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Propheceer/보존1
대표팀 문서축구 문서에 각종 트로피 이미지 만들어서 정리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십니다. 그런데 국가 대표팀 문서에서 예전처럼 우승 횟수 위주 주요 대회 성적과 승무패 포함된 주요 대회 기록 테이블을 긱각 별개의 단락으로 분리해서 한눈에 주요 대회 성적을 파악할 수 있게 했으면 합니다. 외국 문서들도 전부 이런 포맷을 취하고 있고 지금처럼 두개를 섞어서 만들어 버리면 솔직히 테이블까지 일일히 보기보다 간단히 무슨 대회 우승 했나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인데 우승 횟수를 테이블 사이사이에서 찾아봐야 되서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대회 관련해서 경기 대회라는 분류명은 어색해 보입니다. 새로운 분류명을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2016년 12월 8일 (목) 22:29 (KST) 사용자 미상
--Propheceer (토론) 2016년 12월 9일 (금) 02:14 (KST) FC 서울 엠블럼https://en.wikipedia.org/wiki/FC_Seoul 영어홈페이지에 올라가 있는 FC 서울 엠블럼을 한국어 위키백과 파일 올리게 올리면 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제가 좀 더 알아 보겠습니다. --Footwiks (토론) 2017년 1월 29일 (일) 19:23 (KST) 문서 이동 방법 안내위키백과 문서의 제목을 바꾸고자 할 때는 문서의 내용만을 가져다 다른 문서를 생성하여 넣어서는 안 되며, 문서 역사를 보존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문서 이동 기능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위키백과:문서 이동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틀:AFC 챔피언스리그 최다 득점자의 경우, 틀 제목에서 링크된 AFC 챔피언스리그의 관련 부분이나 다른 언어판의 틀 제목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득점상”이라는 표현이 적절한 것이라고는 판단되지 않아 일단 이동하지 않았습니다. 충분한 검토 후 필요하다면 해당 문서를 적절히 옮기시기 바랍니다. --IRTC1015 2017년 2월 12일 (일) 02:35 (KST) 삭제 신청 관련제 사토란에 남기신 글에 답변을 남겼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z4617925 (토론) 2017년 2월 19일 (일) 01:08 (KST) 토론 참가 부탁드리겠습니다.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관련 문서에서 과거 기사를 인용해서 제가 쓴 문장이 있는데 기사에 없는 단어를 이용해서 설명했다고 독자연구라고 계속 충돌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아래가서 의견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마지막 단락에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 --Footwiks (토론) 아이콘 사용트로피 아이콘, 엠블럼 아이콘 등을 제작하여 축구 문서에 많은 기여를 해주시고 계시는 점 감사드립니다. 구단 문서의 역대 우승 기록 문단 등에서 트로피 아이콘 등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한 사용이지만, 제주 유나이티드 FC 문서의 감독 연혁 문서의 비고 칸과 같이 일반적인 글을 기술하는 문단에서 아이콘을 사용하는 점은 단순한 장식이나 '보기좋음'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전체적인 글을 읽을 때 가독성을 해치고 특정 부분을 지나치게 부각하는 것처럼 보이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아이콘의 올바른 사용이라고 보기 힘들며, 이는 실제로 위키백과:편집 지침/아이콘#백과사전의 목적을 포함한 아이콘 사용과 관한 편집 지침의 여러 부분에도 저촉되는 부분으로 보입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토론에도 혹시 더 붙이실 말이 있으시면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z4617925 (토론) 2017년 3월 14일 (화) 12:00 (KST)
비자유 그림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 따르면, 비자유 저작물은 최소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단지 스포츠 클럽을 나타내는 이미지라는 이유로 둘러보기 틀 등에 이를 삽입하는 것은 이 지침을 충족한다 볼 수 없으므로, 틀에 사용된 그림은 모두 지웁니다. 덧붙이자면 글자와 비슷할 정도로 작은 이미지가 로고의 제 역할을 한다고 보기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IRTC1015 2017년 3월 21일 (화) 03:06 (KST) 우승의 영예우승의 영예는 그냥 A팀이 이번 대회에서 우승의 영예를 안았다 이렇게 표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 스포츠 구단 공식 대외적인 소개 문서에서 우승의 영예 이런 표현은 제가 한번도 본적이 없습니다. 영어문서 Honour의 대응하는 표현에 집착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한국프로축구연맹 홈페이지도 그렇고 구단 소개 팸플릿이나 이런 경우 대부분 우승 기록으로 되어 있어서 저는 FC 서울 문서에서 우승 기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http://www.kleague.com/content/clubc_info_K09?teamcode=K09 --Footwiks (토론) 2017년 4월 21일 (금) 20:23 (KST) FC 서울 2016 시즌먼저 FC 서울 2016 시즌 기여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만들 필요가 있을까 정도로 자세하게 만드셨고 2016 시즌처럼 전 시즌을 모두 같은 양식으로 만들 수 있을까 걱정부터 앞서네요. 