
위키브레이크개인적 사정으로 다음 주까지 기여 정도가 급격히 줄어들 예정입니다. Jjw (토론) 2009년 10월 13일 (화) 23:30 (KST) 반스타 드립니다"H1N1 감염경로" 그림 매우 좋네요. 반스타 드립니다. ^^ -- WonYong (토론) 2009년 10월 27일 (화) 11:11 (KST)
사용자:Yknok29/위키 인쇄판
반스타 드립니다.
관리단 명칭 변경 제안을 알려드립니다안녕하세요, Jjw님. 관리단 회원님들께 메세지를 드립니다. 관리단의 명칭에 관하여 그동안 관리자와 혼동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명칭 변경의 제안이 여러 번 있었고 많은 분들이 공감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사회 실제에서 관리단이라고 하면 아파트나 상가 건물의 법적 관리 주체 등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어감도 좋지 아니하고 위키백과 관리상 법적 책임에 관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고 위키백과에서 새로오신 분들에게 그릇된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명칭의 변경을 제안하는 바입니다. 위키백과토론:위키백과 관리단#관리단의 명칭 변경 제안에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관심이 있으시면 참여해주세요 ;)--hun99 (토론) 2009년 11월 3일 (화) 23:21 (KST) 새 주제안녕하세요. 저는 인디애나 대학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하는 홍성철입니다. 저는 왜 한국에서는 위키페디아가 성공적이지 못할까, 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문서작성건수가 10만건이다 혹은 영어는 300만건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무의미한 듯 싶습니다. 결국 인구당 문서작성건수가 어떻게 되느냐로 접근을 하려고 합니다. 그렇게 보면 한국은 34등정도가 되네요.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안 국가들이 최상위층을 형성하고요. 이들 국가들은 정보화단계지수(IDI)에서 최상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물론 한국도 그렇구요(2nd place). 그래서 더욱 한국인들이 위키페디아를 배제하는 이유에 관심이 갑니다. 물론 문화적인 측면, 네이버라는 경쟁업체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할 듯 합니다. 저는 그러한 고민들을 기존 문헌조사가 아니라 심층 인터뷰로 풀어가려고 합니다. 즉, 한국인 위키페디안들의 참여동기와 고민은 무엇이고, 또 어떤 때 좌절감을 느끼고 있는 지 등 개별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를 하려고 합니다. 얼마전 위키페디아에 글을 올렸더니, 그 아래 답글은 달렸으나 어떻게 연락할 길이 없더군요. 그러던 중 선생님의 글을 보고 부탁을 드렸으면 하는 생각에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선생님이 편한 시간에 MSM메신저나 구글 메신저를 통해서 20-30분정도 인터뷰를 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또 전화가 편하시면 전화를 드리겠습니다. 또 더불어 혹시 선생님이 알고 계신 위키페디안 중에서 인터뷰가 가능한 분이 있다면 소개시켜주셔도 좋구요.
홍성철 올림.
Seong Choul Hong Ph.D. Student School of Journalism, Indiana University email: hong20@indiana.edu phone: 812-369-0074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Redhog70(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이온 안토네스쿠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 중 하나였던 루마니아 왕국의 파시즘 성향 지도자입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인데, 영어판은 내용이 몇십만 바이트에 이르는 데에 반해서 한국어판은 몇 줄에 지나지 않아, 작업을 권유해봅니다. 개요만 해주셔도 충분할 듯 해요:) --Š.ßULLET. (토론) 2009년 11월 7일 (토) 22:33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