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제가 찍은 사진이 아닌 다른 사이트에 올라왔던 사진들은 사진을 찍었던 분들께 직접 여쭈어서 위키백과에서도 사용가능한지(예를들어 CCL로) 답변받고 올렸었습니다.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을 충족해야 하니깐요. :) Nt2016년 1월 12일 (화) 06:15 (KST)답변
일단 팬 카페 부매니저가 말했던것을 인용해보자면 우선 정모사진을 악어팬카페에서만 올려달라고 공지를 올렸었는데, 악어님과 멤버분들 의견을 반영해서 외부사이트나 SNS 등에서 악어님과 멤버분들의 정모사진을 게시할 수 있는 것으로 내용이 수정되었습니다. 단, 사진을 찍으신 분들에게도 저작권이 있으니 사진사용허락을 받은 경우에만 게시해주세요. 라고 했는데.. 흠 ... 그러몀ㄴ ㄱ냥 팬에게 허락만 받으면 되는건가요? --고려 (토론) 2016년 1월 13일 (수) 17:09 (KST)답변
그정도로는 부족합니다.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에 부합해야 올릴 수 있습니다. 크게 보면 첫 번째 저작자 표시, 두 번째 사진의 변경 가능 여부, 세 번째 영리적 사용 가능 여부를 따져야 하는데 저 문장안에는 구체적으로 이 세가지를 알아볼 수 있는 내용이 없습니다. Nt2016년 1월 13일 (수) 18:46 (KST)답변
10여일 전, 님과의 토론을 갖고 나름대로 해결을 얻었다고 결론을 내서 틀의 범위를 합쳤습니다만은, Nt님께서 토론을 멈추신 며칠 뒤부터 이 주제에 대하여 다시 토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다시금 확인하시면 좋으실 것 같아 방문하였습니다 . :D
요약하자면, 그 토론 이후에 AV 여배우 -> 일본의 여자 아이돌 로 표제어를 이동하였습니다.(제안하신 이름과 달리 이렇게 지은 이유는 해당 토론에 적어놓았습니다.)
그 이후 일본의 여자 아이돌이라는 명칭 자체가 그리 구체적이지 않음에서 토론이 이어져왔고, 현재는 "일본의 여자 아이돌"을 더 확장해, 일본의 음악 아이돌(현재는 음악가 정보를 사용)같은것들도 이 정보틀을 활용하고, 해당 틀과 어울리지 않는 AV배우는 원래의 AV 여배우 정보틀로 다시 옮겨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이 역시 틀린 말이라고 생각지는 않고, 저 역시 이들 모두를 아우름에 AV와 일반 아이돌사이의 괴리감을 느끼고는 있어서 현재는 새로운 의견이 타당해보인다는 생각입니다.
음, 이 문제에 대해 생각이 난 김에 방문하였습니다. 일전에 에비스 마스캇츠에 관해 제가 생성한 함께 검토하기 토론 문서에, 해당 그룹의 음악적 성취에 관한 평가는 없는가에 대해 말씀을 하신 적이 있던것으로 기억 합니다. 아사미 유마를 편집하며 해당 그룹이 출연하는 방송 수백편을 시청했습니다만은, 제 생각에는 이 그룹의 구성원들이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어 주목을 끈 것이지, 사실 오디션에서 가창력을 기준으로 뽑았다는 이야기는 접해본 기억이 없습니다. 때문에 만일 아니라면 실례가 될수도 있겠지만, 가창력은 일반인 수준이 아닐까. 그래서 음악적인 평가는 없지 않을까 하는 것이 현재의 저의 생각입니다.(이 문서를 편집하면서 며칠간 웹을 찾았었는데, 역시 음악적인 평가는 없어보이네요.)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방송이 편당 약 25분 내외일진데, 여기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도 안되어보이는 점도...