그건 그렇고 한가지 통일성 있게 편집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영어위키백과도 그렇고 한국어 위키백과도 국기 다음에 사람이나 사물 모두 한 칸 띄우고 기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전부 붙여쓰기를 하셨네요. 다른 이유 없으면 위키백과 기존 편십 방식대로 1번 방식 띄어쓰기 포함해서 적용했으면 합니다. 참고: 2014 월드컵 영어 위키백과 문서] (1) 국기 붙이는 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서울 역대 시즌 문서는 길게 보고 작업해서 최종적으로 전부 통일된 양식으로 기재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클래식 시즌(2013~)부터 작업하고 점차적으로 과거 시즌까지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럭키금성 황소 시절, 안양 LG 치타스 시절로 묶어서 기술된 문서들도 시즌별로 쪼갤 수 있을 정도로 과거 부분 서술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참고로 시즌 양식은 영어와 한국어 위키백과의 가장 저명한 팀들의 시즌 문서들을 참고해서 제작했습니다. 가장 뛰어난 여러 문서들의 장점을 모두 취하다보니 문서가 꽤나 장대해졌지만, 그만큼 문서의 가치도 올랐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비자유 그림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 (2)지난번에 지적했던 내용인 것 같은데, 상당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선이 미진한 것 같아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로고 등의 비자유 저작물은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지침에 따라 꼭 필요한 한 군데에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를 차치하더라도, 단지 명칭 앞에 끼워넣는 용도의 로고는 그것이 사용되지 않아도 내용 이해에 전혀 지장이 없으며, 오히려 그림의 작은 크기가 가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로고가 부적절하게 사용된 문서에서 해당 문제를 최대한 신속히 시정하기를 요구합니다. 응답 없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는 편집이 반복될 경우, 편집 행위에 대해 추가적인 조치 또한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IRTC1015 2017년 9월 8일 (금) 17:51 (KST) 우승기록 틀항상 수고가 많으십니다. 새로운 틀이 과거 틀보다 통일성도 있고 더 깔끔하고 좋은 것 같습니다. 수고스럽겠지만 FC 서울 관련 문서에 일괄 적용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Propheceer님이 과거에 너무 디테일한 디자인에 신경써서 너무 시간을 뺏기시는것 아닌가 그런 걱정도 들었는데 되도록 심플하게 편집하는 방향으로 나가시는게 좋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듭니다. --Footwiks (토론) FC 서울 관련 문서 매뉴얼문서 내 통일성 향상을 위해 간단한 사항들 몇가지 알려드립니다.
-3 (X), –3 (0) 이렇게 장대쉬를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2-1 (X), 2–1 (0) 이렇게 장대쉬를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K리그 클래식 : (X), K리그 클래식: (0) 쌍점을 앞단어에 붙여 주시기 바랍니다. Footwiks (토론) 2017년 10월 2일 (월) 11:27 (KST) FC 서울 문서 테이블현재 FC 서울 문서 테이블 빨간색에 검은색 글자가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검은색 글자를 바꾸던가 등등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Footwiks (토론) 2017년 10월 7일 (토) 00:38 (KST) 우선, 저는 FC 서울 문서에 있는 표에 색깔을 아예 빼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표에 색상을 넣는 것 자체가 가독성 측면에서는 도움이 별로 되지 않는다고 보거든요. 다만 굳이 클럽색을 나타내는 것을 고수한다면 빨강색만으로도 클럽색을 표현하기 충분하다고 봐서 글씨만 하얀색으로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분들이 계시는만큼 고민해볼만한 문제인 것 같네요. --Propheceer 2017년 10월 8일 (일) 23:48 (KST) 공식 구단명 좀 쓰시죠?무슨 FC가 일관성이 없다고 전부 일괄 삭제하시는데 문서사유화 하지 마시고요 K리그 약관도 모르심? FC 서울이 공식 명칭임 FC 포항 스틸러스가 아니라 포항 스틸러스가 공식 명칭이고 1. 위키백과는 한국프로축구연맹 산하 기관도 아니며 단지 백과사전으로서 문서를 중립적으로 서술할 뿐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더불어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지정"한 구단명들이 각 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한 구단의 "공식" 명칭도 아닙니다. 가령, 포항 스틸러스의 공식 명칭은 FC 포항 스틸러스가 맞습니다.
