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Lexus/2013.3.1~2013.4.30저작권에 대한 판결 일부해당 기사에 실린 정보나 사실들이 언론매체의 정형적이고 간결한 문체와 표현 형식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에는 해당 기사 및 사진을 복제하였다고 하더라도 저작권법위반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 법원의 입장입니다.(대법원 2006. 9. 14. 선고 2004도5350 판결) Lexus (토론) 2013년 3월 1일 (금) 07:06 (KST) 성거산 문서의 출처 확인《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을 출처로 대셨는데, 제가 확인해본 결과 해당 내용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제가 출처를 요구한 부분은 뒤에 나온 《해동지도》나 《조선지형도》에 대한 것이 아니라, 문단의 앞부분인 산맥에 대한 설명입니다. “천안시” 챕터 ‘자연지명’ 항목에는 성거산에 대한 일반 설명만 있을 뿐, 《산경표》에 의거한 정맥에 대한 설명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부분에도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성거산을 검색해서 해당 내용을 참고하신 것 같은데, 책 자체도 국회전자도서관에서 무료로 서비스되고 있으므로 직접 확인해 보셔도 됩니다. 그러므로 해당 내용의 출처를 다시 요구합니다. 덧붙여서, 해당 출처는 형식상으로 올바르지 못합니다. 책이나 논문을 출처로 제시할 때는 저자, 책 제목, 발행처, 출간연도의 네 항목이 반드시 들어가야 합니다. 특히 이렇게 정부의 공식간행물의 경우 출간연도가 없으면 연도마다 갱신되어 출판되는 경우가 많아 출처를 찾아볼 수가 없게 됩니다.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사실 이번에 출처를 다신 부분은 따로 출처가 필요 없습니다. 이미 본문 중에 《해동지도》와 《조선지형도》가 출처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죠. 저는 해당 문단 전체가 특정한 출처에서 나온 것이라 판단하여 출처를 요구한 것인데, 이렇게 다른 출처에서 나온 정보가 모인 것이니 제가 출처 요구를 잘못 하기도 했군요. 그점은 사과드립니다.--Xakyntos (토론) 2013년 3월 3일 (일) 18:15 (KST)
문서의 편집은 어디까지나 기여자의 차원에서 생각하고 싶습니다. 출처가 미흡하거나 편집의 잘못이 발견되었다면 그때 그때 직접 수정하거나 보완,보정해주세요. 편집의 기여자로서 하고싶은 얘기는 편집하는 문서가 개인 것도 아닌 전세계인 모두가 볼 수 있는 문서이기 때문에 어느분이 참여하여 기여하든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느 문서의 결재자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허가나 허락, 승인, 용인, 용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관리자는 관리하는 차원에서 옳은 방향으로 나가도록 인도하거나 안내하면 그뿐입니다. 관리자와는 달리 편집기여자는 모두가 시험을 보거나 절차를 거쳐서 검증된 분들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개인적으로 그저 봉사하는 차원으로 참여하여 충실할 뿐입니다. 이곳에서 줄곧 얘기하였지만 더이상의 확대해석은 사양합니다. 아무쪼록 이해를 바랍니다. Lexus (토론) 2013년 3월 6일 (수) 16:03 (KST)
해당 문서를 확인해본 결과 신문기사의 문장을 그대로 복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명백한 저작권 위반입니다.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Xakyntos (토론) 2013년 3월 6일 (수) 18:09 (KST)
그렇게 아는게 많고 능력이 있으면 좀 도아주면 어떤가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지적해주고 직접 고쳐주면 금상첨화일텐데..그만합시다. 더이상의 토론은 사양합니다. Lexus (토론) 2013년 3월 6일 (수) 20:00 (KST) 위키백과에서의 문서편집은 돌탑 쌓기와 같다고 봅니다.진안 마이산에 가보면 이갑용 처사(1860~1957년)가 쌓아놓은 돌탑이 많습니다. 80여개의 만불탑을 혼자 힘으로 쌓아올린 것입니다. 돌탑은 임실 둔덕 출신인 고 이갑용 처사가 구한말인 1885년 현재의 탑사로 들어와 생식(솔잎)으로 연명하며 1927년까지 30여년 기도와 정성으로 쌓아 올린 신념의 돌탑으로 많은 사람들이 그를 존경하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효심같은 선행과 착한 마음에서 느껴지는 감동일 것입니다. 위키백과(Wiki百科, 우리의 기여자들의 관계는 배타적이고 서로를 단속, 관리하는 관계가 아닌 서로 보완하고 도와주는 호혜적인 관계입니다. 잘못을 추적하는 형사나 경찰들이 아니고 편집이 잘되도록 도와주는 봉사차원의 기여자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미흡한 편집을 보정,보완해주고 서로를 따뜻한 마음으로 환영해주고 감싸주는 관계라는 의미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보수를 받고 일하는 것이 아니고 봉사자 차원으로 취미와 관심을 갖고 참여할 뿐입니다. 고로 저작권이나 특허권, 재산권에 저촉되지 않도록 지적해주고 보완해주는 선기능이 최상의 관계가 될 수 있습니다. 돌탑을 쌓아가듯이 하나하나 보완해가며 아름답게 가꾸어 가는 모습은 위키백과(Wiki百科,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