너무 한쪽으로만 본 것일수도 있고 못보고 지나쳤을수도 있겠지만은, 저는 우선은 이런식으로 결론지어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음악 그룹(100% 음악을 메인으로 하는 그룹인가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견해입니다만은)의 평가란에 음악에 대한 평가가 없는것이 문서의 짜임에 있어서 치명적이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Nt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Tablemaker2016년 2월 5일 (금) 09:55 (KST)답변
@Tablemaker:님 안녕하세요 ㅎㅎ 음악적 성취에 대한 내용을 찾기 어렵다면 치명적일 것이고, 특히 음악 스타일 문단에 출처가 거의 없었던 것도 고려해서 그러한 의견을 냈었습니다. 음악을 메인으로 하는 그룹이 아니라는 점을 음악 스타일 문단의 출처를 보강하면서 나타낼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항상 열심히 편집하시는 모습이시네요. :) Nt2016년 2월 6일 (토) 22:22 (KST)답변
평가 부분에 "다만 음악적인 부분에서의 평가는 전무한 편인데, 이는 마스캇츠가 음악적인 활동에만 치중한 그룹이 아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 근거로 총감독 맥코이 사이토는 제 2세대 에비스 마스캇츠의 출범에서 1세대 마스캇츠에 대해 "반 년에 1회만 댄스 레슨을 받았다."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다."라고 적어두었는데, 이런식으로 처리하면 괜찮을런지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 Tablemaker2016년 2월 7일 (일) 22:45 (KST)답변
저도 좋은 글에 대한 판단이 매우 어렵네요. 좋은 글인지 A등급인지 B등급인지가 구분이 안갑니다. 백:문서 평가를 봐도 좋은 글-A등급-B등급 에 대한 내용이 너무 애매모호 하고 비슷한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만든 좋은 글 문서 조차도 어느 지점 까지가 A등급이였냐 묻는다면 모르겠다 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좋은 글이 맞다면 왜 A등급은 아닌지 말해야 하는데 답할 수가 없네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Exj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20:36 (KST)답변
@Exj: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지금까지 몇 개의 알찬 글과 좋은 글을 만들어 오면서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은 별로 없네요. 사실 개별 위키프로젝트도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않은데, 각 위키프로젝트에서 문서를 평가하는 일은 현재 상황에서 더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A, B등급을 구분한다는 것은 굉장히 자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기준에 대해서는 토론을 통해 더 명확한 차이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Nt2016년 3월 24일 (목) 20:27 (KST)답변
네 그렇지요. 오퍼튜니티가 좋은 글에 선정된 이유도 이 때문 아닙니까. 찬성을 했던 사람들도 사실은 좋은 글인지 A급인지 B급인지는 잘 모른다는 거요. 그나마 오퍼튜니티는 영문판에서 C등급 B등급을 받았다는 이유라도 있으니 재검토가 이루어지지만. 이런 이유조차 없다면 그냥 유지되었을테고요.--Exj 토론 2016년 3월 27일 (일) 01:38 (KST)답변
@Exj: 네 맞는 말씀이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의 한계랄까... 실제적으로 알찬 글 및 좋은 글을 검토하고 선정할 만한 전문 인력은 많지 않고요, 토론을 진행하자니 영어 위키백과의 선정 기준에 의존하는 게 다반사입니다. 저도 알찬 글이나 좋은 글을 많이 만드는 것이 한국어 위키백과의 미래라고 생각하고 토론에 많이 참여하려고 노력하지만,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아 글의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겉모습만 판단하고 투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결국에는 기여자의 편집을 선의로 보고 해당 기여를 신뢰해야만이 이 토론들을 진행시켜나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Nt2016년 3월 27일 (일) 21:33 (KST)답변
제가 BJ 악어와 BJ 머독에 대해 삭토를 열었지만 아무도 관심을 주지 않는 실정이네요 허허 ㅜㅜ 이 분야에 관심도 크게 열정도 없으시지만 그래도 규칙에 대한 이해도는 저보다 높으시기 때문에 부탁드립니다 ㅜㅜ--고려 (토론) 2016년 7월 16일 (토) 17:39 (KST)답변
항목명칭이나 포지션 이름같은 것에서 역시 이런 분야를 다뤄보지 않았다는 냄새가 풀풀 납니다.(...ㅜㅜ) 특히 틀 최상단의 항목들 중에서 primary position을 주 포지션으로 번역했는데요, 생각해보니 전당은 야구선수만 가는것도 아니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주 포지션이 기여자였다. 경영진이었다는 말은 이상하다고 생각해서요. 헌대 대안이 떠오르지가 않네요. 나중에 손보아주셨으면 좋겠씁니다...... 디테일한 부분에서 갈길이 아직 머네요 — Tablemaker2016년 9월 29일 (목) 10:11 (KST)답변