K리그 팀별 공식 명칭은 이렇습니다K리그 규정 제1장 클럽 제7조 클럽 및 연고지 FC 삭제 ㄴㄴ요 객관적인 기준은 당연히 연맹 기준이겠죠 또한 포항 스틸러스의 공식 명칭은 FC 포항 스틸러스가 아닙니다 그냥 포항 스틸러스이지요 다만 영어로는 FC Pohang Steelers이고 영문에 FC가 들어간다고 한국어에도 그렇게 표시하란법은 없으며 실제로 홈페이지도 그냥 포항 스틸러스입니다 순진하신건지 보고싶은 것만 보시는 건지 모르겠네요. 하나하나 반박해보겠습니다. 첫째, 애초에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규정대로 구단명을 기록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논의의 대상입니다. 자동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답 같은 것은 "당연히" 아니고요. 연맹에서 축약한 명칭대로 할 것인지, 각 구단의 공식 명칭을 따를 것인지는 선택사항입니다. 이걸로 토론을 하실 생각이 있다면 당연히 건설적인 논의를 할 의향이 있지만 기록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서 마치 당연하다는 듯이 연맹의 규정만이 정답이므로 일방적으로 따르라는 태도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K리그 클래식 각 구단의 "공식"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에 따르면 가령 유동IP를 사용하시는 님의 편집방향대로라면 울산현대축구단은 "울산현대축구단"으로 편집했어야 하며, 위키백과에 있는 연고명+FC 사이의 띄어쓰기를 모두 없애는 것이 맞습니다만 (언론사나 네이버 홈페이지는 연맹의 규정대로 구단명을 표기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확인하면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것이 정식표기에 맞습니다) 그렇게 하지 않고 있습니다. 포항스틸러스 같은 경우는 구단 공식 페이스북만 들어가봐도 "포항스틸러스"는 단지 "축구단"을 생략한 명칭일 뿐이란 걸 아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심지어 공식 한글 명칭에서의 "축구단"과 공식 영문 명칭에서의 "Football Club" 위치가 일치하지도 않습니다. 제 요지는, 애초에 팀명을 축약하는 것 자체가 의외로 자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입니다. 가령, 포항, 수원, 전북 또는 제주의 경우처럼 연고명+이명+FC(또는 축구단)의 이름을 가진 구단의 경우 "축구단" 내지는 "FC"만 생략하는 것처럼 보여도 울산, 안산 또는 아산의 경우는 그렇게 축약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안산과 아산의 경우는 FC를 따로 띄어쓰기 하고 있고요. 연맹의 기준 그 자체도 임의적인 것이고, 님이 인용하시는 것은 K리그 정관이 아니라 규정이기 때문에 매년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위키백과에 있는 모든 K리그 관련 문서를 K리그 규정에 따라 매년 바뀌는대로 변경하는 것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울 뿐입니다. 이 때문에 K리그 규정을 사용하는 것 자체도 역시 하나의 편집방향에 있어서 토론거리가 될 수 있는 것이지, 절대적인 규칙인 것은 아닙니다. 셋째, 설령 위 모든 것을 고려하더라도 제가 님의 말씀에 동의하여 연맹의 규정대로 문서를 편집한다고 가정해도, 님처럼 리그 4강과 관련 기록과 통계를 편집하는 것을 통째로 날리는 식으로 수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기존의 편집에서 구단명만 고치면 될 일을 님은 악의적으로 통째로 편집하고 있죠. 그렇게 편집을 한 이유나 합당한 논리가 있는지 확인하지도 않고요. 애초에 K리그,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 대한민국 1부 프로축구리그 챔피언 문서에서 우승 관련된 사항을 기록하는 데 있어서 미세하지만 각각 다른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두 문서도 아니고 4개 문서를 획일적으로 바꿔버리는 님의 저의가 뭔지 모르겠네요. K리그 문서의 경우 2개 리그 우승 기록을 모두 담아야 하는 만큼 정보를 간략하게 담는 측면에서 단지 우승과 준우승만 기록한 것입니다. 더불어 당시 스폰서를 반영한 리그 명칭 및 리그 방식을 기재한 것이고요. 반면,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에서는 각 리그에서 순위와 관련되어 쟁점이 될 만한 사항이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K리그 챌린지 승격 플레이오프인 만큼 영향권이 미치는 순위까지 기록하는 측면에서 단지 우승, 준우승이 아니라 리그 4강(Big Four) 개념으로 4위까지 표기한 것입니다. 물론 시대에 따라 리그 팀 수도 4위 이내에 드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인만큼 팀 수도 함께 기재한 것이고, 우승 연고지의 경우 리그 역사에서 연고지 관련 굴곡들을 사실 그대로 기재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요. 또한 우승 연고지를 기재할 경우 연고별 우승 횟수를 기재하는 것은 (1) 정보의 중복기재가 되며, (2) 1983년부터 기재하지 못하는 연고별 우승 횟수 기록들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더 가독성 좋게 정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1부 프로축구리그 챔피언의 경우 리그 우승 외에 상위권 구단들이 당해 시즌에 FA컵, AFC 챔피언스리그, 리그컵 우승 정보를 한 표에 모두 정리하여 일괄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잉글랜드 1부 프로축구리그 챔피언과 맥을 같이하는 바이고요. 님 마음대로 편집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님의 의도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그것 또한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말씀드리는 바입니다. 위키백과 문서 4개에 똑같은 정보를 단지 기재할 목적이라면 동일한 내용을 그렇게나 많은 문서에 담을 필요도 없습니다. 차라리 문서 삭제를 요청하시는 거면 몰라도요. --Propheceer 2017년 11월 8일 (수) 01:16 (KST)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시네요. 논리적 비약은 멈춰주셨으면 합니다. 'K리그 클래식' 토론에 대해서편집 요약에서 의견을 교환하시기 보다는 해당 문서의 토론 문서(토론:K리그 클래식)에서 의견을 교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편집 요약에 대해서는 해당 도움말 문서(위키백과:편집 요약)를 참고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메이 (토론) 2017년 11월 28일 (화) 16:15 (KST) 의견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전날 당해 토론문서에 의견을 개진했는데 상대 토론 대상자분이 이를 아직 인지하지 못하신 듯 하네요.--Propheceer 2017년 11월 28일 (화) 16:18 (KST) 서명의 링크, 문서 이동에 대해서
현재 Propheceer님의 서명에는 링크가 없습니다. 위키백과 서명에는 '반드시' 링크가 필요합니다. 위키백과:서명을 참고하여 서명에 링크를 추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위키백과:문서 이동 요청/2017년 11월#2017년 EAFF E-1 챔피언십 → 2017년 EAFF E-1 축구 챔피언십은 직접 이동이 가능하신 상황으로, 미완료 표시하였습니다. 위키백과:문서 이동의 내용을 참고하여 직접 이동하여 보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메이 (토론) 2017년 12월 1일 (금) 09:08 (KST) 2017년 축구 반스타
여러 문서의 표제어를 깔끔하게 정리하신다던지, 이번에 우승 기록 틀에 대해서 여러 인터넷 브라우저 사용자나 모바일 사용자를 고려하여, 개선 방안을 내신 점을 매우 인상 깊게 보았습니다. 2018년 한 해 동안에도 또다른 인상 깊은 활약 기대하겠습니다. 2018년 한 해도 즐겁고 재미있는 일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이강철 (토론) 2018년 1월 1일 (월) 13:04 (KST)
백:비자유 위반 문서에 대한 최종 경고백: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지침의 원칙 9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백과사전의 문서에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문서의 내용은 위키백과의 본문이 아니므로, 사용자 문서 내의 모든 비자유 파일에 대한 사용을 중단할 것을 IRTC1015 사용자가 요구한 바 있습니다. (1, 2.) 해당 조치 요구는 2017년 9월에 이루어졌고 현재까지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해당 파일의 사용을 본 안내문 이후에 이러한 행동이 발견될 시는 편집권에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regards, Revi 2018년 1월 17일 (수) 00:27 (KST)
Share your experience and feedback as a Wikimedian in this global surveyHello! The Wikimedia Foundation is asking for your feedback in a survey. We want to know how well we are supporting your work on and off wiki, and how we can change or improve things in the future. The opinions you share will directly affect the current and future work of the Wikimedia Foundation. You have been randomly selected to take this survey as we would like to hear from your Wikimedia community. The survey is available in various languages and will take between 20 and 40 minutes. You can find more information about this survey on the project page and see how your feedback helps the Wikimedia Foundation support editors like you. This survey is hosted by a third-party service and governed by this privacy statement (in English). Please visit our frequently asked questions page to find more information about this survey. If you need additional help, or if you wish to opt-out of future communications about this survey, send an email through the EmailUser feature to WMF Surveys to remove you from the list. Thank you! Reminder: Share your feedback in this Wikimedia surveyEvery response for this survey can help the Wikimedia Foundation improve your experience on the Wikimedia projects. So far, we have heard from just 29% of Wikimedia contributors. The survey is available in various languages and will take between 20 and 40 minutes to be completed. Take the survey now. If you