포지션에 '주'를 붙이니 더 확연히 선수만을 위한 항목처럼 보입니다. 일단 포지션으로 되돌렸고 설명문단에서 표로 포지션에 대해 선수와 비선수로 나누어 해설하는게 떠오릅니다. 그 방향으로 진행해볼게요. 연도별 투표 결과도 나중에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설명부분만 일단 가제작하고 틀 좀만 더 다듬구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의 헌액자 목록에 붙일 예정이구, 빨간 선수들 만드시는동안 년도별 투표 결과 표를 좀 만들어두겠습니다. — Tablemaker2016년 9월 29일 (목) 16:12 (KST)답변
솔직히 생각을 안해본것은 아닌데, 가령 샌디 쿠팩스의 분야가 투수라는것이 개인적으론 이상하다고 느껴졌습니다. '포지션' 이외의 단어를 붙이면 비선수는 납득이 가는 표현이 되는데, 그러면 선수쪽이 되려 이상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니면 포지션/분야로 병기해도 상관없겠습니다. — Tablemaker2016년 9월 29일 (목) 16:46 (KST)답변
38년 투표 미국야구기자협회 부분을 편집했습니다. 버키 해리스가 처음 등장했는데, 영문 백과에서는 흰색(득표수 미달, 이후 명전 없음)으로 되어있는데, 링크에는 버키 해리스가 75년 명전입성으로 나옵니다. 베이스볼 레퍼런스에서는 명전에 들어간 인물이 맞다고 hof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1939년 투표 문서에서도 버키 해리스는 흰색으로 되어있습니다. Tablemaker 2016년 10월 11일 (화) 23:10 (KST)답변
@Tablemaker: 영어 위키백과나 베이스볼 레퍼런스를 확인해 보았을 때 75년 명전 입성은 확실하네요. 38년 문서에는 명전 입성 색깔을 표시하는게 맞네요. 영어 위키백과에서 그렇게 한 이유를 추측해 보면, 버키 해리스가 BBWAA가 아니라 베테랑 위원회로 선정되었기 때문인지, 아니면 선수로서의 입성은 실패했는데 감독으로 입성에 성공해서인지 궁금하네요. 다른 선수의 경우도 있을텐데요.. 아무튼 수고하십니다. Nt2016년 10월 13일 (목) 19:11 (KST)답변
제 사용자 토론을 살펴보는 중, 귀하께서 예전에 남겨주신 참여 요청 글을 보고 알찬 글 및 좋은 글 토론을 열람하던 중입니다. 다만 제가 문외한인 부분이라 섣불리 나설 수가 없어서.. 우선 열람한 후 판단 및 참여토록 하겠습니다. 토론 참가 독려에 고생이 많으십니다. --Lee Soon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22:47 (KST)답변
@Lee Soon: 토론에 참가해주신다니 저로서는 감사할 따름이죠. 위키백과에서 가장 중요한 토론이 알찬 글 및 좋은 글 토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시간이 나면 자주 참가 독려를 하려고 합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섣불리 나설 수 없지만, 나름 토론에 참여하려고는 해요. 좋은 의견 기대하겠습니다! :D Nt2016년 11월 19일 (토) 22:49 (KST)답변
'비자유'라는 말 그대로 자유롭게 쓸수는 없는 파일이니 만큼, 사용시 주의를 기울이라는 차원에서 각각 틀을 작성하도록 되어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따로 변동이 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하시니 파일설명은 이전으로 편집하도록 하겠습니다. -- 메이`토론2016년 11월 20일 (일) 03:13 (KST)답변
Hello! I'm Jin, thank you for your help! But I don't understand clearly your meaning. Maybe you want to help me to contribute to Korean Wikipedia or something else. If that's right, I want to translate some article from Vietnam Wiki to Korean Wiki, but my korean is no good, and i can't use some korean template. That's is my trouble now. If you want to discuss with me, I think Kakao is the best. XxxNMTxxx (토론) 2016년 11월 23일 (수) 23:40 (KST)답변
@XxxNMTxxx:Thank you for replying. :) My English writing skill is not good, sorryㅜㅜ Anyway, I want to help you with some Korean templates. And I also have Kakao ID. Let's talk in that place. :) Nt2016년 11월 23일 (수) 23:46 (KST)답변
@Nt: Don't worry about your English writing skill, I'm no good too. So my ID is manhtien39, let's add me if you want to discuss to me. And i want to extend some article from Vietnamese to Korean. Let work together ~^^~ XxxNMTxxx (토론) 2016년 11월 24일 (목) 00:06 (KST)답변
복수의 편집을 되돌리는 경우 한 편집에 대해 일일이 "편집 취소"를 사용하기보다는, 문제가 없는 판의 편집 화면을 연 다음 어느 판으로 되돌린다는 내용을 편집 요약에 쓰고 저장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RTC10152016년 12월 23일 (금) 13:41 (KST)답변
안녕하세요. 한 1년 반 전에 제 토론 문서에 글 남기셨길래 늦게나마 답장 남깁니다. 명칭 통일화는 끝나셨는지요? 일단 '승부조작'의 경우 처음에는 '경기조작'으로 명칭이 가다가 언론에서 '승부조작'으로 통일했고, 여론도 어쨌든 승부조작이 맞다는 의견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승부조작으로 바뀐 것으로 보입니다. 항상 고생하십니다. 감사합니다.--NuvieK2017년 1월 17일 (화) 02:4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