have already taken the survey, we are sorry you've received this reminder. We have design the survey to make it impossible to identify which users have taken the survey, so we have to send reminders to everyone. If you wish to opt-out of the next reminder or any other survey, send an email through EmailUser feature to WMF Surveys. You can also send any questions you have to this user email. Learn more about this survey on the project page. This survey is hosted by a third-party service and governed by this Wikimedia Foundation privacy statement. Thanks! Your feedback matters: Final reminder to take the global Wikimedia surveyHello! This is a final reminder that the Wikimedia Foundation survey will close on 23 April, 2018 (07:00 UTC). The survey is available in various languages and will take between 20 and 40 minutes. Take the survey now. If you already took the survey - thank you! We will not bother you again. We have designed the survey to make it impossible to identify which users have taken the survey, so we have to send reminders to everyone. To opt-out of future surveys, send an email through EmailUser feature to WMF Surveys. You can also send any questions you have to this user email. Learn more about this survey on the project page. This survey is hosted by a third-party service and governed by this Wikimedia Foundation privacy statement. 분류:K리그1 베스트 11 틀에 속해 있는 틀 관련.안녕하세요. 1983년부터 2012년까지는 K리그,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K리그 클래식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기 때문에 당시 연도에 사용한 명칭으로 이동했습니다. --Bart0278 (토론) 2018년 7월 20일 (금) 16:15 (KST) FC 서울 시즌 문서수고가 많으십니다. 연습장에 만들고 계시는 FC 서울 시즌 문서 있으면 FC 서울 시즌 분류에 넣어 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간간히 보면서 검토하고 편집할 부분 있으면 하겠습니다. 그리고 매라운드 경기 결과 전부 기록하다 보면 한 시즌 문서 생성하는데 시간이 너무 걸리니 일단 목차만 잡아넣고 다음 시즌으로 넘어가는 것도 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 즉, 1985시즌 문서 만들게 되면 매라운드 경기 결과는 생략하고 다음 시즌 만들고 이런 식으로 일단 전 시즌 문서 전부 생성해서 큰그림 잡아놓고 다시 디테일 채워나가는 방법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FC 서울 홈페이지 경기일정및결과 메뉴에 1984시즌부터 2003시즌까지 업데이트 되면 간단하게 링크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겠고 일단 매라운드 경기 결과 정보 일일히 전부 기재하는 것에 너무 많은 시간 허비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FC 서울 관련 문서에 혼신을 다한 기여에 감사드립니다.Footwiks (토론) Results from global Wikimedia survey 2018 are publishedHello! A few months ago the Wikimedia Foundation invited you to take a survey about your experiences on Wikipedia. You signed up to receive the results. The report is now published on Meta-Wiki! We asked contributors 170 questions across many different topics like diversity, harassment, paid editing, Wikimedia events and many others. Read the report or watch the presentation, which is available only in English.
Add your thoughts and comments to the report talk page.
Feel free to share the report on Wikipedia/Wikimedia or on your favorite social media. Thanks! 2018년 10월 2일 (화) 04:25 (KST) Help with Korean Language Processor?안녕하세요! I'm trying to upgrade the language processing on Korean-language wikis, and I was hoping you could help by reviewing some of the output of the language processor, or by translating part of my request to Korean so others could help. 감사합니다! TJones (WMF) (토론) 2018년 10월 3일 (수) 05:13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